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장년층 약물치료 당뇨환자의 비약물적치료 병행 여부에 따른 웰빙: 경로분석
Well-being of young and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with medication according to combination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a path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401 - 410  

김선경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유미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선애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당뇨병을 진단받고 약물요법 중인 청장년층을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어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신체활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CHS) 자료를 활용하여 경구약물치료 중인 20세~49세의 당뇨환자 1,480명을 연구 대상자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SPSS 25.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개인특성요인(사회경제적 수준, 식습관, 건강 습관, 건강검진이행)의 웰빙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집단 간 신체활동의 매개효과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약물요법만 시행하는 집단의 경우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그룹에서는 신체활동의 직접적 효과와 개인특성요인들의 간접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치료를 시작한 청장년층 환자들의 특성과 질병관리 수준을 반영한 웰빙 향상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and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nourishment regulation on well-being among young and middle aged patients on DM medication and to compare between those with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and those without. Data were obtained fro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지역건강조사자료(CHS)를 이용하여 청장년층 당뇨환자의 질병관리 행위에 따라 웰빙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각 요인들 간의 경로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투약을 시작한 당뇨환자들에서 투약만 하는 환자 집단과 투약 이외에 비약물요법을 병행하는 집단에서 변수 간 차이가 확인되었고 신체활동을 매개변수로 웰빙으로의 경로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2017년에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Community Health Survey; CHS)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질병관리본부 주체로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 평가를 위해 2008년부터 매해 시행되는 조사이다.
  • 자가 관리가 특별히 더 중요하지만 건강행위 유지가 어려울 수 있는 청년기의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건강행위를 하게 하는 요인이 무엇이며 이러한 행위가 그들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 관리가 필요한 20-40대의 약물 치료과정을 시작한 당뇨 환자를 비약물적 요법을 병행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삶의 질 예측요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각 집단별로 웰빙 예측모형을 신체활동을 매개변수로 하여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의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당뇨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식이, 운동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후 질병의 진행으로 식이와 운동으로 혈당이 조절이 어렵게 되면 경구투약 또는 인슐린 요법을 적용하게 된다[8]. 청년층, 특히 30-40대의 경우, 당뇨를 처음 진단받게 되어 운동과 식이요법을 하다가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되는 연령이다.
생애주기 구분을 바탕으로 한 청장년층의 정의 당뇨에 관해서는 진단여부와 치료방법 (인슐린 요법, 경구투약, 식이 및 운동요법; 중복선택 가능)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생애주기 구분을 바탕으로[6,7] 청장년층을 20세~49세로 정의 하였으며, 해당 연령대의 대상자 데이터를 추출하였다.추출된 대상자 중 당뇨를 진단받은 환자이면서 경구투약을 치료법으로 하고 있는 자들을 최종 추출하였으며, 이에 해당되는 연구대상자는 총 1480명이었다.
당뇨환자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인은? 일생을 통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인 당뇨는 진단 후에 적극적인 관리를 통한 합병증 예방이 주요한 과제이다[4]. 망막증, 신부전, 족부질환 등의 합병증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당뇨질환자의 건강과 웰빙을 위협하며 웰빙과 삶의 질을 낮추는 영향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젊은 나이에 진단을 받은 청년층의 경우에서 자가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합병증에 빠르게 노출되며 오랜 기간 고통 받게 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 S. Kwon & H. Park. (2019). Association among Lifestyle Factors, Obesity, C-peptide Secretion,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Risk in Adul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A Case Study.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4(2), 125-133. Doi:10.21032/jhis.2019.44.2.125 

  3. C. Kim, S. H. Lee & S. K. Cha. (2017). Influencing Factor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Young Men: Focusing on Obesity Indic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1), 1-10. Doi:10.7586/jkbns.2017.19.1.1 

  4. M. J. Lee & S. S. Kim. (2017). Focused Issue : Management of Obesity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Diabetes, 18(4), 229-238. Doi:10.4093/jkd.2017.18.4.229 

  5. Y. J. Park. (2017). Understanding and Approaching Low Motivation in Young Adul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Diabetes, 18(2), 121-124. Doi:10.4093/jkd.2017.18.2.121 

  6. J. Y. Kim. (2019). Characteristics of the Diabetic Life Cycle.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 53-56. 

  7. S. P. Marso, G. H. Daniels, K. Brown-Frandsen, P. Kristensen, J. F. Mann, M. A. Nauck & W. M. Steinberg. (2016). Lir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5(4), 311-322. Doi:10.1056/NEJMoa1603827 

  8.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9). Treatment Guidline for Diabetes 6th eds. www.diabetes.or.kr 

  9. S. Hamine, E. Gerth-Guyette, D. Faulx, B. B. Green & A. S. Ginsburg. (2015). Impact of mHealth chronic disease management on treatment adherence and patien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7(2), e52. Doi:10.2196/jmir.3951. 

