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원,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Self 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Multi Cultural Youth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544 - 552  

이덕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 상태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여 향후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스트레스 대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발견되지 못했다. 이어서 분석한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원, 자아존중감은 모두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elf-esteem by grasping the adaptation state of the stress and school multi-cultural youth, social support, and analyzed the changes that appear in response to them coping with stress.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s for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Folkman과 Lazarus[14]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기초로 김정희[12]가 요인 분석한 4개의 범주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존재하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Folkman과 Lazarus[14]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기초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Folkman과 Lazarus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기초로 김정희[12]가 요인 분석한 4개의 범주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 간에 관계가 존재할 것이라는 연구문제와 이러한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 간의 매개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요인 간의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가 매개 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유의적 샘플링을 사용하였는데, 유의적 샘플링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선택에 따른 채취 방법으로 선행연구나 정보가 있을 경우 또는 현장 방문에 의한 시각적 정보, 현장 채취 요원의 개인적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채취지점을 선정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이들이 우리 사회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부적상관을 보일 것으로 추론하여 청소년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와의 관계를 점검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예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특성상 유의적 샘플링을 사용하였는데, 유의적 샘플링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선택에 따른 채취 방법으로 선행연구나 정보가 있을 경우 또는 현장 방문에 의한 시각적 정보, 현장 채취 요원의 개인적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채취지점을 선정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의적 샘플링 방법은 연구 기간이 짧고, 예산이 충분하지 않을 때, 과거 측정지점에 대한 조사 자료가 있을 때, 특정지점의 오염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선택한다. 따라서 부산에 거주하는 다문화 청소년(중학교 1학년 ~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50명의 학생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 상태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활용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에는 자아개념 역시 보다 세분화되고, 이 영역들을 조화롭게 통합하는 시기이며, 한 인간으로서 행동기준과 가치관의 정립 및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스스로의 가치를 인정하며 존경하는 태도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시기이다[2].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 보다 큰 정체성의 혼란에 빠지기 쉽다.
청소년기에는 어떤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되는가? 청소년기의 경우 정신적 건강에 취약한데, 자신의 성장과 향후 진로에 대한 고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 변화 등 여러 가지 사건으로 인해 이전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고립감과 위축감 등 정서적,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선행연구들[4,5,6]에 의하면 다문화 청소년의경우 사회ㆍ문화적 문제를 포함한 복합적인 이유로 같은 시기의 일반 청소년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박하나가 말한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정의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상이하게 제시되고 있다. 박하나[7]는 국제결혼가정 자녀나 외국인 근로자가정 자녀로 범위를 제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한정한 이주의 배경을 가진 가정의 자녀임을 고려한다면 다문화 청소년은 탈북 청소년 및 중도입국 청소년까지도 포함한 집단이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uberty, "Integration discussed the concept dictionary, puberty", blue document publishing, 2007. 

  2. M.S.Kim, "Volunteer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research on the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family health outcomes young people: to target the Henan", the Master's thesis of Konkuk University, 2013. 

  3. H.Y.Jo, C.H.Lee, S.H.Gwon, D.H.Seo, U.H.Lee, "Many children of school life realities of cultural family and teachers and students of the water-soluble of research. Korea Women's Policy Research Institut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Economic and 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Council Cooperative Research Monographs 07-19-05, pp.134, 2007. 

  4. Cobb, Sidney,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5. C.S.Ka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of self-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Master's thesis, Princes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8. 

  6. H.K.Kang, "Social support and children of the self-elasticity". Home Journal, Vol.44, No.11, pp.149-159, 2006. 

  7. H.N.Park, Y.D.Cho, Y.K.Park,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course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Education and Research, Vol.6, No.1 pp.21-49, 2013. 

  8. K.H.Kim, J.J.Seon, S.H.Oh, "selection State, Osukufui, husband of the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lf-esteem and a sense of helplessness", community nursing Journal, Vol.24, No.1, pp.29-39, 2013. 

  9. K.S.Jeon, "life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homes of youth of the Gyeonggi region: Focusing o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Chapter, Vol.16, No.1, pp.167-185, 2008 

  10. S.B.Choi, J.E.Lim, H.J.Ju, "structural analysis between the chang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the multi-cultural", Korea teacher education research, Vol.28, No.4, pp.305-330, 2011. 

  11. W.G.Lim, E.K.Oh, "parent of rearing stress predictor of study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Care Management Studies, No.11, pp.173-200, 2014. 

  12. J.H.Kim, "Perceived stress, acting against the melancholy of cognitive set and Workarounds",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87. 

  13. J.H.Bae, "Research and Workarounds high school school stress about the impact on the school adaptation", Master's thesis, Soongsil school, Seoul, 2002. 

  14. CLazarus, Richard S., and Susan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pp.725, 1984. 

  15. Gimuhyonmi, "impact and regulatory effects of the study of social support that self-control sens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s on the loneliness", Mogu-on University School graduate doctoral thesis, 2014. 

  16. Carol S. Aneshensel, Jeffrey D. Stone,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 Gen Psychiatry, Vol.39, No.12, pp.1392-1396, 1982. 

  17. Cohen, S., Hoberman, H,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DOI: http://dx.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18. Rosenberg. M,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easures package, 61, 1965. 

  19. H.M.Kim, H.J.Moon, H.R.Jang, "Study on the change and impact factor of adulthood self-esteem", South Korea Social Welfare, Vol.67, No.1, pp.83-107, 2015. 

  20. S.J.Mo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children of stress and school life", master's thesis of Korea Teachers University, 2004 

  21. Negru, O., Baban, A, "Positive development in school settings: School environment influences on perceived school adjustment in a Romanian adolescent sample", Cognitie, Creier, Comportament, Vol.13, No.3, pp.253, 2009. 

  22. A.S.Hong, "social suppor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academic self-efficacy, adaptation effect on the school happiness and achievement to school life", Dong-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3. 

  23. Statistical Office, View statistics Busan Education, 2014. 

  24. H.Y.Min, A.J.Yu, "Effects of rearing behavior and children's coping behavior of the parents the child was late for school-age is on the parent to the related stress", home Journal, Vol.37, No.9, pp.1-12, 1998. 

  25. H.S.Yu, H.W.Lee, M.A.Do, "cognitive behavioral group counseling nursing home, effect on self-esteem of the elderly", mental health and social business, Vol.40, No.2, pp.117-137, 2012. 

  26. A.Y.Kim, "academic synchronization scale standardization research", educational evaluation research, Vol.15, No.1, pp.157-18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