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 분석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and Curriculum of UNESCO'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2, 2020년, pp.349 - 374  

박주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가 제안한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의 개념과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을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탐구하여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얻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UNESCO는 미디어 교육에서 정보 리터러시의 특성과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MI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정보 리터러시와 도서관 리터러시는 MIL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또한 UNESCO는 MIL 교육과정의 필수적인 영역으로 '정보 리터러시와 도서관 역량(skills)'을 제시하였고, 핵심역량과 성취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서관학의 5법칙을 토대로 MIL의 5법칙도 제시하는 등 MIL 교육과정은 정보 리터러시와 도서관 리터러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문헌정보학에서 MIL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이유와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contents, and curriculum of MIL(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proposed by UNESCO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vis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서관과 정보생활은 학생들의 정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과로 Big6 Skills를 적용하여 정보활용과정에서 요구되는 과제설정,탐색전략 수립, 접근, 분석, 해석, 평가의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영역 8은 교육적 맥락에서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리터러시, 도서관 스킬 및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와 스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영역은 교사들이 오늘날의 세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정보 자원에 접근하고 사용하는 스킬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보와 정보 리터러시 및 디지털 기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이해할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영역 8의 중단원의 주요 주제 및 학습 목표는 <표 8>과 같다.
  • 그러나 UNESCO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차이점뿐만 아니라 두 리터러시의 관련성에도 관심을 갖고, 이들 리터러시들을 융합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어 탐구 기반 역량의 개발과 미디어 및 정보 채널(사용하는 형식 및 기술에 관계없이)에 의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강조하고자 MIL을 제시하였다.
  • 또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의 개정이 필요한 시점에서 역량과 성취기준 및 교육내용이 제시되어 있는 MIL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UNESCO가 제안한 MIL의 개념과 교육과정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로 도서관에서 MIL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과 MIL 교육과정 운영 및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UNESCO의 MIL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탐구하고 MIL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도서관에서 MIL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MIL 교육과정 운영 및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가설 설정

  • Pasadas(2007)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지도,UNESCO의 MIL, P21의 정보와 미디어와 기술 스킬, OECD의 PISA에 제시된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이나 구성요소에는 미디어에 써지지 않는 정보는 인간의 직접적인 의사전달 행위를 제외하고는 전달될 수 없으며, 정보는 미디어에 담기지 않고서는 표현될 수 없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미디어와 정보가 편지지와 편지지에 써진 글과 같은 불가분의 관계로 미디어와 정보가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하나의 교육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 <그림 1>은 인간의 생각이 현실 세계에서 말하고 듣는 활동으로 나아가고, 읽고 쓰고 셈하는 기본적인 능력에서 ICT 스킬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수준을 거쳐 맨 마지막 단계인 정보 리터러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그녀는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상관없이 모든 사회에서 정보요구를 파악하고 정보를 찾고 접근하고, 정보를 평가하고, 정보를 조직하고, 정보를 사용하고, 정보를 전달하고 윤리적으로 사용하는 정보 리터러시가 가장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스킬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그림 1>은 ICT 스킬과 미디어 리터러시 및 정보 리터러시가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측면에서 많은 공통된 영역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의 역할은 무엇인가? 또한 만 18세의 선거 참여와 더불어 가짜 뉴스나 불법적 디지털 정보 자원 등이 전파될 수 있는 미디어(media) 채널과 미디어를 통한 정보 평가와 활용이 보다 중요한 사회적 논의거리로 등장하였다. 지식정보 사회에서 미디어는 세상에 존재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창으로 미디어는 인간이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이에 미디어와 미디어 속 정보를 바르게 평가하고 활용할 수있는 능력은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역량이며 또한 민주 시민으로서 지역, 국가, 국제 사회에 참여하고 자신들의 의견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인 역량이다.
정보 리터러시 역량이란 무엇인가? UNESCO는 UN이 제정하고 발표한 세계인 권선언 제19조와 유네스코 헌법 제1조에 제시된 의사 표현과 정보 표현의 자유 및 미디어와 미디어 속 정보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역량이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역량이라고 판단하 였다. 그리고 UNESCO는 사람들이 어떤 미디 어를 통해서든 지역과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미디어와 미디어 속 정보 및 생각에 접근하고 정보를 주고받으며, 평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MIL 추진 전략, 지표 및 교육과정을 개발 하고 있으며 국제 행사도 개최하고 있다.
최근 미디어의 접근과 미디어 속 정보평가가 중요하게 인식된 원인은 무엇인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국내 교육에서도 온라인 개학과 온라인 수업이 실시 되어 ICT 기기의 활용과 더불어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또한 만 18세의 선거 참여와 더불어 가짜 뉴스나 불법적 디지털 정보 자원 등이 전파될 수 있는 미디어(media) 채널과 미디어를 통한 정보 평가와 활용이 보다 중요한 사회적 논의거리로 등장하였다. 지식정보 사회에서 미디어는 세상에 존재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창으로 미디어는 인간이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ang, Bong-Suk. 2018. "A Case Study on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to Reduce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Due to the Education Ga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3): 307-329. 

