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 of Spinal Cord Injury Occupational Therapy Guidelin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69 - 74  

하성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의 개발에 앞서 척수손상환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작업치료 실태와 임상에서 요구하는 가이드라인의 범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따른 필요성의 제기 및 근거 기반 재활 중재 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것으로 동일 분야 연구에 활용이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조사방법으로는 현재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작업치료사 11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3일부터 17일 까지 총 15일간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중재방법에는 신체활동훈련 106명(94.6%), 일상생활동작훈련 96명(85.7%), 교육-카운슬링-정보제공 44명(39.3%), 보호자 교육 39명(34.8%)순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의 인식과 임상적 요구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or to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spinal cord injury, this study explored the actual cond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the range of guidelines required by the clinic, thereby raising the necessity and establishing an 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사전 연구로 국내 척수손상환자를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척수손상 작업치료 실태를 조사하고 가이드라인의 인식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들은 신체기능개선을 중심으로 다방면의 영역을 다루고 있었고 가이드라인의 필요성과 임상적 요구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척수손상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실태를 확인하고 가이드라인의 필요성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에 현재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척수손상 가이드라인을 국내실정에 맞게 수용개작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개발되지 않은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의 개발에 앞서 척수손상환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작업치료 실태와 임상에서 요구하는 가이드라인의 범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따른 필요성의 제기 및 근거 기반 재활 중재 서비스 체계 구축과 작업치료 영역의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척수손상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실태를 확인하고 가이드라인의 필요성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에 현재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 Singh, L. Tetreault, S. Kalsi-Ryan, A. Nouri & M. G. Fehlings. (2014). Global prevalence and incidence of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Clinical epidemiology, 6, 309. 

  2. L. Teeter, J. Gassaway, S. Taylor, J. LaBarbera, S. McDowell, D. Backus & S. E. Kreider. (2012). Relationship of physical therapy inpatient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and patient characteristics to outcome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the SCIRehab project. The journal of spinal cord medicine, 35(6), 503-526. 

  3. S. D. Guy, S. Mehta, A. Casalino, I. Cote, A. Kras-Dupuis, D. E. Moulin & C. L. Bradbury. (2016). The CanPain SC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rehabilitation management of neuropathic pain after spinal cord: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Spinal Cord, 54(1), S14-S23. 

  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WHO handbook for guideline develop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5. H. L. Gainforth, A. E. Latimer-Cheung, P. Athanasopoulos & K. A. M. Ginis. (2013).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a knowledge mobilization initiative for disseminating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6(3), 260-265. 

  6. K. M. Ginis, A. L. Hicks, A. E. Latimer, D. E. R. Warburton, C. Bourne, D. S. Ditor & P. Pomerleau. (2011). The development of evidence-informe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49(11), 1088-1096. 

  7. K. A. M. Ginis, J. W. van der Scheer, A. E. Latimer-Cheung, A. Barrow, C. Bourne, P. Carruthers & K. C. Hayes. (2018). Evidence-based scientific exercise guidelines for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an update and a new guideline. Spinal cord, 56(4), 308-321. 

  8. K. P. Arbour-Nicitopoulos, S. N. Sweet, M. E. Lamontagne, K. A. M. Ginis, S. Jeske, F. Routhier & A. E. Latimer-Cheung. (2017).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test the efficacy of the SCI Get Fit Toolkit o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behaviour and social-cognitive processes in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series and cases, 3(1), 1-8. 

  9. E. Y. Y. Cheung, K. K. K. Yu, R. L. C. Kwan, C. K. M. Ng, R. M. W. Chau & G. L. Y. Cheing. (2019). Effect of EMG-biofeedback robotic-assisted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training on walking ability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on people with subacute spinal cord injuries?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ogy, 19(1), 140. 

  10. S. H. Chang, T. Afzal, J. Berliner & G. E. Francisco. (2018). Exoskeleton-assisted gait training to improve gait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 pilot randomized study. Pilot and feasibility studies, 4(1), 62. 

  11. H. Kooijmans, M. W. Post, H. J. Stam, L. H. Van der Woude, D. C. Spijkerman, G. J. Snoek & J. B. Bussmann. (2017).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intervention to promote an active lifestyle in persons with long-term spinal cord injury: The HABITS randomized clinical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31(12), 991-1004. 

  12. C. A. Pelletier, J. T. De Zepetnek, M. J. MacDonald & A. L. Hicks. (2015). A 16-wee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valuating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Spinal Cord, 53(5), 363-367. 

  13. D. Dorstyn, J. Mathias, L. Denson & M. Robertson. (2012). Effectiveness of telephone counseling in managing psychological outcomes after spinal cord injury: a preliminary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1), 2100-2108. 

  14. C. F. Nooijen, H. J. Stam, I. Schoenmakers, T. Sluis, M. Post, J. Twisk & R. J. Van Den Berg-Emons. (2016). Working mechanisms of a behavioural interventio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in persons with subacute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8(7), 583-588. 

  15. S. Hitzig, B. Craven, A. Panjwani, N. Kapadia, L. Giangregorio, K. Richards & M. Popovic. (2013). Randomized trial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for walking in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effects on quality of lif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opics in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19(4), 245-258. 

  16. M. L. Jones, N. Evans, C. Tefertiller, D. Backus, M. Sweatman, K. Tansey & S. Morrison. (2014). Activity-based therapy for recovery of walking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pinal cord injury: results fro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5(12), 2239-2246. 

  17. K. P. Arbour-Nicitopoulos, K. A. M. Ginis & A. E. Latimer. (2009). Planning,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coping self-efficacy in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12), 2003-2011. 

  18. R. L. Kirby, D. Mitchell, S. Sabharwal, M. McCranie & A. L. Nelson. (2016).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for community-dwelling veterans with spinal cord inju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oS one, 11(12). 

  19. E. Kelly, M. Mulcahey, S. Klaas, H. Russell, C. Anderson & L. Vogel. (2012). Psychosocial outcomes among youth with spinal cord injury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Topics in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18(1), 67-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