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층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영양소 섭취 및 대사증후군 유병률 비교 -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자료 이용 -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betwee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Non-Single Person Households in Elderly Subjects -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5)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3, 2020년, pp.322 - 330  

최수빈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 ,  곽정현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혈관대사연구소) ,  강해진 ((재)한국영양교육평가원) ,  백진경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between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non-single person households in elderly subjects. We analyzed data from 2,903 subjects ≥ age 65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년층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건강형태, 식생활요인, 영양소 섭취 항목에 대하여 2인 이상 가구와 비교하고, 만성질환 위험을 확인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노인층의 1인 가구가 2인 이상의 가구에 비해 영양소 섭취 상태와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르몬의 변화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또한, 연령의 증가와 같은 신체적 노화와 교육 수준 등과 호르몬의 변화 등도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이다(Cho YM 2014). 실제로, 호르몬 변화가 생기는 갱년기 이후인 50대 이상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50대 31.8%, 60대 37.5%, 70세 이상에서 40.5%로 증가하는 결과 등을 통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 또한 같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Jeong HY 2007; Shin MK 2014). 그러나, 우리 나라의 노인층의 1인 가구가 2인 이상의 가구에 비해 영양소 섭취 상태와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1인 가구의 정의는 무엇인가 1인 가구의 정의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는 현재 법적으로나 실질적으로 무배우자로서 생활하고 단독으로 세대가 분리되어 혼자 생활하는 가구로 정의하였고(Bae & Joeng 2013), 통계청에서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 즉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구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0).
1인 가구 인구수의 증가 원인 무엇인가 1인 가구 인구수가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경제적 요인(불안정한 고용, 소득수준 저하, 여성고용 확대 등), 사회적 요인(교육수준 향상, 초혼 연령 상승, 이혼율 증가, 개인주의 확대 및 결혼관 변화 등), 인구학적인 요인(고령화의 심화, 남녀 평균수명의 차이 등)으로 나누어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15). 현재까지의 1인 가구는 사별, 이혼 등의 이유로 혼자 사시는 65세 이상의 노년층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선행 연구에 따르면 독거노인은 부부노인, 자녀동거노인보다 영양소 섭취와 다양한 식품군 섭취가 부족하고(Lee 등 2015), 특히 독거여자노인의 경우 영양소 섭취 부족과 경제 력의 저하로 건강 상태가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med T, Haboubi N. 2010.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nutrition in older people and its importance to health. Clin Interv Aging 5:207-216 

  2. Bae GY, Joeng KW. 2013. The legislative evaluation on the support legisla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 pp.16-18.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3. Cho YM. 2014.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nutrient intake in Korean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 Daejon. Korea 

  4. Choi SY, Kang NE, Kim S. 2013. An investigation on the metabolic syndromes and health-related risk factors among male workers. Korean J Food Nutr 26:975-984 

  5. Expert Panel on Detec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2001.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85:2486-2497 

  6. Gordon DJ, Probstfield JL, Garrison RJ, Neaton JD, Castelli WP, Knoke JD, Jacobs DR, Bangdiwala S, Tyroler HA. 1989.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cardiovascular disease. Four prospective American studies. Circulation 79:8-15 

  7. Ha MJ, Park HS. 2002. A study on health and nutrition status of elderly poor people living alone. J Korean Gerontol Nurs 4:123-133 

  8. Hellerstein MK. 2002. Carbohydrate-induced hypertriglyceridemia:Modifying factors and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risk. Curr Opin Lipidol 13:33-40 

  9. Her ES. 2016. Metabolic syndrome risk by dietary fat energy ratio in middle-aged men: Using the 2012-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Food Nutr 29:1030-1039 

  10. Jeong HY. 2007.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dietary habits for woman in middle age-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1. Master's Thesis, Kookmin Univ. Seoul. Korea 

  11. Jung HK, Yang EJ, Park WO. 2000. Carbohydrate intake association with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adults: NHANES III. Korean J Nutr 33:873-881 

