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융합적 대응방안 모색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Impa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arching for Converged Intervention Strateg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297 - 310  

안혜우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엄명용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의 다문화청소년패널 데이터 6차년도(2016) 중 총 1,329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우울이 두 변수간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응집력강화프로그램 등 소수문화를 수용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비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비교하여 어느 시기에 가장 많은 심리·정서적 불안감에 놓여있고, 학교생활적응 정도에 변화가 있는지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multicultural students' depression level mediated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South Korea. A total of 1,329 students in the sixth year (2016)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s multicultural youth panel data were 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ress- StrainOutcome의 모델에서 결과변수(Outcome Variables) 로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체적·정신적 건강 등이 있는데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학교에서 겪는 부적응 문제를 결과 (Outcome)로 보고자 한다.
  •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겪는 여러 문제 중 본 연구에 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타문화를 받아들이며 흔하게 겪을 수 있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주목하고자 한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화적응 및정착단계에서 기존의 문화와 새로운 문화를 접촉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인 갈등을 말한다[10].
  • 이는 사춘기에 접어든 다문화 청소년들은 자신의 정체성 혼란과 소외감 그리고 우울감 등의 감정불안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정불안감이 학교생활적응의 어려움이라는 결과로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개인적 심리 요소로 우울을 반영하여 SSO 모델을 구성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 하지만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SSO 모델[24] 에 기초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결과변수인 학교생활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우울(strain)이라는 정서적 불안 상태를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검정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4]의 SSO 모델(Stress-Strain-Outcome) 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겪는 문화적응 스트 레스(stress), 그로 인해 발생된 정서적 결과물인 우울 (strain), 그리고 이로 인해 초래된 최종 결과물인 학교생 활부적응(outcome) 간의 전체적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였다. 이는 스트레스원을 문화적응 스트레스, 스트레인은 긴장(우울) 그리고 결과변인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설정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그리고 우울을 매개로 구성 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이 이들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모형은 Fig.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세 변인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의 학교생활적응은 총 3개의 영역으로 학습활동, 교우관계, 교사관계의 하위변 인별 각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통합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세 하위변인을 합한 평균점수를 사용하여 학교생 활적응 점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합 학교생활적 응의 신뢰도(Cronbach's α)는 .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종속변수와 매개변수에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통제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의 비해 우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35] 이로 인해 중학교시기에 남학생이 더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는 선행연구[61]를 반영하여 성별을 ‘1=남자’, ‘0=여 자’로 재구성하여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 이제까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단순한 영향력을본 연구는 많으나, 그 과정에서 매개요인을 본 연구는 거의 없다. 앞서 말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 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은 다시 학교생활적응의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세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들이 겪을 수 있는 차별적 시선이 완화되고, 학교 교내 복지를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개인의 내적 요인 중 위험요인인 우울의 매개효 과를 검증함으로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H. J. Kim. (2015).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1-2013. Master's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iu. 

  2. K. J. Kim & K. S. Jung. (2008). Exploratory Study o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s Growth Environment in Busan. The Korea Contents Society Journal, 8(11), 272-285. 

  3. K. S. Kim. (2008).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hild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Seoul : Research Center for Korean Youth Cultur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4. K. S. Jun.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Normal Family in Gyeonggi Prefecture -Based o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6(1), 167-185, DOI : 10.35151/kyci.2008.16.1.011. 

  5. H. S. Lee, K. H. Park & M. J. Song. (2016). Effect of Formative Artistic Activities Using Objects on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19(2), 87-110. 

  6. E. Seung & S. H. Lee. (2007). A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in Agricultural Region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25-47. 

  7. Y. A. Kim. (2010).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and Family System Types in Multicultural and Unicultural Families. Master's dissertation, Gyeongbuk University, Daegu. 

  8. S. Y. Hwang. (2013). A Study on the Emotional and Social Adaption Condition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 171-196. 

  9. H. J. Kim & K. T. Park. (2010).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Need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Youth : A Comparative Analysis with Normal Family Youth.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49(1), 93-128. 

