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기능 소재로서 둥근전복(Haliotis discus) 유래 항균펩타이드 Ab4-7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aliotis discus-derived Antibacterial Peptide (AMP) Ab4-7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Improv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2, 2020년, pp.147 - 157  

최수철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서정길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식품생명과학부) ,  황준호 ((주)제주사랑농수산) ,  이기영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응용과학부) ,  이인아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안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인 전복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항생제 개발 및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자원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서해안의 다양한 해양 생물 중에서 전복을 선택하였으며, 전복에서 분리한 항균펩타이드(AMP)를 이용하여 항균펩타이드 유도체인 Ab4-7를 규명하고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Ab4-7의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이 유도된 RAW 264.7에 Ab4-7을 처리한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TLR4, TNF-α, IL-1β, COX-2, iNOS 등을 억제하고 항산화와 관련된 유전인자인 HO-1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Ab4-7의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바탕으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Ab4-7이 extrocellular matrix metalloproteinase (ECM) 분해에 관여하여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도하는 유전자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를 조절하는 효과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Ab4-7은 강력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통한 MMPs 관련 유전인자 조절을 통해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제의 기능성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alone, a marine organism inhabiting the west coast of Korea, h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s a resource with potential to be us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antibiotic development and cosmetic raw materials. In this study, we chose abalone among various marine lives on th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항균펩아티드는 선천성 면역체제에서 매우 중요한 생체방어물질로서 미생물의 세포막에 작용하는 membrane-active 메커니즘으로 항균펩타이드가 세포막 구성성분들과 이온결합 및 소수성 결합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막에 구멍(pore)을 뚫거나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항균, 항염 및 항암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국내에 자생하는 천연식물 외에 해양에서 서식하는 해양생물까지 연구 폭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된 항균펩타이드인 Ab4-7을 이용하여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항염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균펩타이드란 무엇인가? 항균펩타이드는 생물의 선천 면역(innate immunity) 작용을 담당하는 천연 항균 물질로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감염 억제 및 전신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특성을 지닌 12 ∼ 100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저분자 펩타이드 물질이다. 이들은 양친매성의 alphahelix 또는 beta-sheet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항균펩타이드의 양이온 부위와 미생물 세포막의 음이온성 인지질과의 이온결합과 항균펩타이드의 소수성 부위와 인지질의 소수성 꼬리부분과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통해서 세포막과의 비특이적 결합을 통해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접촉피부염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염증에 의해 일어나는 염증성 피부질환 중에는 접촉피부염(contact dermatitis)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데 접촉피부염은 lipopolysaccharide (LPS)나 allergen과 같은 항원, 온도변화, 신경 자극, 자외선 등과 같은 자극성 물질이나 환경이 피부에 접촉하고 피부를 통해 침투하여, 면역세포가 생체의 이물질 등을 인식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많은 염증 매개인자들을 분비함으로써 시작된다[4-7].
전복에서 분리한 항균펩타이드로부터 만든 항균펩타이드 유도체가 피부질환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7 세포에서 Ab4-7이 extrocellular matrix metalloproteinase (ECM) 분해에 관여하여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도하는 유전자인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를 조절하는 효과를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Ab4-7은 강력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통한 MMPs 관련 유전인자 조절을 통해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제의 기능성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 H. Moon, E. J. Yang, B. B. Song, B. M. Kim, J. S. Lee, and I. S. Kim, Effects of benzene, phenol and hydroquinone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of human eosinophilic EoL-1 cells, J. Exp. Biomed. Sci, 16(3), 179 (2010). 

  2. S. A. Kim, S. C. Choi, Y. H. Youn, C. I. Ko, Y. S. Ha, and I. A. Le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oscorea Japonica and Chenopodium album, J. Soc. Cosmet. Sci. Korea, 43(4), 337 (2017 ). 

  3. M. L. McDaniel, G. Kwon, J. R. Hill, C. A. Marshall, and J. A. Corbett, Cytokines and nitric oxide in islet inflammation and diabetes, Proc. Soc. Exp. Biol Med., 211(1), 24 (1996). 

  4. S. M. An, H. G. Kim, E. J. Choi, H. H. Hwang, E. S. Lee, J. H. Beak, Y. C. Boo, and J. S. Koh, Screening fo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extracts from Korean herb medicines, J. Soc. Cosmet. Sci. Korea, 40(1), 95 (2014). 

  5. E. G. Lee, B. M. Mickle-Kawar, and R. M. Gallucci, IL-6 deficiency exacerbates skin inflammation in a murine model of irritant dermatitis, J Immunotoxicol, 10(2), 192 (2013) 

  6. M. Kamsteeg, P. A. Jansen, I. M. van VlijmenWillems, P. E. van Erp, D. Rodijk-Olthuis, P. G. van der Valk, T. Feuth, P. L. Zeeuwen, and J. Schalkwijk, Molecular diagnostics of psoriasis, atopic dermatiti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irritant contact dermatitis, Br. J. Dermatol., 162(3), 568 (2010). 

  7. J. Seneschal, E. Kubica, L. Boursault, J. Stokkermans, C. Labreze, B. Milpied, K. Ezzedine, and A. Taieb, Exogenous inflammatory acne due to combined application of cosmetic and facial rubbing, Dermatology, 224(3), 221 (2012). 

  8. K. Aono, K. Isobe, K. Kiuchi, Z. H. Fan, M. Ito, A. Takeuchi, M. Miyachi, I. Nakashima, and Y. Nimura, In vitro and in vivo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during experimental endotoxemia: involvement of other cytokines, J. Cell. Biochem., 65(3), 349 (1997). 

