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역량과 교육내용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An Exploration for Direc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nd Content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119 - 144  

박주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의 역량과 교육내용,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핵심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교육내용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UNESCO의 MIL과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UNESCO의 MIL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정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과 역량을 많이 반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가 미디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보다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 용어라 할 수 있었다. 셋째, UNESCO의 MIL은 정보 리터러시보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보다 많이 반영하였다. 넷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도서관과 정보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담아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역량들과 도서관과 정보생활은 문화적 감수성 역량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는 정보 리터러시의 역량을 넘어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융합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edia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UNESCO'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and AASL's key competencies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각 교과에서는 교과의 특성에 맞는 교과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모든 주제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와 연계될 수 있으나 국어, 사회, 정보, 과학, 미술 교과에서 제시한 핵심역량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와 AASL(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이 제시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과 비교하고,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 Median and Information Literacy) 교육내용과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내용을 명시적 수준에서 내용 매핑(content curriculum mapping)으로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세부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학생과 시민들이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를 동시에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짐에 따라 이들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역량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ESCO의 MIL 역량과 교육내용,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핵심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및 도서관과 정보생활의 교육과정과 비교하고 분석하여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미디어와 미디어 속 정보 리터러시를 제시한 기준과 내용을 분석하여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 교육 계획이나 관련 법안이 중요하게 다루는 역량은 무엇인가? 1)과 관련된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미디어 교육 계획이나 관련 법안 모두 미디어 속 정보를 비판적으로 해독하고 평가하는 역량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뿐만 아니라 미디어 속 정보를 활용하는 역량을 단순히 ‘미디어’라는 하나의 개념에 포괄하여 사용한 것이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내용을 세부적으로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UNESCO의 MIL,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들이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UNESCO의 MIL 개발 과정을 살펴보고, MIL의 역량과 교육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미디어 리터러시 용어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적절히 담아내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넷째, AASL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기준에 제시된 핵심 역량과 수행 역량을 분석한다. 다섯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내용을 UNESCO의 MIL 교육내용과 비교하고 분석한다.
미디어란 무엇인가? 미디어는 언론 기관과 같은 정보 제공 기관에서부터 동화책이나 잡지와 같은 서적이나 텔레비전, DVD 재생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의미하기도 하며 또 DVD 재생기와 같은 도구를 통해서만 담고 있는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DVD를 비롯하여 스마트 폰과 스마트 폰에 사용되는 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김정현, 2014; 박주현, 박성훈, 강봉숙, 2019; 이미화, 2013). 또한, 미디어는 여전히 대중 매체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매체와 동일한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이효휘, 이경진, 2019,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ang, J. S., Bae, H. S., Kim, J. Y., Park, Y. S., & Yeom J. H.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itizen competencies through the operation of media literacy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 Ministry of Education (2015).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15-74, general theory of curriculum from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urriculum of each subject. 

  3. Ministry of Education (2019). A plan to support internalization of school media educa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4.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100대 국정과제 목록. Retrieved from http://www.korea.kr/common/download.do?tblKeyEDN&fileId211947 

  5. 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42(3), 271-292. https://doi.org/10.16981/kliss.42.3.201109.271 

  6. Kim, Yang-Eun (2005). Study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28, 77-110. 

  7. Kim, Jeong-Hyen (2014). A study on the FRBR model of national bibliographic data based on RDA.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8. Min, H., Sin, M., Oh, H., Lee, J., An, J., Cho, J., & Park, J. (2019). Language and media. Seoul: Chunjae Education. 

  9. Park, Juhyeon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267-300.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67 

  10. Park, Juhyeon, Park, Sunghoon, & Kang, Bong-suk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type according to media concept and class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3), 81-107.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081 

  11. Bang, M., An, H., Shin, S., Oh, H., Lee, Y., & Kim, T. (2019). Language and media. Seoul: Mirae-n. 

  12. Shin, K., Kim, S., Yoo, S., Park, H., Kim, K., Ko, Y., … & Byeon, J. (2018). Media education support bill. Retrieved from 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 

  13. Yoo, E., Ahn, M., Woo, S., Yoon, S., Lee, S., Jung C., … & Shim, K. (2018). A bill on activating media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 

  14. Lee, Mihwa (2013). A study on consideration in KCR4 through testing the description of content types and media types of ISBD and RD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119-137. https://doi.org/10.4275/KSLIS.2013.47.3.119 

  15. Lee, Byeong-Ki (2019).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3(2), 49-68.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49 

  16. Li, Xiaohui, & Lee Kyoungjin (2019). A study on activation of chinese media literacy education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2), 291-300.https://doi.org/10.35873/ajmahs.2019.9.2.029 

  17. Jeong, HyeonSeon, Kim, Amie, Park, Yooshin, Jeon, Gyeongran, Lee, Jisun, & Noh, Jayeon (2016). Media literacy as 21st century key competence: Systematizing media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211-238.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1.211 

  18. Korea Library Association. 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2007).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standards.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19.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LA. 

  20.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8). AASL standards framework for learners. Chicago: ALA. 

  21. Anderson, Lorin W. et al. ed.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22. Battelle for Kids (2019).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definitions. Retrieved from http://static.battelleforkids.org/documents/p21/P21_Framework_DefinitionsBFK.pdf 

  23. Bloom, Benjamin S. (Ed.)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McKay. 

  24. Brayan, L. (2018). Media literacy & the AASL standards. Knowledge Quest, 47(1), 39-44. 

  25. Collins (2020). Collins online english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www.collinsdictionary.com/ 

  26. Irving S. Gilmore Music Library in Yale University Library (2020). RDA. Retrieved from https://web.library.yale.edu/cataloging/music/rda 

  27. Kymes, A. (2011). Media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A need for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ction in Teacher Education, 33, 184-193. 

  28. Li, Xiaohui, & Lee Kyoungjin (2019). A study on activation of chinese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2), 291-300.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2.029 

  29. McLuhan, M. (1969). Understanding media. New York: McGraw-Hill. 

  30. National Planning Advisory Committee (2017). List of top 100 national projects. Retrieved from http://www.korea.kr/common/download.do?tblKeyEDN&fileId211947 

  31. OECD (2010).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Paris: OECD. 

  32. OECD (2018). Education 2030 curriculum content mapping: An analysis of the netherlands curriculum proposal. Paris: OECD. 

  33. OECD (20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oecd learning compass 2030. Paris: OECD. 

  34. Tyner, K. (1998). Literacy in a digital worl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nd Associates. 

  35. UNESCO (2013). 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Country readiness and competencies. Paris: UNESCO. 

  36. Wilson, C., Grizzle, A., Tuazon, R., Akyempong, K., & Cheung, C. K. (2011).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teachers. Paris: UNESCO. 

  37. 文部科?省 (1998). ?校?書館司書?諭講習規程の一部を改正する省令について (通知) Retrieved from https://www.mext.go.jp/a_menu/shotou/dokusho/link/1327076.htm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