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천시 오수량을 고려한 합류식 하수도 소류력 설계법과 이를 활용한 하수관거 개보수방안
A combined sewer design method using tractive force considering wastewater flow on non-rainy days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ement methods of sewer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4 no.3, 2020년, pp.211 - 220  

지현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유성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송호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강정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domestic sewage and rainwater runoff are discharged into a single sewer pipe, it is called a "combined sewer system." The sewage design standards in Korea specify the flow velocity based only on the volume of rainfall; therefore, sedimentation occurs on non-rainy days owing to the reduced flo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퇴적물의 이동 형태는 소류사와 부유사로 구분되고, 이들의 이동 특성에 따라 침강속도, 퇴적물의 농도, 점착성 등을 계산한다. 그러나 기존 하수도 설계 방법과의 연결성 문제, 국내 하수도 환경과의 적합성 여부, 혹은 청천시 유량에 대한 적합성 여부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 에서는 소류력 이론을 적용한 설계방법을 소개한다.
  • 본 연구는 그 대안으로 동수반경을 조절하여 유속을 증가시키는 간이복합단면과 복합단면 하수관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들은 원형관에 비하여 청천시에 높은 유속을 갖기 때문에 원형관에 비하여 굴착 깊이를 저감할 수 있다.
  • 아래에는 개보수 방안의 주요 기술이면서 소류력을 증가시키는 간이복합단면과 복합단면 하수관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 청천시 오수량이 매주 적다는 것과 Manning’s equation에서 동수반경이 유속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하수관의 조도계수나 동수반경을 상승시켜 굴착 및 경사조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보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 그러나 서울시와 같은 대도시의 모든 하수관에 새로운 경사 기준을 적용하기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용이 힘들다. 이를 위해서 굴착 및 경사 조정을 절감하는 하수관거 개보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복합단면은 원형관이나 사각형관 같이 한 가지 형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단면이 중첩되어 구성되는 단면이다. 하수관이 개발된 이래로 다양한 형상의 단면이 사용되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하부에 작은 반원형의 보조관을 갖는 복합단면을 적용하고자 한다.
  • 새로운 하수도설계기준이 도입되면 신규 하수도 공사지역은 적용이 용이하지만, 노후화 및 기타 파손으로 인한 하수도 개보수 대상지는 예산을 고려해서 개보수 방안을 결정해야 한다. 합류식 하수도에서 청천시 오수량에 대해 소류력을 적용하는 설계방법은 기존의 우수량만을 고려할 때 보다 좀 더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는 것에 대한 논증을 뒷받침해 준다. 청천시 오수량이 매주 적다는 것과 Manning’s equation에서 동수반경이 유속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수도의 역할은 무엇인가? 하수도는 하수·분뇨의 유출 및 처리·이용, 그리고 슬러지처리·이용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침수 예방과 생활환경 개선 및 수질보전이 주요 역할이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17a). 이 중 생활구역으로부터 하수를 배재하기 위해 지하에 하수관거를 매설하는데, 배재방식에 따라 분류식 하수도와 합류식 하수도로 구분한다.
하수도란 무엇인가? 하수도는 하수·분뇨의 유출 및 처리·이용, 그리고 슬러지처리·이용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침수 예방과 생활환경 개선 및 수질보전이 주요 역할이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17a). 이 중 생활구역으로부터 하수를 배재하기 위해 지하에 하수관거를 매설하는데, 배재방식에 따라 분류식 하수도와 합류식 하수도로 구분한다.
분류식 하수도의 장점은 무엇인가? 분류식 하수도는 오수관과 우수관이 별로도 매설되고, 합류식 하수도는 하나의 관에서 오수와 우수를 함께 이송한다. 분류식은 오수만을 처리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처리장 운영과 우천시 하천에 오수를 방류하는 일이 없어서 수질 관리상 유리하다. 그러나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가 하천에 직접 방류된다는 점, 오수관의 매설깊이가 깊어지는 점, 관로의 종류가 두 가지다보니 시공의 복잡성이 올라간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어 상황에 따라 분류식과 합류식이 사용된다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ckers, J.C., Butler, D. and May, R.W.P. (1996). Design of sewers to control sediment problems, London,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 and Information Association. 

  2. Ahyerre, M. and Chebbo, G. (2002). Identification of in-sewer sources of organic solids contributing to combined sewer overflows, Environ. Technol., 23(9), 1063-1073. 

  3. Beichert, J. (1992). Influence of sewer sediments on the overflow load for various combined sewer systems, Water Sci. Technol., 25(8), 217-224. 

  4. Bizier, P. (2007). Gravity sanitary sewer design and construction.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nd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Reston, VA, United State. 

  5. Enfinger, K.L. and Mitchell, P.S. (2010). "Scattergraph principles and practice: evaluating self-cleansing in existing sewers using the tractive force method",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0: Challenges of Change, 16-20 May, 2010, ASCE, Providence, RI, United State, (4458-4467). 

  6. Haestad, M., Walski, T.M., Barnard, T.E., Harold, E., Merritt, L.B., Walker, N. and Whitman, B.E. (2004). Wastewater collection system modeling and design. Haestad Press, Waterbury, Conn. 

  7. Ji, H.W., Yoo, S.S., Kim, J. and Koo, D.D. (2018).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reinforced Cured-in-Place Pipe (CIPP) liner composites for urban water infrastructure rehabilitation, Water, 10(8), 1-12. 

  8. Ji, H.W. and Yoo, S.S. (2018). The measures to reduce sewer odor in South Korea through sewer odor reduction system in Los Angeles and San Francisco,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32(5), 445-451. 

  9. K-water. (2019). LPCD, https://www.water.or.kr/statistic/resource/resource0202.do?seq1717&p_group_seq1040&menu_mode4 (February 11, 2020). 

  10. Lee, J.H., Park, Y.J., Kim, I.H., Nam, I.G., Kim, H.S. and Lee, J.K. (2008). Engineering of water supply and sewerage. Goomibook, 267-277.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Statics of sewerage 2015. 11-1480000-000159-10, 3-7.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7a). General description of sanitary sewer design, Korean design standard for sanitary sewer, http://www.kcsc.re.kr/Search/ListCodes/102057# (February 11, 2020).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7b). Design standard for conveyance facilities, Korean design standard for sanitary sewer, http://www.kcsc.re.kr/Search/ListCodes/102057# (February 11, 2020).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Korea precipitation frequency data sever, http://210.92.123.136/ (February 11, 2020). 

  15. Regueiro-Picallo, M., Naves, J., Anta, J., Puertas, J. and Suarez, J. (2016).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egg-shaped sewer pipes flow performance, Water, 8(12), 5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