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 한방병원에 내원한 간암환자 60명에 대한 임상적 특징 분석; 후향적 차트 리뷰
Clinical Analysis of 60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ncer Treated in Korean Medicine Hospital;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3, 2020년, pp.447 - 456  

윤미정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조나경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최홍식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김승모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  김상찬 (대구한의대학교 방제학교실) ,  김경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review aime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hepatocellular cancer patients treated by Korean medicine. Methods: Sixty hepatocellular cancer patients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July 2012 to December 2019 were studied. We evalu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verall th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8년간 단일 한방병원 암센터에 내원한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 및 치료 특징을 분석해, 기존 연구 내용들에 더하여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자 한방 간암 치료에 대한 실태와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임상 치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한방병원의 한방 암 센터에 8년동안 내원한 암 환자의 일반적인 특징 및 치료 실태를 분석했으며, 입원 환자군을 별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한방 암 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의 특징을 밝히면서, 환자들이 병원에서 받은 치료의 종류를 함께 분석하여 추후 간암의 한의학적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내원 환자들 중에서 향사평위산이 가장 많이 처방되었고, 그 다음이 반하사심탕이었다. 환자들의 주소증 중 복부불편감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소화불량, 오심, 식체 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처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형방패독산, 삼소음 등 발산지제도 처방되어 환자들의 주 증상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호소할 수 있는 인후부 불편감이나 열감 해소를 목적으로 처방된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8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국내 사망 원인 1위는? 2018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국내 사망 원인 1위는 암(26.5%)이며, 2017-2018년 동안 국내 사망 원인별 사망률에서 전체 암 중 간암이 2위를 차지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암 환자들의 5년 상대 생존율을 봤을 때 췌장암(12.
간암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간암의 발병률은 낮추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간암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 방법에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2,3. 근치적 수술을 통한 암세포 제거, 간동맥 화학색전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이하 TACE), 고주파 열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면역화학요법까지 쓰여 환자의 병기 및 기저 간 질환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환자들의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4,5.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암 환자들의 5년 상대 생존율은 어떠한가? 5%)이며, 2017-2018년 동안 국내 사망 원인별 사망률에서 전체 암 중 간암이 2위를 차지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암 환자들의 5년 상대 생존율을 봤을 때 췌장암(12.2%), 담낭 및 기타 담도암(28.9%), 폐암(30.2%)에 이어 간암(35.6%)은 4위로 생존율이 낮고, 예후가 불량한 암이다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URL:http://kosis.kr/index/index.do 

  2. Jang WI, Seo YS, Kim MS, Kim HJ. Academic Trend and Clinical Status of Radiotherapy for Hepatobiliary Cancer Over the Past 20 Years in Korea. The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2015;15(2):100-5. 

  3. Kim JH. 2018 Korean Liver Cancer Association and National Cancer Center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hat's Different from 2014? Korean J Gastroenterol 2019;74(2):101-9. 

  4. Kasper DL, Fauci AS, Hauser S, Longo D, Jameson L, Loscalzo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ition. Seoul: McGraw-Hill Education Korea; 2017, p. 887-96. 

  5. Park JG, Bang YJ, Ha SW. Oncology. Seoul: Ilchokak; 2012, p. 290-309, 339-52. 

  6. Wang JH, Shin JW, Cho JH, Cho CK, Yoo HS, Lee YW, et al. Study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gainst Liver Cancer. Daejeon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journal 2006;15(2):159-68. 

  7. Leung L, Winnie Y. Value of quality of life analysis in liver cancer: A clinician's perspective. World J Hepato 2017;9(20):867-83. 

  8. Thanawat W, Kanitta B,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Measured by EQ-5D and TFLIC-2 in Liver Cancer Patients Siriraj Medical Journal 2018;70(5):406-12. 

  9. Riad S, Margaret G, Zeeshan B, Khairuddin M, Micheal V, Ryan H, et al. Increased Quality of Life Among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Radioembolization, Compared With Chemoembolization.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13;11(10):1358-65. 

  10. Gabriella M, Dawn L, Laura F, Zaixing S, Wei-Yann T, Heather 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US Cancer Survivors J Cancer Surviv 2016;10(5):850-64. 

  11. Han WJ, Lee EJ, Han GJ, Yoon SH, Han GJ, Leem JT. Effectiveness of comprehensiv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quality of life, anorexia and cachexia of cancer patients: Retrospective chart review. J Korean Med 2019;40(2):119-32. 

  12. Han GJ, Kim DH, Park EJ, Seong S, Kim SS, Leem JT. Analysis of Existing Guidelines an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for Development of [Guideline of Clinical Trial on Herbal Medicinal Product for Liver Cancer]. J Int Korean Med 2019;40(1):89-116. 

  13. Chen F, Zhong Z, Tan HY, Guo W, Zhang C, Tan CW, et al. Uncovering the Anticancer Mechanisms of Chinese Herbal Medicine Formulas: Therapeutic Alternatives for Liver Cancer. Front Pharmacol 2020;11:293. 

  14. Yoon SS, Ryu HS, Oh HK, Lee JY, Yoon SW. The Efficacy of Acupuncture for Postoperative Pain in Patients with Solid Tumor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J of Kor Traditional Oncology 2017;22(2):1-11. 

  15. Choi CM, Koh BH, Kim SH, Choi WC, Lee SK. A Study on Quality of Life of Advanced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patients Administered with Traditional Korean Cancer Treatment. J Korean Oriental Med 2008;29(4):30-8. 

  16. Choi YJ, Lee JS, Cho SH. Use of Korean Medicine among Cancer Patients. J Korean Oriental Med 2012;33(3):46-53. 

  17. Choi IS, Oh CH, Park SY, Ahn SE, Park SJ, Choi HR, et al. Incidence of Primary Liver Cancer in Subjec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 Korean National Liver Cancer Screening Program. J Liver Cancer 2017;17(2):136-43. 

  18. Lee MN, Nam HJ, Lee SH, Kim WK, Ryu IC. The cause of Liver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trend. Biowave 2006;8(4):1-15. 

  19. https://www.g-health.kr/portal/bbs/selectBoardArticle.do?bbsIdU00322&nttId381808&menuNo200449&lang&searchCndSj&searchCndCt&searchWrd&pageIndex1&vTypeZ3 

  20. Ryu HS, Yoon SS, Lee JY, Yoon SW. Perspectives of Cancer Patient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s: A Cross-sectional Survey. J Int Korean Med 2017;38(3):319-26. 

  21. Cho NK, Lee YR, Kim KS, Choi HS, Kim SM. An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for 226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Treated at a Korean Medicine Hospital: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 Int Korean Med 2018;39(4):708-16. 

  22. Park SY, Kim JS, Jeong MY, Kim JH, Choi JH. The Clinical Study for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reated with Herbal Stream Therap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4):131-40. 

  23. Kim KI, Lee HB, Park EK, Choi YJ, Kim DH, Jung HJ, et al. Clinical Assessment of 28 Patients with Cough Treated with Herbal Steam Therapy.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3;27(5):660-6. 

  24. Lee SH, Noh SH, Kim SY, Jang KY, Hwang PH. Hand-Foot syndrome induced by sorafenib, a multitargeted tyrosine kinase inhibitor, in a patient with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9;52(1):119-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