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지능 및 공감능력의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효과
A Study on Interactive Cinemapsychotherapy Class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109 - 115  

임애련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예술심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론을 통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이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공감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대학생 212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 106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영화감상을 포함한 실습 위주의 수업을, 대조군은 성격심리학 이론 중심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12주 동안 6편의 영화를 감상하고 연구자와 대상자 간의 구조적 질문과 대상자 간의 비구조적 질문을 통한 응답과 토의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감성지능 영역의 자기감성이해와 타인감성이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감성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공감능력은 실험군에서 인지적 공감,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공감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사후검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적 공감과 관점 취하기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호작용적 영화 심리치료 수업은 감성지능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검증되었고, 이론 중심의 수업 또한 감성조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나, 영화심리치료 수업이 감성지능과 공감능력의 더 많은 요인을 향상시켜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유효함과 필요성을 증명하였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nfluences of a cinema psychotherapy class containing a discussion o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test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06 students in each group. F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직업 환경 특성상 대학생들에게 영화심리치료 교육과정을 통해 감성지능과 공감능력이 어떻게 변하는지 검증하였다. 영화심리치료 교육과정은 전문 치료자의 지도 없이도 수행할 수 있는 Wolz[12]의 집단 구성과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영화 감상, 구조화된 질문 제시, 비구조화된 토론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영화심리치료 교육과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조군에게는 이론 중심의 일방향적 강의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영화심리치료 수업이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공감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치료가 심리치료의 한 분야가 된 이유? 이 중에서 영화치료 혹은 영화심리치료는 상담과 심리치료 분야에서 영화를 비롯한 각종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실시하는 모든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1] 영화산업의 성장과 함께 심리치료의 한 분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영화가 갖고 있는 치유적 힘이 영화를 관람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되기 때문이다.
Rogers의 공감능력 정의는? 공감능력은 인간중심이론의 Rogers[5]가 효과적 상담을 위한 기본적인 요인으로 강조한 이후 심리와 상담학등의 영역에서 공감에 관련된 연구가 시작되었다. Rogers는 공감능력은 “상담자와 내담자간 상호작용 중에서 어떤 특별한 지점에서 내담자가 느낀 의미”를 민감하게 파악해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영화치료는 문해력이 떨어지거나 아동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시청각적으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수용자의 지각에 강한 영향력을 주는 장점이 있다[2].
영화치료가 객관적으로 자신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은? 영화심리치료를 통해 내담자들은 자신의 문제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을 통해 객관적으로 자신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 영화치료는 영화를 지적인 만족보다는 정서적인 수준으로 접근하여 카타르시스를 얻게 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처럼 감정을 정화하고 인생을 통찰하게 할 수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S. Shim, "The theory & practice of cinematherapy", Hakjisa, Seoul, pp. 22, 24, 44-45, 54, 2011. 

  2. S. S. Kim,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inema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s Thesis, 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ology, 2005. 

  3. H. Gardner,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Hachette Uk, 2011. 

  4. P. Salovey,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 9, no. 3, pp. 185-211, 1990. DOI:http://dx.doi.org/10.2190/DUGG-P24E-52WK-6CDG 

  5. C. R. Rogers, "Client-centered therapy". Cambridge: Houghton Mifflin, 1951. DOI: https://doi.org/10.1002/1097-4679(195107)7:3 3.0.CO;2-O 

  6. M. Daniel, Cinema therapy, salon, [cited 1999 May 27], Available From: https://www.salon.com/1999/05/27/film_therapy/ (accessed Feb. 24, 2020) 

  7. Y. S. Kang, "The Influence of the Verse Activity Program on the First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7. 

  8. Y. L. Moon, "Professor Mun-Yong Lin's lecture on emotional intelligence", Booksnut, Seoul, pp. 203-221, 2011. 

  9. S. Yang,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young children's bibliotherapy program based on the response-based approach",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2013. 

  10. R. Krznaric, "Empathy: A handbook for revolution", Random House, pp. 73-82, 2014. 

  11. A. R. Lim, "Study of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unseling Course-taking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9, pp. 103-110,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9.103 

  12. B. Wolz, "E-motion picture magic: A movie lover's guide to healing and transformation", Glenbridge Publishing Ltd., USA, pp. 221, 2005. DOI: https://ps.psychiatryonline.org/doi/full/10.1176/appi.ps.57.2.276 

  13. C. S. Wong, & K. S.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13, no. 3, pp. 243-274, 2002. DOI: http://dx.doi.org/10.4324/9781315250601-10 

  14. Y. J. Jeon, S. B. Lee, "The Effects of Employees' Personality Traitors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the Deluxe Hotel",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vol. 26, no. 3, pp. 395-412, 2011. 

  15. S. H.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5, no. 5, pp. 143-166, 1996. 

  16. Y. S. Shim, "2019 KIFA movie list for Cinematherapy and Cinemaworkshop", Shimyoung publish, Seoul, pp. 46-62, 145-151, 157 

  17. M. L. Heston, T. Kottman, "Movies as metaphors: A counseling intervention", The Journal of Humanistic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 36, No. 2, pp. 92-99, 1997. DOI:http://dx.doi.org/10.1002/j.2164-4683.1997.tb00377.x 

  18. G. Solomon, "The motion picture prescription: Watch this movie and call me in the morning", Author's Choice Publishing, 1995. 

  19. S. K. Oh,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mediate effect of Self 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