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통합 암 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 Treated with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원문보기

大韓癌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oncology, v.24 no.1, 2019년, pp.19 - 28  

하수정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이성철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박소정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전형준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이연월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조종관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유화승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nd observe effects of Integrative Cancer Treatment (ICT) on metastatic breast cancer patient. Method : A left breast cancer patient diagnosed with recurrence on liver and bones April 2018. The patient had received paclitaxel chemotherapy for two m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케이스는 2016년 4월에 좌측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후, 호르몬 억제제 복용 중 2018년 재발되어 paclitaxel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였다가 병의 진행 및 부작용 발생으로 capecitabine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변경하여 시행중인 luminal A형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2018년 5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약 14개월 간 통합암치료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항암화학치료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간수치를 개선시키는 등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증례에서는 luminal A형의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항암효과의 강화와, 전신 쇠약감 및 손발 저림 등의 화학항암치료로 인한 부작용 완화, 그리고 상승된 간수치의 정상화를 목표로 통합암치료를 시행하였다. 한의 약물치료는 항암 및 면역 증진 약물인 우황거사단, 건칠정과 간수치 완화를 목표로 시호청간탕엑스과립을 경구 복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에서의 capecitabine를 이용한 항암치료 동향은 어떠한가? 현재 유방암에서 capecitabine과 통합암치료를 시행한 연구를 보면, 국내 연구로는 유방암에 대해 capecitabine과 한의치료의 통합암치료 후 좋은 예후를 보였던 증례가 1건 보고되어 있다6). 중국에서는 전이, 진행된 결장직장암환자 56명에 대해서 capecitabine과 한약 병용치료7), 84명의 말기 소화기 암에 대한 capecitabine과 한약 병용치료8) 등의 보고에서 통합암치료군 에서 더 높은 치료율과 낮은 부작용을 나타냈으나 유방암 환자에 대해 capecitabine과 한의치료를 병용한 통합암치료의 증례보고는 적었다.
Capecitabine의 특징은 무엇인가? Capecitabine(상품명 XelodaⓇ)은 위암, 직장암, 유방암에 쓰이는 항암제로써 European School of Oncology -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ESO-ESMO)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전이, 진행된 말기의 유방암 환자에게 첫 번째 선택지로 추천 된다3). 1798명의 전이된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9건의 무작위 대상 배정연구의 메타 분석에서, capecitabine은 대조군에 비해 중앙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과 전체 반응율(overall response rate, ORR)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4).
3 가지 바이오 마커 발현 여부를 통해 유방암의 생물학적 4가지 아형 중 가장 예후가 좋은 아형의 조건은 무엇인가? 2018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제 8판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s, 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ogesterone receptors, PR), 인간 상피 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의 바이오 마커 발현 여부를 통해 유방암의 생물학적 아형을 결정하여 임상 결과와 치료 반응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한다1). 4가지 아형 중 luminal A형은 ER 양성 혹은 PR 양성이면서 HER-2는 음성인 경우이며 예후 및 치료반응이 가장 좋다. 국내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도 luminal A형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ortobagyi G, Connolly JL, D'Orsi CJ, Edge SB, Mittendorf EA, Rugo HS, Solin LJ, Weaver DL, Winchester DJ, Giuliano A. AJCC cancer staging manual, 8th edn. Springer, New York, 587-628, 2017 

  2. Lee SB, Sohn G, Kim J, Chung IY, Lee JW, Kim HJ, Ko BS, Son BH, Ahn SH. A retrospective prognostic evaluation analysis using the 8th edition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system for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169(2):257-266, 2018 

  3. Cardoso F, Costa A, Norton L, Senkus E, Aapro M, Andre F, Barrios CH, Bergh J, Biganzoli L, Blackwell KL, Cardoso MJ, Cufer T, El Saghir N, Fallowfield L, Fenech D, Francis P, Gelmon K, Giordano SH, Gligorov J, Goldhirsch A, Harbeck N, Houssami N, Hudis C, Kaufman B, Krop I, Kyriakides S, Lin UN, Mayer M, Merjaver SD, Nordstrom EB, Pagani O, Partridge A, Penault-Llorca F, Piccart MJ, Rugo H, Sledge G, Thomssen C, Van't Veer L, Vorobiof D. ESO-ESMO 2nd international consensus guidelines for advanced breast cancer. Ann Oncol 25(10):1871-1888, 2014 

