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유방암 폐전이 환자의 폐절제술 후 한의기반 통합암치료로 증상 호전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Symptom Improvement after lobectomy in Male Breast Cancer with Lung Metastasis Patient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based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원문보기

大韓癌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v.25 no.1, 2020년, pp.1 - 9  

고은주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하수정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박지혜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박소정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이연월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조종관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유화승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동서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improvement of symptoms after lobectomy of male breast cancer lung metastasi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based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ICT). Methods: A male left breast cancer patient diagnosed with metastasis on lung at July 2019. After Vid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케이스는 2013년 5월에 좌측 유방암 절제술 시행 후 2013년 5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항암을 마친 후 2019년 5월까지 호르몬제 복용 중 2019년 4월 좌측 폐에 전이 혹은 폐암 진단을 받고 2019년 7월에 비디오보조흉강경 좌하폐엽 절제술 & 쐐기절제술을 받고 수술 후 후유증 관리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한의기반 통합암치료를 통해 증상 호전과 삶의 질 개선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진행 방향은? 6% 정도로 알려져 있다2).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10% 미만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진단 시 전이가 없는 환자의 30%에서 50%는 호르몬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 등의 보조 치료에도 불구하고 전이성 유방암으로 진행하게 된다3). 폐는 혈관이 풍부하고 고농도의 산소가 항상 유지되어 전이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암이 커지는데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인 그리고 기능적인 구조상 원인으로 인해 각종 종양의 중요한 전이 부위가 된다4).
남성 유방암의 특징은? 남성 유방암의 발병률은 유럽의 경우 10만 명당 1명의 빈도이고 전체 유방암의 1% 미만을 차지하고 있으며1), 국내에서도 전체 유방암의 0.6% 정도로 알려져 있다2).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10% 미만이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진단 시 전이가 없는 환자의 30%에서 50%는 호르몬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 등의 보조 치료에도 불구하고 전이성 유방암으로 진행하게 된다3).
전이성 폐암을 수술한 후 생기는 문제점은? 전이성 폐암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병리 생리학적 당위성이 밝혀지고 수술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이 낮으며, 수술 후 장기생존율의 향상이 증명됨에 따라 이미 많은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다14). 그러나 폐절제술은 수술 후 환자의 폐포 환기와 폐활량을 감소시키며 극심한 통증과 운동능력의 저하를 유발시키고7), 여러 가지 후유증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폐절제술 후 후유증 관리가 중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asco AJ, Lowenfels AB, Pasker-de Jong J. Review article: epidemiology of male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of published case-control studies and discussion of selected aetiological factors. Int J Cancer 53:538-49, 1993. 

  2. The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Survival analysis of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diagnosied between 1993 and 2002-A nationwide study of the cancer registry. J Breast Cancer 9:214-29, 2006. 

  3. Bernard-Marty C, Cardoso F, Piccart MJ. Facts and controversies in systemic treatment of metastatic breast cancer. Oncologist 9:617-32, 2004. 

  4. Krishnan K, Khanna C, Helman LJ. The molecular biology of pulmonary metastasis. Thorac Surg Clin 16:115-124, 2006. 

  5. Friedel G, Pastorino U, Ginsberg RJ, et al. Results of lung metastasectomy from breast cancer: prognostic criteria on the basis of 467 cases of the International Registry of Lung Metastases. Eur J Cardiothorac Surg 22:335-344, 2002. 

  6. Grichnik KP, D’Amico TA. Acute lung injury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fter pulmonary resection. Semin Cardiothorac Vasc Anesth 8:317-34, 2004. 

  7. N. Mujovic, D. Subotic, M. Ercegovac, A. Milovanovic, L. Nikcevic, V. Zug- ic, and D. Nikolic, Influence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n lung function changes after the lung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ging and disease 6(6):466-477, 2015. 

  8. J. A. Sloan, X. Zhao, P. J. Novotny, J. Wampfler, Y. Garces, M. M. Clark, and P. Uang, Relationship between deficits in overall quality of life and non-small-cell lung cancer survival, J. of Clinical Oncology 30(13):1498-1504, 2012. 

  9. Jung, Kyung Ju1 Lee, Young Sook, The Effect of a Breathing Exercise Intervention on Pulmonary Function after Lung Lobectomy 10(1):95-102, 2010. 

  1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Underwent Lung Resection 19(5):2765-2785, 2017. 

  11.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CTCAE) v.5.0, 2017. Available from https://evs.nci.nih.gov/ftp1/CTCAE/CTCAE_5.0/. 

  12. Gwak MD, Suh SY. The assessment tools in palliative medicine. Kor J Hosp Palliat Care 12:177-193, 2009. 

  13. Jung, K.H. Special Review: Personalized therapy for advanced breast cancer using molecular signatures. Korean J Med 77(1):26-34, 2009. 

  14. Mountain CF, McMurtrey MJ, Hermes KE.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is: a 20-year experience. Ann Thorac surg 38:323-30, 1984. 

  15. Park, HR, Lee, EJ, Moon, SC. Inhibition of lung cancer growth by HangAmDan-B is mediated by macrophage activation to M1 subtype. Oncol Lett 13:2330-2336, 2017. 

  16. Yim MH, Shin JW, Son JY, Oh SM, Han SH, Cho JH, Cho CK, Yoo HS, Lee YW, Son CG. Soluble components of Hericium erinaceum induce NK cell activation via production of interleukin-12 in mice splenocytes. Acta Pharmacol Sin 28(6):901-907, 2007. 

  17. Choi W, Jung H, Kim K, Lee S, Yoon S, Park J, Kim S, Cheon S, Eo W, Lee S. Rhus verniciflua stokes against advanced cancer: a perspective from the Korean Integrative Cancer Center. Biomedicine and Biotechnology 2012:1-7, 2011. 

  18. Jo HG, Park AR, Choi JB. Analgesic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Aconitum Ciliare Tuber with Honey in the Rat Models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1(2):159-170, 2011. 

  19. 김은곤, 박영업, 이광호, 이한배, 장성익, 김성균 등. 자하거 약침 투여후 기침 가래 증상이 호전된 폐렴 후유증 환자 2례. 대한약침학회학회지 6(3):65-73, 2003. 

  20. Garaci E, Pica F, Rasi G, Favalli C. Thymosin alpha 1 in the treatment of cancer: from basic research to clinical application. Int J Immunopharmacol 22:1067-1076,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