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 분석: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3, 2020년, pp.73 - 82  

손예동 (우석대학교 간호대학) ,  최혜선 (우석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로,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은 8.2%로 피임 방법은 콘돔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교에서 성교육을 들은 경험이 있었다. 이들의 성관계 경험은 학년, 학업성적, 경제상태, 거주형태, 스트레스, 평생 음주 및 흡연 경험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의 성행태에 관련이 있는 요인을 반영하여 성교육을 하는 것이 이들의 성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xu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Complex-sampl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SPSS 25. Among adol...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계층별, 집단별로 층화하여 조사한 대표성을 띤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국가자료[18]를 이용하여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피임 실천, 피임 방법 등 성행태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성행태 실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은 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성행태 실태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표하는 청소년건강 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성행태 실태를 확인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관계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성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18] 빅데이터 자료를 이차 분석한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계층별, 집단별로 층화하여 조사한 대표성을 띤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국가자료[18]를 이용하여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성관계 경험, 피임 실천, 피임 방법 등 성행태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를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은가? 이들의 성관계 경험은 고등학생인 경우,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음주 경험이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는 그들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성교육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청소년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에게 적절한 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2018년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은 얼마나 되는가? 최근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은 결혼이민자와 혼인 귀화자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2018년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은 총 25,053 가구이고, 이 중 결혼이민자나 귀화자의 대부분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1]. 과거에는 주로 다문화가정의 부모, 특히 결혼한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국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피임 실천은 과거에 비해 높아졌지만, 유럽이나 미국의 청소년의 피임실천에 비해 여전히 낮은 편이다. 국내의 피임확률은 어떻게되는가? 피임 실천은 본 연구결과에서 성관계 경험이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중 항상 피임을 한다는 청소년은 절반에도 못 미쳤으며, 주로 사용하는 피임 방법은 콘돔이었다. 2007~2009년 청소년건강행태 조사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성관계 경험이 있는 국내 청소년 중 항상 피임을 하는 경우는 24~27% 정도였고, 피임방법 중에서 콘돔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국외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럽, 캐나다, 이스라엘의 14~16세 청소년들은 마지막 성교 시 피임을 한 경우가 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9). An investiga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Seoul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 S. J. Kang & S. M. Sohn. (2011). A case study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erception of fou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infa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6(6), 161-188. 

  3. S. H. Song & H. J. An. (2011). Experience of child-rearing of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2), 167-179. DOI : 10.12934/jkpmhn.2011.20.2.167 

  4. W. J. Lee & S. Kim. (2014). Study of multicultural children's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367-1374. DOI : 10.5762/KAIS.2014.15.3.1367 

  5. K. H. Kim, J. H. Yi & H. M. Hong. (2013). Rethinking immigration, remaking identites: exploration of ethnic identity among the immigreant adolescents and the adolescents born in marital-immigrant famil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cial Welfare Studies, 244(1), 165-192. 

  6. S. H. Han. (2015).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school adjustment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7. W. K. Lee, H. E. Yu & C. H. Lee. (2019).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linquency of multi-cultural juvenile.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74, 65-90.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Kore 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Retrieved May 5, 2019,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_12_Y056&vw_cdMT_ZTITLE&list_id117_11758_003&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9. B. S. Hong & M. A. Nam. (2012). Effects of exposure to internet phonography on sexual assault and prostitu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0, 9-39. 

  10. Y. K. Yang. (2012).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s, and need for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3), 159-169. DOI : 10.4069/kjwhn.2012.18.3.159 

  11. J. W. Yoon, R. I. Hwang & M. K. Lim.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experience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y residential areas : using data from the 10th (2014)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5), 2733-2750. 

  12. E. K. Lee & Y. B. Kim.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Women's Studies, 27(1), 143-182. 

  13. Y. J. Kim & C. S. Lee. (2005). The effects of parents' sexual education on adolescents' sexual behavio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2(2), 250-268. 

  14. E. H. Park. (2017).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and direction of sex education in adolescents : focusing on gender-sensitive sex educ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10), 365-386. DOI : 10.21509/KJYS.2017.10.24.10.365 

  15. H. J. Lee & G. J. Lee. (2019). Suicidal behaviors of culturally diverse adolescents with sexual experience: using date from the 10-12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8(3), 205-215. DOI : 10.12934/jkpmhn.2019.28.3.205 

  16. S. J. Nam. (2015). Differences in sexual experiences between general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 verifying regulation effects of fathers' education and sex educat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ciation, 27(1), 1-12. 

  17. S. H. Lee, J. H. Yoo, M. E. Yun & S. S. Chun. (2015). Correlate of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6(2), 45-57. 

  18.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Retrieved January 1, 2020, from http://www.cdc.go.kr/yhs 

  19. B. S. Lee, J. S. Kim & K. S. Kim. (2013). Factors that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64-75. DOI : 10.5932/JKPHN.2013.27.1.64 

  20. H. S. Lim. (2017).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efficacy on educational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dolescent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202-214. DOI : 10.5392/JKCA.2017.17.12.202 

  21. T-C. E. and A. T. Vazson. (2009). Risky sexual behaviors in first and second generation Hispanic immigrant youth.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8(5), 719-731. DOI : 10.1007/s10964-008-9369-5 

  22. H. J. Lee & H. S. Kang. (2011). Rates and methods of contracep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from 2007 to 2009.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2). 148-156. DOI : 10.4069/kjwhn.2011.17.2.148 

  23. M. de Looze, A. S. Madkour, T. Huijts, N. Moreau & C. Currie. (2019). Country­level gender equality and adolescents' contraceptive use in Europe, Canada and Israel: findings from 33 countrie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51(1), 43-53. DOI : 10.1363/psrh.12090 

  24. J. C. Abma & G. M. Martinez. (2017). Sexual activity and contraceptive use among teenagers in the United States, 2011-2015. National Health Statistics Reports, 104, 1-23. 

  25. S. Y. Lee, H. J. Lee, T. K. Kim, S. G. Lee & E. C. Park. (2015).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and first sexual intercourse age in adolescents: the nationwide retrospective cross sectional study. The Journal of Sexual Medicine, 12(12), 2313-2323. DOI : 10.1111/jsm.13071 

  26. I. S. Lee, E. H. Park & J. J. Lee. (2006). A survey of attitude toward sex of unmarried women in South Korea.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9(1), 157-167. 

  27. E. Y. Lee.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3), 624-634. DOI : 10.5392/JKCA.2019.19.03.624 

  28. G. Y. Lee. (2016). Sexual behaviors and sexual experience of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71-80. DOI : 10.5762/KAIS.2016.17.12.71 

  29. H. S. Park, J. H. Yu & B. Y. Park.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5), 771-777. 

  30. A. Oshri, J. G. Tubman & M. L. Burnette. (2012). Childhood maltreatment histories, alcohol and other drug use symptoms, and sexual risk behavior in a treatment sample of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S2), S250-S257. DOI : 10.2105/AJPH.2011.300628 

  31. K. S. Jun & M. K. Song. (2011).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djustment level by multicultural children's nationa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1), 305-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