  12. Jung KH. 2015. Facts on elderly living alone and coping strategies. Health-Welfare Issue Focus 300:1-8 

  13. Kim EJ, Jin BH. 2018. Comparison of oral health status and daily nutrient intake between elders who live alone and elders who live with family: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2013-2015). Gerodontology 35:129-138 

  14. Kim HY,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2005.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10:216-223 

  15. Kim KB, Lee YJ, Sok SH. 2008.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 Adult Nurs 20:765-777 

  16. Kim SA, Lim K, Shin S. 2019. Associations between low-carbohydrate diets from animal and plant sources and dyslipidemia among Korean adults. J Acad Nutr Diet 119:2041-2054 

  17. Kim YJ. 2009.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 Korean Acad Fundam Nurs 16:333-344 

  18.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0. The statistics of population census. Available from http://kosis.kr [cited 13 May 2020] 

  19. Lee KI. 2015.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 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pp.26-2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 Lee YJ, Kwon MK, Beak HJ, Lee SS.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of elderly women in Seoul area. J Nutr Health 48:277-288 

  21. Ma E, Ohira T, Sakai A, Yasumura S, Takahashi A, Kazama J, Shimabukuro M, Nakano H, Okazaki K, Maeda M, Yabe H, Suzuki Y, Kamiya K. 2020.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cardiometabolic risks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Fukushima Health Management Survey, 2011-2015. Nutrients 12:129 

  22. Martinez-Gonzalez MA, Fernandez-Lazaro CI, Toledo E, Diaz-Lopez A, Corella D, Goday A, Romaguera D, Vioque J, Alonso-Gomez AM, Warnberg J, Martinez JA, Serra-Majem L, Estruch R, Tinahones FJ, Lapetra J, Pinto X, Tur JA, Lopez-Miranda J, Cano-Ibanez N, Delgado-Rodriguez M, Matia-Martin P, Daimiel L, Sanchez VM, Vidal J, Vazquez C, Ros E, Buil-Cosiales P, Portoles O, Soria-Florido M, Konieczna J, Navarrete-Munoz EM, Tojal-Sierra L, Fernandez-Garcia JC, Abete I, Henriquez-Sanchez P, Munoz-Garach A, Santos-Lozano JM, Corbella E, Mar Bibiloni MD, Becerra-Tomas N, Barragan R, Castaner O, Fiol M, de la Hera MG, Bello-Mora MC, Gea A, Babio N, Fito M, Ruiz-Canela M, Zazpe I, Salas-Salvado J. 2020. Carbohydrate quality changes and concurrent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 longitudinal analysis in the PREDIMED-plus randomized trial. Am J Clin Nutr 111:291-306 

  23. Nam SY. 2016. Differences in dietary,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non-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n adults by sex and age group. Ph.D. Thesis, Inha Univ. Incheon. Korea 

  24.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6. OECD Family Database. Available from https://stats.oecd.org [cited 20 December 2018] 

  25. Park JK, Son SM. 2003.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indicators and related factors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8:726-735 

  26. Park S, Kim HJ, Kim K. 2020. Do where the elderly live matter? Factors associated with diet quality among Korean elderly population living in urban versus rural areas. Nutrients 12:E1314 

  27. Shin MK. 2014.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 of one-person households. Financ Plann Rev 7:1-24 

  28. Sun W, Watanabe M, Tanimoto Y, Shibutani T, Kono R, Saito M, Usuda K, Kono K.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good self-rated health of non-disabled elderly living alone in Japan: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7:297 

  29. Yang S, Khang YH, Chun H, Harper S, Lynch J. 2012. The changing gender differences in life expectancy in Korea. Soc Sci Med 75:1280-1287 

  30. Yoon SR, Fogleman SK, Kim H, Lee KE, Kim OY. 2020. Breakfast intake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st-food consumption and the risk of obesity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aged 20-39 yea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2013-2014. Clin Nutr Res 9:107-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