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관 해석 프로그램을 통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수압 시스템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system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hrough piping analysis program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4 no.3, 2020년, pp.221 - 230  

최지혁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최용준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양흥식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이상호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최준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tual seawater desalination plant, the pressure loss due to frictional force of pipe is about 3~5 bar. Also, the pressure loss at pipe connection about 1~3 bar. Therefore, the total pressure loss in the pipe is expected to be about 4~8 bar, which translates into 0.111 to 0.222 kWh/㎥ of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록 배관 내부에서의 마찰에 의한 압력 손실 자체를 없앨 수는 어렵지만 배관 연결부에서의 압력 손실은 적절한 배관 설계를 통해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수담수화 플랜트 단위 공정별 배관에서의 압력 손실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플랜트 관망 해석을 할 수 있는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500 m3/day과 1,000 m3/day 규모의 담수화 시설에 대하여 배관 및 운전 조건별 유체역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해수담수화 플랜트 배관에서 발생되는 압력 손실을 줄여 전체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수압 시스템 영향 평가를 진행하였다.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SWRO 파일럿 플랜트를 참조하여 기본 모델을 구축하였고, 상용화 프로그램인 PIPENET을 통하여 배관에서의 압력 손실을 계산하였다.

가설 설정

  • 2와 같이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소규모 해수담수화 파일럿 플랜트 도면을 참조하였다. 설계에 이용된 펌프의 성능은 제공된 펌프특성곡선을 따라 설정하였으며, 배관에서의 압력의 손실만을 고려하기 위하여 각종 펌프(고압 펌프, 부스터 펌프, ERD 펌프)의 효율은 100%로 가정하였다. 단위 공정별 사용된 피팅 및 밸브의 loss coefficient(K)는 종류별로 0.
  • 8으로 설정하여 피팅과 밸브로 인한 손실을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전체 배관의 재질은 PVC계열의 재질로 가정하였고, roughness는 0.005~0.045 mm로 가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한외여과 필터와 카트리지 필터의 회수율은 100%로 가정하였으며, 역삼투 필터는 40%로 설정한 후에 공정별 압력 손실에 따른 비에너지 값을 계산하였다.
  • 045 mm로 가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한외여과 필터와 카트리지 필터의 회수율은 100%로 가정하였으며, 역삼투 필터는 40%로 설정한 후에 공정별 압력 손실에 따른 비에너지 값을 계산하였다.
  • /day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수압 시스템 해석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외여과와 카트리지 필터의 회수율을 100%로 가정하여, 각 공정의 유입 유량은 모두 1,250 m3/day 로 동일하게 해석을 진행하였다. 배관에서의 손실은 취수와 역삼투에서 1 bar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수담수화란? , 2012). 이러한 상황에서 해수담수화는 전체 수자원의 98%를 차지하고 있는 바닷물을 담수로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역삼투(Reverse Osmosis, RO) 공정은 현재 여러가지 해수담수화 기술 중에서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해수담수화 플랜트 배관에서 발생되는 압력 손실을 줄여야 하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해수담수화 플랜트 배관에서 발생되는 압력 손실을 줄여 전체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수압 시스템 영향 평가를 진행하였다.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SWRO 파일럿 플랜트를 참조하여 기본 모델을 구축하였고, 상용화 프로그램인 PIPENET을 통하여 배관에서의 압력 손실을 계산하였다.
역삼투(Reverse Osmosis, RO) 공정의 단점은? 그러나 RO 공정에 의한 해수담수화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증발법 등 다른 해수담수화 기술에 비하면 RO 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은 낮은 편이나 지표수나 지하수를 이용하는 기존 정수처리 공정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Laur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med, F.E., Hashaikeh, R., Diabat, A. and Hilal, N. (2019). Mathematical and optimization modelling in desalination: State-of-the-art and future direction, Desalination, 469, 114092. 

  2. Ahmed, F.E., Hashaikeh, R. and Hilal, N. (2019). Solar powered desalination - Technology, energy and future outlook, Desalination, 453, 54-76. 

  3. Alhathal Alanezi, A., Altaee, A. and Sharif, A.O. (2020). The effect of energy recovery device and feed flow rate on the energy efficiency of reverse osmosis process, Chem. Eng. Res. Des., 158, 12-23. 