  10. J. W. Berry. (2000). Sociopsychological Costs and Benefits of Multiculturalism, Governance of Cultural Diversity. Stockholm: Centre for Research i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Ethnic Relations, 297-354. 

  11. J. W. Lee.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Linguistic Ability and the Ego-Ident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12. E. W. Lynch. (1992). From Culture Shock to Cultural Learning, Developing Cross-cultural Competence: A Guide for Working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america, Maryland: Paul H Brookes. 

  13. L. Y. Kiang, T. M. Gonzales-Backen, M. Witkow & A. J. Fuligni. (2006). Ethnic Identity and the Daily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from Mexican and Chinese Backgrounds. Child Development, 77(5), 1338-1350. 

  14. E. H. Kim & M. A. Mccubbin. (2007). Korean American Maternal Acceptance-Rejection, Acculturation,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Family & Community Health, 30(25), 33-45. 

  15. S. J. Jeon & H. M. Yoon. (2013). Effects of Neglect,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School Social Welfare, 24, 153-179. 

  16. Y. I. Kang.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ach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o Mothers and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he Intervening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es and Negative Coping Mechanisms. Maste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Dankook. 

  17. S. J. Jeong. (2013).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in Adapting to School Life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dissertation, Sungkyeol University, Anyang. 

  18. A. J. Romero & R. E. Roberts. (2003). The Impact of Multiple Dimensions of Ethnic Identity on Discrimination and Adolescent' Self-Esteem.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 2288-2305. 

  19. J. D. Hovey. (1998). Psychosocial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in Central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1(4), 187-195. 

  20. K. H. Han & S. K. Kang. (2019). The Relationship among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Testing a Theoretical Model of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Mental Health & Social Work, 47(1), 231-257, DOI : https://doi.org/10.24301/mhsw.2019.03.47.1.231 

  21. S. H. Moo. (2008). Influence of Depression on Mobile Phone Dependence of Adolescent : Moderator Effect Comparison of Peer Attachment and School Relationship Factor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8), 55-80, DOI : http://dx.doi.org/10.21509/KJYS.2018.08.25.8.55 

  22. K. M. Yang, K. K. Kang & J. Y. Kim. (2017). A Study on the Final Survey and Policy of Multicultural Youth. Sejong : Research Report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3. S. H. Oh. (2016). The Study on the Eco-systemic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Depressio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6, 1-27. DOI : 10.15300/jcw.2016.56.1.1 

  24. G. F. Koeske & R. D. Koeske. (1991). Student “Burnout” as a Mediator of the Stress-Outcome Relationship.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2(4), 415-431. 

  25.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6. J. W. Berry. (1997). An Evaluation of Life Satisfaction within the Migratory Experience According to Psychosocial Variables,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27. J. W. Berry, M. Storandt & A. Coyne. (1984). Age and Sex Differences in Somatic Complaints Associated with Depression. Journal of Gerontology, 39(4), 465-467. 

  28. J. D. Hove & C. Magana. (2002). Acculturativ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Mexican Immigrant Farm Workers in the Midwest United State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2(3), 119-131. 

  29. B. K. Finch & W. A. Vega. (2003). Acculturation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among Lations in California. Journal of Immigrant Health, 5, 109-117. 

  30. M. Thomas & J. B. Choi. (2006).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Korean and Indian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Sociology & Social Welfare, 33, 123-143. 

  31. E. G. Kim & J. N. Kim. (2016).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Association, 9(4), 21-43. 

  32. E. Y. Jin. (2015). Mediating Effect of Bicultur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School Social Welfare, 32, 303-326. DOI : https://doi.org/10.20993/ssw.32.12 

  33. E. J. Tricket & D. Birman. (2005). Acculturation, School Context, and School Outcomes: Adaptation of Refugee Adolesce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Psychology in the Schools, 42(1), 27-38. DOI : https://doi.org/10.1002/pits.20024 

  34. S. S. Lee. (2013).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Improving Self-identity and Social Stress of Young Peopl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and Education, 25(4), 63-77. 

