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래식 패션 이미지와 감성 어휘 연구 - 베이비붐, Y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lassic Fashion Image and Sensible Vocabularies - Focusing on Women of Baby Boom and Y Generations -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7 no.3, 2015년, pp.85 - 98  

상윤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  유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  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  이인성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fashion shows the trend of various styles and the period focusing on only product functions is changed to the period focusing on consumer's sensibility. Consumers show different sensitivities and preference by individual at the stage cognizing and recognizing the stimulation of given imag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클래식에 대한 감성 어휘를 패션에 국한지어 클래식 어휘를 추출하고, 2차적으로는 세대 간의 클래식에 대한 패션 이미지 선호도와 클래식에 대한 감성 어휘 대한 인식 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의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인식, 선호도 차이와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패션 감성 어휘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로는 클래식과 관련된 선행논문, 단행본에서 클래식의 개념과 특성, 세대별 정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실증적 연구로는 국내 포털 사이트 상위 3곳인 네이버, 다음, 구글을 선정하여 최근 4년인 2010∼2014년 동안 클래식과 관련된 형용사 어휘와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간의 클래식 패션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어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주관적인 감성을 객관화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을 통해 디자인 감성 평가 연구 방법론을 알아보고자 하며, 클래식 패션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 어휘를 객관화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대가 다른 소비자층에 맞는 적절한 디자인 방향 제시와 디자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간의 클래식 패션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어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주관적인 감성을 객관화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을 통해 디자인 감성 평가 연구 방법론을 알아보고자 하며, 클래식 패션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 어휘를 객관화하는 정량적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대가 다른 소비자층에 맞는 적절한 디자인 방향 제시와 디자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X세대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X세대는 1965년에서 1979년 사이에 출생한 집단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집단은 청소년기에 6.29 민주화 항쟁을 경험하면서 정치적으로 민주화된 시기에 성장하였고, 산업화의 수혜세대로서 물질적, 경제적 풍요 속에서 성장한 집단이다. 이 집단은 베이비붐 세대와 Y세대와 비교할 때 중간의 특성을 보여 주요 특징들을 일반 화하기 어려운 세대이며, 베이비붐 세대보다 자기중심적,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현실적인 집단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패션에서도 편안함을 중시하고 타인을 의식하지 않으며 계획적인 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의 정의란 무엇인가요? 세대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공통의 체험을 기반으로 공통의 의식이나 풍속을 전개하는 일정폭의 연령층’이라고 정의(김우성, 허은정, 2007)되어 있으며, 동일한 세대에 속한 집단은 연령적으로 동질적일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역사적 의식과 경험을 공유(두산백과사전, 2014)하므로 각 세대는 세대별로 독특한 특성을 보이는 세대 차이를 나타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클래식의 사전적 정의는 무엇인가요? 클래식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최고 수준의, 전통적인, 고대 그리스 로마의, 고전적, 싫증 이 나지 않는’ 등의 뜻이며, 예술이나 문학에서 사용되는 클래식의 의미는 ‘이미 확립된, 표준적인, 규범적인, 전통을 배경으로 삼는’ 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영인 외 4. (2006). Look : 패션을 보는 아홉가지시선. 서울 : 교문사. 

  2. 김영신 외 3. (2004). 새로 쓰는 소비자와 시장환경. 서울 : 시그마프레스. 

  3.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비교. 한국소비문화학회, 10(4), 31-53. 

  4. 김정실. (2012). 현대패션에 나타난 클래식 스타일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36, 412-432. 

  5. 김지영. (2007). 클래식 패션으로서의 트렌치 코트(trench coat)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9), 49-66. 

  6. 나길주, 조영수. (2002). 선호감성 어휘 분석을 통한 남녀 대학생의 감성 유형화. 감성과학학회지, 5(1), 9-16. 

  7. 남혜진 외 2. (2003). 캐주얼 티셔츠의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6(4), 51-60. 

  8. 두산백과사전. (2014). 자료검색일 2015. 2. 4,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2946&cid40942&categoryId31630 

  9. 두산백과사전. (2015). 자료검색일 2015. 6. 8,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 entry.nhn?docId1382859&cid40942&categoryId31630 

  10. 박민정. (2013). 복합쇼핑몰에서의 세대별 몰링문화에 관한 연구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21(5), 726-741. 

  11. 박숙현. (2007). 패션이미지 메이킹. 서울 : 예학사. 

  12. 박혜원 외 4. (2006). 현대 패션 디자인. 서울 : 교문사. 

  13. 오희순, 박화순. (1994). 의상디자인. 서울 : 경춘사. 

  14. 이경림, 박숙현, 권미정. (2008). 의복의 조형요소에 따른 클래식이미지 분류. 한국의류학회, 33(1), 160-171. 

  15. 이경희, 김유진 (2001). 패션 감성의 척도화 과정. 한국감성과학회, 4(1), 33-42. 

  16. 정현원, 나건. (2007). 디자인 평가를 위한 감성어휘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4(-), 165-174. 

  17. 최진영. (2010). 클래식 패션 스타일의 현대적 적용 -마들렌 비오네의 드레이퍼리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한명흠, 오인욱. (2010). 공간 환경의 감성 평가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4), 3-10. 

  19. 한성지, 김이영. (2007). 패션디자인. 서울 : 교학사. 

  20. 함연자 (2003). 현대 패션에 나타난 클래식 테일러드 수트의 미적 특성. 한국복식학회, 53(6), 101-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