  4. Al-Othman, A., Darwish, N. N., Qasim, M., Tawalbeh, M., Darwish, N.A. and Hilal, N. (2019). Nuclear desalination: A state-of-the-art review, Desalination, 457, 39-61. 

  5. Anis, S.F., Hashaikeh, R. and Hilal, N. (2019). Functional materials in desalination: A review, Desalination, 468, 114077. 

  6. Avlonitis, S.A., Kouroumbas, K. and Vlachakis, N. (2003). Energy consumption and membrane replacement cost for seawater RO desalination plants, Desalination, 157, 151-158. 

  7. Chung, T.S., Li, X., Ong, R.C., Ge, Q.C., Wang, H.L. and Han, G. (2012). Emerging forward osmosis (FO) technologies and challenges ahead for clean water and clean energy applications, Curr. Opin. Chem. Eng., 1, 246-257. 

  8. Gordon, J.M. and Hui, T.C. (2016). Thermodynamic perspective for the specific energy consumption of seawater desalination, Desalination, 386, 13-18. 

  9. Jeong, K.H., Park, M.K., Ki, S.J. and Kim, J.H. (2017). A systematic optimization of Internally Staged Design (ISD) for a full-scale reverse osmosis process, Desalination, 540, 285-296. 

  10. Kasaeian, A., Rajaee, F. and Yan, W.M. (2019). Osmotic desalination by solar energy: A critical review, Renew. Energy, 134, 1473-1490. 

  11. Kim, J., Park, K., Yang, D.R. and Hong, S. (2019). A comprehensive review of energy consumption of seawater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plants, Appl. Energy, 254, 113652. 

  12. Kim, Y.M., Kim, S.J., Kim, Y.S., Lee, S., Kim, I.S. and Kim, J.H. (2009). Overview of systems engineering approaches for a large-scal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ith a reverse osmosis network, Desalination, 238(1), 312-332. 

  13. Koutsou, C.P., Kritikos, E., Karabelas, A.J. and Kostoglou, M. (2020). Analysis of temperature effects on the specific energy consumption in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processes, Desalination, 476, 114213. 

  14. Lauren, F.G., Desmond, F.L., Benny, D.F., Benoit, M. and Philippe, M. (2009).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Water sources, technology, and today's challenges, Water Res., 43, 2317-2348. 

  15. Lee, K.P., Arnot, T.C., and Mattia, D. (2011). A review of reverse osmosis membrane materials for desalination-Development to date and future potential, J. Membr. Sci., 370(1), 1-22. 

  16. Lee, S., Choi, J., Park, Y.G., Shon, H., Ahn, C.H. and Kim, S.H. (2019). Hybrid desalination processes for beneficial use of reverse osmosis brin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Desalination, 454, 104-111. 

  17. Li, M. (2013). A unified model-based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specific energy consumption in BWRO and SWRO, Ind. Eng. Chem. Res., 52, 17241-17248. 

  18. Liu, N., Liu, Z., Li, Y. and Sang, L. (2016).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studies on a fully-rotary valve energy recovery device for SWRO desalination system, Desalination, 397, 67-74. 

  19. Mavukkandy, M.O., Chabib, C.M., Mustafa, I., Al Ghaferi, A. and AlMarzooqi, F. (2019). Brine management in desalination industry: From waste to resources generation, Desalination, 472, 114187. 

  20. Mito, M.T., Ma, X., Albuflasa, H., and Davies, P.A. (2019). Reverse osmosis(RO) membrane desalination driven by wind and solar photovoltaic (PV) energy: State of the art and challenges for large-scale implementation, Renew. Sustain. Energy Rev., 112, 669-685. 

  21. Park, K., Kim, J., Yang, D.R. and Hong, S. (2020). Towards a low-energy seawater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plant: A review and theoretical analysis for future directions, J. Membr. Sci., 595, 117607. 

  22. Riley, S.M., Ahoor, D.C., Oetjen, K. and Cath, T.Y. (2018). Closed circuit desalination of O&G produced water: An evaluation of NF/RO performance and integrity, Desalination, 442, 51-61. 

  23. Saleem, H. and Zaidi, S.J. (2020). Nanoparticles in reverse osmosis membranes for desalination: A state of the art review, Desalination, 475, 114171. 

  24. Zarzo, D. and Prats, D. (2018). Desalination and energy consumption. What can we expect in the near future?, Desalination, 427, 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