  4. Yin WJ, Pei GS, Liu G, Huang L, Gao SG, and Feng XS. Efficacy and safety of capecitabine-based first-line chemotherapy in advanced or metastatic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ncotarget 6(36):39365-39372, 2015 

  5. Masuda N, Lee SJ, Ohtani S, Im YH, Lee ES, Yokota I, Kuroi K, Im SA, Park BW, Kim SB, Yanagita Y, Ohno S, Takao S, Aogi K, Iwata H, Jeong J, Kim A, Park KH, Sasano H, Ohashi Y, Toi M. Adjubant capecitabine for breast cancer after preoperative chemotherapy. N Enql J Med 376(22):2147-2159, 2017 

  6. Jin YJ, Shin KS, Ha JY. Case of remission of progressive breast cancer treated by capecitabine with Integrative Medicine Therapy. J of Kor Traditional Oncol 19(1):43-51, 2014 

  7. Li YQ, Zeng BH, Du ZQ. Capecitabine combined with compound Chinese medicine treating advanced and recurrent colorectal cancer. Modern hosp 10(8), 2011 

  8. Zhen LV. Therapeutic effects of capecitabine and chinese medicine for advanced gastrointestinal cancer. J of nanjing TCM univercity 26(6), 2010 

  9. Eisenhauer EA, Therasse P, Bogaerts J, Schwartz LH, Sargent D, Ford R. New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vised RECIST guideline(version 1.1). Eur J Cancer 45: 228-247, 2009 

  10.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CTCAE) v.5.0, 2017. Available from https://evs.nci.nih.gov/ftp1/CTCAE/CTCAE_5.0/ 

  11. Gwak MD, Suh SY. The assessment tools in palliative medicine. Kor J Hosp Palliat Care 12:177-193, 2009 

  12. Lee DE, Lee SY, Kim JS, Cho CK, Yoo HS, Choi SJ. Antitumor effect of Hang-Am-Dan (HAD) and its ingredients on Calu6 and MCF-7 human cancer cell lines. J of Kor Oriental Med 30(5):50-60, 2009 

  13. Choi BL, Lee YY, Yoo HS, Seo SH, Choi WJ, Cho JH, Lee YW, Son CK, Cho CK, Song KC. The Clinical study in 60 cases for breast cancer patients on the effects by Hangamdan. J of Int Kor Med 22(4):669-674, 2001 

  14. Choi W, Jung H, Kim K, Lee S, Yoon S, Park J, Kim S, Cheon S, Eo W, Lee S. Rhus verniciflua stokes against advanced cancer: a perspective from the Korean Integrative Cancer Center. Biomed Res Int 2012:1-7, 2011 

  15. 김덕호, 김정제, 김병운, 우홍정. 柴胡淸 肝湯이 $CCl_4$ 中毒白鼠의 肝損傷에 미치는 影響에 關하여. 경희한의대논문집. 3(1):205-212, 1980 

  16. Garaci E, Pica F, Rasi G, Favalli C. Thymosin alpha 1 in the treatment of cancer: from basic research to clinical application. Int J Immunopharmacol 22:1067-1076, 2000 

  17. Zee J. Heating the patient: a promising approach. Ann Oncol 13(8):1173-1184, 2002 

  18. "Capecitabine Teva : EPAR - Product Information" (PDF). European Medicines Agency. Teva Pharma B.V. 7-9, 2014 

  19. パクリタキセル注射液使用ガイド:ブリストル, マイヤ?ズ株式會社. 

  20. Y Shindo. Japanese traditional KAMPO medicine reduce toxicities with colorectal cancer cemotherapy. GI-ESMO 375, 2011 

  21. Song SY, Bae K, Shin KH, Yoo HS. A case series of snake venom pharmacopuncture for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 of Pharmacopuncture 20(4):280-286, 2017 

  22. Blum JL, Barrios CH, Feldman N, Verma S, McKenna EF, Lee LF, Scotto N, Gralow J. Pooled 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capecitabine monotherapy clinical trials in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136(3):777-78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