  2. 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271-292. 

  3. Kim, Soojung. 2015.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3): 207-239. 

  4. Kim, Jong-Sung. 2019. "Current Issues and Prospects of the Era of School Library Promotion Act-with a focus on manpower issu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4): 159-180. 

  5. Park, Juhyeon.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ization Model for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267-300. 

  6. Bae, Kyung-Jae and Park, Hee-Jin. 2013.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241-265. 

  7. Song, Giho. 2011.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29-50. 

  8. Lee, Byeong-Ki.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Tools of Performance Task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1-50. 

  9. Lee, Byeong-Ki. 2019.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3(2): 49-68. 

  10. Jung, Youngmi. 2018. "A Study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US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1): 359-380. 

  11. Chung, Jun-Min. 2009. "A Library Service Model Toward Ubiquitous Ci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3): 163-169. 

  12. Chung, Jun-Min. 2013. "An Analytical Approach to One-Person-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25-47. 

  13. Choi, Jae-Hwang. 2016. "Considering Core Ideas of ACRL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2015)'."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3): 171-191. 

  14. Korea Library Association. 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2007.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Standards.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15. ALA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online] [cited 2020. 3. 1.] 

  16.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8.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 for learners, School Librarians, and School Libraries. Chicago: ALA. 

  17.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LA. 

  18.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e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 Badke, W. 2009. "Media, ICT, and Information Literacy." Online, 33(5): 47-49. 

  20. Battelle for Kids. 2019.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Definitions. [online] [cited 2020. 2. 20.] 

  21. Catts, R. 2010. UNESCO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 Validation Report. Paris: UNESCO. 

  22. Catts, R. and Lau, J. 2008. Towards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 Paris: UNESCO. 

  23. Celot, P. and Perez Tornero J. M. 2009. A Comprehensive View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and an Understanding of how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 should be assessed. [online] [cited 2020. 2. 10.] 

  24. Eisenberg, M. and Berkowitz, R. 1988. Curriculum initiative: an agenda and strategy for library media programs. Norwood, N.J.: Ablex. 

  25. Grizzle A. and Singh J. 2016. "Five Laws of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s Harbingers of Human Rights." In Singh, J., Kerr, P. & Hamburger, E. ed. MILID Yearbook 2016,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Reinforcing Human Rights, Countering Radicalization and Extremism. Paris: UNESCO. 

  26. IFLA. 2015. The Alexandria Proclamation on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long Learning. [online] [cited 2020. 3. 15.] 

  27. IFLA. 2020. COVID-19 and the Global Library Field. [online] [cited 2020. 5. 8.] 

  28. Lin, T., Mokhtar, I. A. and Wang, L. 2015. "The construct of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in Singapore education system: global trends and local policies."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5(4): 423-437. 

  29. Murray, T., Clermont, Y. and Binkley, M. 2005. "Measuring Adult Literacy and Life Skills: New Frameworks for Assessment." Statistics Canada, Catalogue no. 89-552-MIE, no.13 

  30. No Child Left Behind Act of 2001. 2002. Public Law 107-110. [online] [cited 2020. 3. 1.] 

  31. OECD. 2008. The OECD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aris: OECD. 

  32. OECD. 2010.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Paris: OECD. 

  33. OECD. 2016. PISA 2018 Draft Analytical Frameworks May 2016. [online] [cited 2020. 4. 3.] 

  34. Office of Communication. 2020. What is Ofcom's definition of media literacy? [online] [cited 2020. 4. 3.] 

  35. Pasadas, C. 2007. Personal communication with J Lau. 

  36. Singh, J., Kerr, P. and Hamburger, E. 2016. MILID Yearbook: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Reinforcing Human Rights, Countering Radicalization and Extremism. Paris: UNESCO. 

  37. UNAOC. 2013. Freedom of Expression Toolkit. [online] [cited 2020. 3. 3.] 

  38. UNESCO. 2011.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teachers. [online] [cited 2020. 1. 5.] 

  39. UNESCO. 2013. 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country readiness and competencies. [online] [cited 2020. 2. 10.] 

  40. Zurkowski, P. G. 1974. The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Priorities.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 Related Pater No. 5. [online] [cited 2020. 3. 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