  35. M. S. Kim. (2008). The Prevelence of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 City, and the Effect of Depression on the School Adjust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2), 645-658. 

  36. J. S. Baek. (2013). The Influence of Individuation of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Korea on College Adapta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Korean Journal of Youth Facility Environment, 11(1), 57-65. 

  37. K. R. Choi & J. Y. Hong.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Journal of Youth Research in Korea, 29(1), 347-374. DOI : https://doi.org/10.14816/sky.2018.29.1.347 

  38. J. H. Kim. (2019).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Youth Facilities Environment, 17(3), 115-124. 

  39. S. L. Kang. (2009). Th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Born in Multi-cultural Home Concerned Family and Social Support System. Master's dissertation, Uiduk University, Gyeongju. 

  40. S. S. Shin. (2012). Effect of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go-identity, Peer Relationship and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4), 459-481. 

  41. J. H. Seo & J. Y. An. (2001). Adolescent Friendships : Differences in Function, Structure, and Satisfaction by Internet and Real Life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4), 149-166. 

  42. B. N. Yoon. (2019). Influence of Peer Factors on Acculturative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aster's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43. Y. J. Nam & S. Lee. (2009). The Effect of Mother`s Attachment and Daily Stress on Children's Self-Concept and Depression in Multi-Ethnic Famili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9), 27-36. 

  44. C. I. William & J. W. Berry. (1991). Ethnic Self-id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nority Youth in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25, 19-34. 

  45. J. F. Smart & D. W. Smart. (1995). Acculturative Stress of Hispanics: Loss and Challeng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3(4), 390-396. 

  46. C. R. Nho, S. K. Yoon & S. Y. Kim.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Refugee Children in Korea - The Moderating Role of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63, 23-53, 

  47. H. J. Woo. (2013). A Study on th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Problems of Multicultural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2), 195-206, 

  48. S. R. Sirin, P. Ryce, T. Gupta & L. Rogers-Sirin. (2013). The Role of Acculturative Stress on Mental Health Symptoms for Immigrant Adolescent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49(4), 736-748. DOI : https://doi.org/10.1037/a0028398 

  49. S. S. Lee. (2015). The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Focused on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by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 29-55. 

  50. S. H. Ji. (2013).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Youth Depression on School Adaptation. Master's dissertation, Kyunggi University, Gyeonggi 

  51.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2010). Multicultural Cleaner Panel Survey. 1st and 6th Data User Guide . 

  52. J. H. Kim. (2010). An Analysis of Primary Pupils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Values and Practical Intelligence. Learner-centered Education Society, 10(3), 115-137. 

  53. J. E. Hong.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ed on Co-ed Second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54. K. I. Kim, J. H. Kim & H. T. Woo. (1984). Perform a Simplified Mental Diagnosis Test Yogang, Seoul: Center for Centrality. 

  55. K. S. Lee, H. J. Baek, J. W. Lww & J. Y. Kim. (2011). Korean Children & Cleaning Annual Panel Survey 2010II Project Report. Seoul: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56. N. Y. Seon. (2013). The Effects of the Social Exclus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Their School Ad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Kyonggi. 

  57. Y. J. Choi.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hird Basic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Policy. Seoul :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58. Y. Woo. (2007). The Actual State of Multicultural Youth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Journal of Youth Guidance Research, 11, 25-54. 

  59.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ulator Mediator Variable Distor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Japan, 51, 1173-1182. 

  60. J. H. Seo. (2012). Comparison of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Master'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Daegu. 

  61. Ministry of Education. (2019). Md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62. Shih, M. & Sanchez, D. T. (2005). Perspectives and Research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of Having Multiple Racial Identities. Psychological Bulletin, 131(4), 569-591. 

  63. H. S. Jang. (2019).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between Non-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Kangwon. 

  64. I. S. Park & Y. S. Park. (2015).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Service Encounter -Focused on Airport Workers. Journal of Tourism Research, 40(2), 199-216. 

  6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9).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