  10. P. Tuso. (2014). Prediabetes and lifestyle modification: time to prevent a preventable disease. The Permanente Journal, 18(3), 88-93. Doi:10.7812/TPP/14-002 

  11. H. J. Park, S. N. Lee, Y. J. Lee & C. H. Han. (2013).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Well-being Concept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reventive Medical Society, 17(1), 27-50. 

  12. K. M. Jung, S. J. Lee, E. S. Park, Y. J. Park, S. G. Kim & D. S. Choi. (2015). Selfcare and related factors in young and middle adulthoo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Diabetes, 16(1), 65-77. Doi:10.4093/jkd.2015.16.1.65 

  13. S. H. Park, S. H. Lee & E. M. Ham.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tic Bias about Health Crisis and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03-409. 

  14. I. Park, C. S. Kim, R. Kim, Y. J. Kim, M. H. Park & Y. J. Jung. (2009). Factors influencing the exercise perform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24(4), 27-38. 

  15. S. A. Lee & J, Park. (2009). Influence of insulin injection 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edicine, 77(1), 57-59. 

  16. B. S. Park, G. N. Jin, Y. C. Choi, J. H. Chung, K. H. Kim, M. Y. Lee & C. H. Chung. (2005).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hood diabetic patients.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29(3), 254-261. 

  17. J. P. Yu. (2012).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p. 1-567. 

  18. B. N. Park, S. J. Shin, M. H. Lee, E. H. Hwang, H. I. Kang & K. S. Park. (2005). Concept Analysis on the Well-being - the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n the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6(2), 165-178. 

  19. C. Lee. (2008). Health Status and Self-management Barriers in People with Diabetes - A Comparison by Medicaid Beneficiary Statu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4), 231-251. 

  20. J. Hwang & C. Shon. (2014).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2. BMJ Open, 4(8), e005710. Doi:10.1136/bmjopen-2014-005710 

  21. S. H. Moon, Y. W. Lee, O. Ham & S. Kim. (2014).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iabetes Education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 81-92. Doi:10.5977/jkasne.2014.20.1.81 

  22. T. P. Wycherley, P. Mohr, M. Noakes, P. M. Clifton & G. D. Brinkworth. (2012). Self-reported facilitators of, and impediments to maintenance of healthy lifestyle behaviours following a supervised research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m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 Med, 29, 632-639. 

  23. S. Basu,, P. Yoffe, N. Hills & R. H. Lustig. (2013). The relationship of sugar to population-level diabetes prevalence: An econometric analysis of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PloS one, 8(2), e57873. Doi:10.1371/journal.pone.0057873 

  24. S. H. Schneider & E. B. Elouzi. (2000). The role of exercis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Preventive Cardiology, 3(2), 77-82. Doi:10.1111/j.1520-037X.2000.80365.x 

  25. Y. Jee & Y. Park.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Diabetic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0), 459-467. Doi:10.35873/ajmahs.2019.9.10.039 

  26. J. Park. (2010). A Study on Self Management, Hemoglobin A1c (HbA1c),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or the Type II Diabetes Patients. J Korean Biol Nurs Sci, 12(2), 106-113. 

  27. S. I. Nam, K. H. Choi & H. J. Yi. (2014). Self-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Suicidal Behavior among People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5(1), 231-254. 

  28. Y. H. Kang, M. Y. Kim & E. Lee. (200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122-130. Doi: 10.4040/jkan.2008.38.1.122 

  29. W. S. Lee. (2018). A Longitudinal Study on the Use of Medical Service. Social Welfare Policy, 45(2), 5-37. 

  30. K. E. Lee. & B. H. Im. (2018). Utiliization Behavior of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Journal of the Kore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7), 443-452. 

  31. M. S Ko & H. S. Park. (2018). The Effects of Well-being Awareness on Self-rated Health and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acti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9(6), 1291-1305. Doi:10.22143/HSS21.9.6.92 

  32. J. Oh, H. Kim, M. Park & H. Shim. (2011). Effects of Web-based Health Education on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Improvemen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Impaired Fasting Blood Glucose. Journal od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724-731. Doi: 10.4040/jkan.2011.41.5.724 

  33. B, Lim, J. Kim, J. Yoo & B. Zhang. (2011). Diet Adviser: A Personalized eHealth Agent in a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D), 115-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