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체 기억보존센터로서의 도서관 운영 및 큐레이션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Plan for Library Operation and Curation Provision as a Community Memory Preservation Center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2, 2020년, pp.53 - 70  

곽우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 삶의 기억 수집·보존·관리 체계 구축 지원이라는 정책 과제를 기반으로 지역별 역사·향토자료 콘텐츠 수집과 공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동체 기억보존의 중심지로서의 도서관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원 및 지역기록관 등 지역 기반 자료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관의 자료 수집 및 관리,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 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사례와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원에서는 축제나 문화예술 행사, 문화예술 교육사업, 지역주민의 예술 활동 사업 등과 같은 사회교육 측면에서의 외부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향토자료 조사 연구 및 발간을 비롯한 관리 업무까지 병행되어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주민에게 정보서비스는 물론 문화프로그램 제공, 정보공유 공간 제공, 취약주민에 대한 서비스 제공 등 상당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보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 이 필요하다. 기존 도서관의 경우 체계적인 자료 수집 방안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문화원 및 각종 문화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료 관리를 원활히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도서관이 자료를 구축하고, 자료 이관이 어려운 자료가 많으며, 모든 자료를 도서관으로 집중하여 구축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도서관과 지역 행정기관의 자료, 기타 유관기관, 개인의 자료를 모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언제든지 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모으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need for building the library as a hub of the community memory preservation which provides the collection, sharing, and curation services of the locality specific historical and local data based on the policy task, namely supporting the collection, preservatio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의 분석 내용을 통해 지역 기관 및 기타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국내 도서관에서의 향토자료, 지역자료에 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실행한 사례와 동향을 파악하여 공공도서관이 공동체 기억보존센터로 많은 양의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큐레이션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조).
  • 이를 위해, 첫째, 문화원 및 지역기록관 등 지역 기반 자료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관의 자료 수집 및 관리,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여 도서관에서 수집․관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쨰, 기억보존센터의 기능을 이행하기 위하여, 지역 거점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지역시민, 연구자, 행정기관 등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큐레이션 서비스의 필요성과 도입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사례와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의 문서, 도서, 영상 정보 등 정보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도서관에서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을 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도서관이 지방문화역 사센터로서의 통합적 기능을 갖춘 기관으로서 발전하기 위한 수집 및 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도서관은 전통적으로 기록보존소로서의 역할 을 수행해왔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지역 고유의 자료, 향토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할 뿐 만 아니라 서비스하는 기관으로 점점 진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지역 자료의 경우 개인, 기관, 단체 등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이 보유하고 있어 그 목적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서관이 지역과의 연계 협력을 통해 자료를 직접 구축할 뿐만 아니라, 지역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현황 분석을 통해 지방문화원, 박물관 등이 아닌 도서관에서 기억보존센터의 역할을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 삶의 기억 수집·보존·관리 체계 구축 지원이라는 정책 과제를 기반으로 지역별 역사·향토자료 콘텐츠 수집과 공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동체 기억보존의 중심지로서의 도서관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의 문서, 도서, 영상 정보 등 정보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도서관에서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을 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도서관이 지방문화역 사센터로서의 통합적 기능을 갖춘 기관으로서 발전하기 위한 수집 및 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그동안 향토자료 및 지역자료에 대한 도 서관과 향토원, 박물관 등 관련 기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해 몇몇 연구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도서관에서 보유 중인 자료에 대해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고 있는 사례도 있지만, 향토자료와 지역자료 정보가 각 기관이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가 집합되지 않아 접근성과 활용도가 낮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향토자료와 지역자료의 중앙기관이 되어서 공동체 기억보존센터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 거듭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큐레이션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 고자 한다.
  • 최영실과 이혜영(2012)은 문서, 도서, 영상 정보 등 정보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한 기관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와, 많은 수의 박물관에 비해 기록관은 부족한 현재의 상황, 그리고 공공도서관 기능 확대의 필요성 등을 근거로 하여 지방문화역사 센터로서의 통합적 기능을 갖춘 라키비움 형태 의 협력기관설립을 주장하였다. 또한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요건을 비교․분석하여 각 기관들의 업무 및 기능에 대한 유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밖에도 김지영(2012)은 기록이용의 증가와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 이용자 만족도 상승으로 인한 기록관 인식의 변화, 기록관과 도서관이 가지는 가치의 상승 등을 기대효과로 주장하며 기록관과 도서관의 협력 방안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 도서관이 지역의 기억보존센터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기록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또 다른 기관인 문화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문화원의 보존 공간 및 인력 운영에 대한 문제점 등의 현황 분석을 통해, 도서관이 지역의 기억보존 기관으로의 역할 수행에 있어 더 적절한 기관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문화원 및 지역 기록관 현황 분석을 진행하고, 도서관의 향토자료 보존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공동체 기억을 좀 더 체계적으로 집약하고 폭 넓게 전파함으로써 지역문화유산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그동안 향토자료 및 지역자료에 대한 도 서관과 향토원, 박물관 등 관련 기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해 몇몇 연구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도서관에서 보유 중인 자료에 대해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고 있는 사례도 있지만, 향토자료와 지역자료 정보가 각 기관이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가 집합되지 않아 접근성과 활용도가 낮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 선행연구를 살펴보기에 앞서, 국내의 기록물 관리기관과 도서관의 협력방안에 관한 논문과, 지방기록물관리에 대한 연구, 대학의 기록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등 유형에 따른 기록관리 기관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도서관을 단일로 하여 공동체 기억보존센터나 기록물관리기관과 같은 중심지 역할을 하도록 제안하는 연구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서관이 지역의 총체적인 기억보존센터의 공간적 기능과 서비스를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의 기록관과 도서관과 연계된 라키비움 형태의 기록관 협력 방안과 같은 선행연구의 조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공동체 기억보존센터로서의 역할을 제안하고 도서관이 수집 및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큐레이션 서비스 방안 정도로 제안을 마무리하였다. 하지만 후속 연구를 통해 직접적인 정보 구축 방안 및 큐레이션 서비스 구축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기록(향토자료, 지역 자료 등)을 보존하기위해, 지역의 기록을 공동 으로 수집하고 활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공동체 기록보존센터로서의 도서관 구축 필요성을 기반으로 구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공동체 기록보존센터로 도서관에서 지역 주민, 향토·역사 등을 지역주민에게 직·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방향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도서관이 지역 거점 기억보존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관련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도서관이 지역의 기록을 보존하여야 하는 목적과 역할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뿐만 아니라, 공동체 기록보존센터로 도서관에서 지역 주민, 향토·역사 등을 지역주민에게 직·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방향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첫째, 문화원 및 지역기록관 등 지역 기반 자료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관의 자료 수집 및 관리,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여 도서관에서 수집․관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쨰, 기억보존센터의 기능을 이행하기 위하여, 지역 거점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방대한 양의 자료를 지역시민, 연구자, 행정기관 등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큐레이션 서비스의 필요성과 도입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 지역의 기록물과 기록정보, 향토자료 등을 종 합적으로 수집·보존하는 공동체 기억보존센터 를 계획하기에 앞서, 현재 지역 향토자료를 포함한 기록물을 어떻게 관리하고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과 사례를 살펴보 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tional Library Press Release. 2019. We will digitize Local Materials in Public Libraries across the Country. [online]. [cited 2019.9.26]. . 