  9. H. M. Lee, J. H. Choi, C. S. Choi, S. J. Hwang, and H. L. Lee, Expression of MMP-9 and TIMP-1 in the nasal mucosa of allergic rhinitis, Korean J Otolaryngol, 43(6), 604 (2000). 

  10. J. T. Lee, K. J. Woo, and T. K. Kwon, Effect of sulforaphane on LPS-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Journal of Life Science, 20(2), 275 (2010). 

  11. J. W. Lim, Y. J. Cho, D. H. Lee, B. C. Jung, H. S. Kang, T. J. Kim, K. J. Rhee, T. U. Kim, and Y. S. Kim, Upregulation of MMP is mediated by MEK1 activa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monocyte into macrophage, J. Exp. Biomed. Sci, 18(2), 104 (2012). 

  12. M. Steenport, K. M. Faisal Khan, B. Du, S. E. Barnhard, J. Andrew, and D. J. Falcon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3 induce macrophage MMP-9: Evidence for the role of TNF- ${\alpha}$ and cyclooxygenase-2, J. Immunol., 183(12), 8119 (2009). 

  13. S. Ryan, A. G. Abdel, A. Nikola, and N. Salvador, Suppression of LPS-induced matrix-metalloproteinase responses in macrophages exposed to phenytoin and its metabolite, 5-(p-hydroxyphenyl-), 5-phenylhydantoin, Journal of Inflammation, 7(48), 48 (2010). 

  14. J. C. Fantone and P. A. Ward,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m. J. Pathol, 107(3), 395 (1982). 

  15. R. K. Oh, M. J. Lee, Y. O. Kim, B. H. Nam, H. J. Kong, J. W. Kim, C. M. An, and D. G. Kim,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 from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Journal of Life Science, 26(11), 1259 (2016). 

  16. J. K. Seo, Screening and purification of an antimicrobial peptide from the gill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Korea. J. Fish Aquat Sci, 49(2), 137 (2016). 

  17. C. S. You, J. H. Jung, and D. K. Lee, An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formation of lipid membrane fragmentations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antimicrobial peptide pexiganan (MSI-78) and lipid bilayer membranes, Biomater. Res, 17(4), 168 (2013). 

  18. H. S. Kim, H. S. Jeong, J. Kim, A. Y. Yun, K. W. Lee, and S. H. Cho, Substitution effect of fish meal and saccharina with soybean meal and ricc bran in the extruded pellet on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Korean. J. Fish Aquat Sci, 50(6), 731 (2017). 

  19. S. Y. Lim, Cyt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l) extracts, Extracts, Journal of Life Science, 24(7), 737 (2014). 

  20. S. M. Lee, C. S. Park, and D. S. Kim, Effects of dietary herb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Korean. J. Fish Aquat Sci. 34(5), 570 (2001). 

  21. S. Y. Moon, H. S. Yoon, D. C. Seo, and S. D. Choi, Crowth comparison of juvenile abalone, in different culture systems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Aquaculture, 19(4), 242 (2006). 

  22. M. J. Yoo and H. J. Chung,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the drinking of disk abalone, Koran. J. Food Culture, 22(6), 827 (2007). 

  23. J. K. Seo, M. J. Lee, B. H. Nam, and N. G. Park, cgMolluscidin, a novel dibasic residue repeat rich antimicrobial peptide, purified from the gill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Fish Shellfish Immunol, 35(2), 480 (2013). 

  24. J. K. Seo, H. J. Go, C. H. Kim, B. H. Nam, and N. G. Park, Antimicrobial peptide, hdMolluscidin, purified from the gill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Fish Shellfish Immunol, 52, 289 (2016). 

  25. B. H. Nam, J. Y. Moon, E. H. Park, Y. O. Kim, D. G. Kim, H. J. Kong, W. J. Kim, Y. J. Jee, C. M. An, N. G. Park, and J. K. Seo, Antimicrobial activity of peptides derived from olive flounder lipopolysaccharide binding protein/bactericidal permeability-increasing protein (LBP/BPI), Mar Drugs, 12(10), 5240 (2014). 

  26. R. I. Lehrer, M. Rosenman, S. S. I. Harwig, R. Jackson, P. Eisenhaur, Ultrasensitive assay for endogenous antimicrobial polypeptides, J. Immunol Methods, 137(2), 167 (1991). 

  27. World Medic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JAMA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3). 

  2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Clinical test and in vitro test guideline for cosmetics (2011). 

  29. P. J. Frosch and A. M. Kligman, The soap chamber test, A new method for assessing the irritancy of soaps, J. Am. Acad. Dermatol, 1(1) 35 (1979). 

  30. Y. Yamamoto, P. He, T. Klein, and H. Friedman, Endotoxin induced cytotoxicity of macrophages is due to apoptosis caused by nitric oxide production, J. Endotoxin Research, 1(3), 181 (1994). 

  31. S. Y. Kim, Effects of long-term treadmill exercise on heme oxygenase-1 expression in mouse tissues, Exercise Sci, 19(1), 15 (2010). 

  32. J. L. Adams and C. J. Czuprynski, Mycobacterial cell wall components induce the production of TNF- ${\alpha}$ , IL-1, and IL-6 by bovine monocytes and the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Microbial pathogenesis, 16(6), 401 (1994). 

  33. M. Iwamoto, M. Kurachi, T. Nakashima, D. Kim, K. Yamaguchi, T. Oda, Y. Iwamoto, and T. Muramatsu,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alginate oligosaccharides in the induction of cytokine production from RAW264. 7 cells, FEBS lett, 579(20), 442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