$\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러닝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cro-Learning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369 - 376  

배재홍 (한국폴리텍대학 울산캠퍼스 교양과) ,  신호영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을 이용한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업의 학습 자료를 마이크로 러닝, 기존의 이러닝, 유인물 형태의 세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K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를 비교하였다. 첫째,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학습 자료를 이용할 때 학습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효과는 이러닝 형태와 마이크로 러닝 모두 효과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형태의 학습 자료를 모두 이용한 경우는 마이크로 러닝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현상으로 등장한 새로운 학습 형태인 마이크로 러닝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와 마이크로 러닝 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대학 내에서 마이크로 러닝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using micro-running. To this end,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class were produced in three forms: micro-learning, existing e-learning, and handouts, to compare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effect for college students at Y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을 이용한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업의 학습 자료를 세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사후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을 이용한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학습 자료를 세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진행된 실험연구로써, 향후 국내 대학의 바람직한 이러닝 활성화 전략 수립과 마이크로 러닝 학습자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한 본 연구의 논의와 견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을 학습 자료로 이용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시험(Quiz)을 통해 이루어 졌다. 설문의 측정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문항을 제외하고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세 가지 형태의 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연구로써 학습자들의 마이크로 러닝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 러닝 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학습 자료와 기존의 이러닝 형태의 학습 자료를 모두 경험했을 경우, 두 학습 자료에 따른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추가분석을 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학습 자료를 모두 경험한 대학생의 경우, 10-15분으로 제작된 마이크로 러닝 형태의 학습 자료를 이용했을 때,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둘째, 학습 자료의 차이는 대학생들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 첫째, 학습 자료의 차이는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부분 대학의 이러닝 콘텐츠의 한계점은? 기존의 이러닝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습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고 콘텐츠의 개발 시기가 상대적으로 길며, 내용 수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오랫동안 제기 되고 있다. 그에 반해 마이크로 러닝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화된 학습을 적시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콘텐츠 개발 및 학습의 효율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더욱 중요성을 가진다.
마이크로 러닝이란? 마이크로 러닝(Micro-Learning)은 학습 콘텐츠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서 빠르게 소비할 수 있게 만든 학습 형태로 이동 중의 짧은 시간이나 잠깐의 휴식 시간과 같이 기존에는 사용하지 못했던 나머지 시간들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2]. 특히, 스마트폰 사용의 보편화로 인해 시간 및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학습자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3,4].
대표적인 마이크로 러닝의 예는? 여기에 학습 콘텐츠의 증가, 빠른 네트워크 속도, 확장된 스마트폰 화면 크기, 고화질 영상의 보편화는 더욱 마이크로 러닝 학습을 용이하게 하였다[5]. 미국의 비영리 단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하는 TED(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 무료 온라인 교육서비스 Khan Academy, CBS의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EBS의 ‘지식채널 e’등은 요약된 정보를 짧은 단위 형태로 제공하는 대표적인 마이크로 러닝의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유튜브(YouTube)에서도 학습자가 원하는 마이크로 러닝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 J. So & H. R. Lee. (2017).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rend on Microlearning.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0, 189-201. DOI : 10.17548/ksaf.2017.09.30.189 

  2. H. J. Jung. (2019). Design and Implementation Micro Learning for Corporat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9), 1771-1780. DOI : 10.9728/dcs.2019.20.9.1771 

  3. H. Y. Shin.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Learning Motives and Intent of e-Learning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225-233. DOI : 10.15207/JKCS.2019.10.7.225 

  4. J. H. Bae & H. Y. Shin. (2019).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e-Learning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215-221. DOI : 10.15207/JKCS.2019.10.10.215 

  5. E. G. Lee & S. K. Yu. (2018). The Effect of Short Video Uses on View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2(4), 65-102. 

  6. S. A. Oh. (2017). The Analysis of Epistemological Beliefs, Cognitive Load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Flipped Learning Preview Homework for Adult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3(3), 579-603. DOI : 10.15833/KAFEIAM.23.3.579 

  7. H. J. Jung. (2017).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for Adult Learn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4), 587-608. DOI : 10.22251/jlcci.2017.17.4.587 

  8. J. W. Jung, D. S. Kim & C. S. Nah. (2013). The Effect of the Type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on Cognitive Load and the Comprehension of Content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4), 635-657. UCI : G704-000750.2013.19.4.003 

  9. W. J. Hong, C. I. Lim & T. J. Park. (2013). Effects of Segmenting Video Lectures on the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th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phon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1048-1057. DOI : 10.5392/JKCA.2013.13.12.1048 

  10. C. Thompson. (2012). Universities Reshaping Education on the Web. The New York Times. 

  11. B. Wolman. (1989).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SD: Academic Press. 

  12. J. Y. Lee. (2012). The Effect of Perceived Customer Orientation to Emotional Presence, Commitment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0), 139-146. DOI : 10.14400/JDPM.2012.10.10.139 

  13. J. Y. Lee & E. J. Lee. (2010). Influence Analysis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Qualities on Learner Satisfaction in University e-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1(3), 119-147. DOI : 10.17232/KSET.29.2.209 

  14. J. H. Bae & H. Y. Shin. (2019). A Study on the Factor of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e-Learning Using Kano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325-333. DOI : 10.15207/JKCS.2019.10.7.325 

  15. V. Venkatesh & F. D. Davis. (1996).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 27(3), 451-477. DOI : 10.1111/j.1540-5915.1996.tb01822.x 

  16. S. W. Lee. (2014). Factors Affecting the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for Designers. Journal of Digital Design, 14(3), 185-194. DOI : 10.17280/jdd.2014.14.3.019019 

  17. W. K. Lee & J. K. Lee. (2006). The Influence of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s' Self-Efficacy on the Effectiveness in e-Learning.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6(1), 1-21. UCI : G704-000077.2006.16.1.005 

  18. H. S. Koh & J. H. Shin.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3), 1-10. DOI : 10.5392/JKCA.2018.18.03.001 

  19. J. H. Bae & H. Y. Shin. (2019).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Learners on e-Learning Effect and Intention to Reu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0), 283-289. DOI : 10.15207/JKCS.2019.10.10.283 

  20. H. C. Lee & B. H. Goo. (2009).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ing's Scholastic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4(5), 201-209. UCI : G704-001619.2009.14.5.014 

  21. D. H. Son & H. J. Kim. (2008). The Effect of the Determinants of Distanc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formation Systems Review, 10(2), 49-70. UCI : G704-001116.2008.10.2.009 

  22. C. Y. Kim. (2019). 2018 Survey of Korean e-Learning Industry.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