  2. Kim, Minkyung and Seongsin Lee. 2014. "The Collaborative Workplace among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The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7(1): 1-24. 

  3. Kim, Sohee. 2016. A Study on the Expanded Range of Identity Design for Preserving Social Memories: Focusing on Anniversary Identity.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Design, College of Fine Art. 

  4. Kim, Ji Young. 2012. A Study on A Method to Cooperate Archives and Library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M.A.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Informaion Science. 

  5.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9.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19-2023). Sejong: 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Constructing a Regional Preservation Library.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2018 National Cultural Infrastructure Overview.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8. 박성현. 2019. 한국인의 삶의 질, 통계적 지표에 의한 현황과 개선 방향. 학술원논문집(자연과학편), 58(1): 89-109. 

  9. BR Netcomm. 2016. Research Servic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ial Library's Information Strategy Plan. Chungcheongnam-Do: Chungnam Library. 

  10. Seol, Moon-Won.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2): 3-43. 

  11. The Institute of Archiving Network. 2018. Archiving Guide 1 Archiving Guide for Regional Recorders: Administration. Gyeonggi-do: Gyeonggi-do Cyber Library. 

  12. Lee, Jin-Min. 2002.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ocal/Community In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M.A.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 Jang, Yuni. 2014.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Digital Archives of Modern archives in Incheon."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20: 147-192. 

  14. Choi, Youngsil and Hae-young Rieh. 2012. "Functional Planning of Larchiveum that Integrates the Function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Bbilia Society for Llibrary and Informaion Science, 23(4): 457-477. 

  15. Choi, Younghwa. 2014. Chungnam Regional Cultural Center Oper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Gongju: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16. Choi, Jung-Eun. 2010. The Strategies for Building Online-Archive of Local Historical Records: Focusing on Incheon City. M.A. thesis.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Records Management. 

  17. Haksan Culture Center and Media Learning Institute. 2012. Haksan Culture Center 'Perforation' Strategy-Research of the Cultural Center's Vision and Basic Plan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cheon: Haksan Culture Center. 

  18.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편찬위원회 편.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9. Korea Special Library Association. 2019. Digital Content Curation Service Case Study and Service Plan Study Result Report. Daejeon: Korea Special Library Association. 

  20. 도서관법 제2조 1항. [online]. [cited 2019.9.26]. . 

  21. 지방문화원진흥법 시행령 제6조 제1항. [online]. [cited 2019.9.26]. . 

  22. 지방문화원진흥법 제8조. [online]. [cited 2019.9.26]. . 

  23. 경주시립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24. 국립세종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25.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26. 대구서부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27. 부산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28.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지식정보DB. [online]. [cited 2019.9.26]. . 

  29. 수원선경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30. 인천화도진도서관. [online]. [cited 2019.9.26]. . 

  31. 한국문화원연합회. [online]. [cited 2019.9.26].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