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암성 만성질환자 대상 완화간호 제공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성 및 효과성 검증; 파일럿 연구
Reach and Efficacy of Palliative Care Nurse Train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Non Cancerous Chronic Disease; A Pilot Stud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84 - 97  

차은석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소정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암성 생애 후기 만성질환자 대상 완화간호 제공을 위해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후 교육대상자 접근 가능성과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 파일럿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와 그룹 인터뷰의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자료로 수집한 완화간호 제공과 관련된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의 변화는 SPSS 21.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프로그램의 실무적용 가능성과 피드백은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질적연구 자료를 내용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교육 후 지식 점수와 자기효능감에 있어 유의한 증가을 보였고, 모든 참가자는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및 온라인-오프라인 교육을 혼합한 블렌디드 방법에 만족했다. 하지만, 현장 적용 및 확산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시간의 단축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ilot study evaluated the reach and efficacy of nurse training program to provide palliative care to patients with advanced chronic diseases. A mixed method was used (an one-group pre-post research design and a group interview). To examine the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p...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중재연구)에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Efficacy], 현장 시범 적용 [Adoption], 실행[Implementation], 유지 [Maintenance]) 개념틀을 이용한 것으로 [13-15], 지역사회 거주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에게 완화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사 접근성과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궁극적으로는 간호사를 교육하여 비암성 만성질환 들이 필요로 하는 완화간호 제공을 전국 단위 지역사회 현장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파일럿 연구인 본 연구에서는 RE-AIM 개념틀의 다섯 가지 요소 중 처음 두 요소를 평가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 본 파일럿 연구는 향후 실시할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들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실행 및 확산을 위해 대상자 접근성,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연구참여자의 교육 참여율, 완수율을 확인하고, 프로그램 현장 적용을 위한 피드백을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기존 간호사 보수교육의 한계점으로 지적 되었던 사항들을 숙고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육방법을 적용하였고, 향후 간호사 교육개발 시 참고할 여러 교훈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 실습으로 교육을 구성하였고, 오프라인과 온라 인의 장단점을 접목하였다.
  • 본 연구는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들에게 완화 간호를 제공할 간호사를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국단위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파일럿 연구이다. 완화간호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후, 현장에 적용(Adoption) 할 수 있는 피보팅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통합연구방법(Mixed research method)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실행 및 확산연구에서 자주 언급되는 RE-AIM (대상자의 접근성[Reach], 최적 조건(i.e., 중재연구)에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Efficacy], 현장 시범 적용 [Adoption], 실행[Implementation], 유지 [Maintenance]) 개념틀을 이용한 것으로 [13-15], 지역사회 거주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에게 완화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사 접근성과 프로그램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궁극적으로는 간호사를 교육하여 비암성 만성질환 들이 필요로 하는 완화간호 제공을 전국 단위 지역사회 현장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본 파일럿 연구는 향후 실시할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들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실행 및 확산을 위해 대상자 접근성,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연구참여자의 교육 참여율, 완수율을 확인하고, 프로그램 현장 적용을 위한 피드백을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 궁극적으로는 간호사를 교육하여 비암성 만성질환 들이 필요로 하는 완화간호 제공을 전국 단위 지역사회 현장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파일럿 연구인 본 연구에서는 RE-AIM 개념틀의 다섯 가지 요소 중 처음 두 요소를 평가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어코디네이터로서의 준비를 위해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은 무엇인가? 따라서 비암성 만성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환자들의 질병 특성에 맞는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 제공자, 건강정보 이해 능력을 고려한 건강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보건 교육자, 그리고 지역사회 돌봄/복지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는 케어코디네이터로서 준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환자의 질병 특성, 가족구조 및 역동, 환자의 평소 가치관, 그리고 경제적 상태 및 그에 맞는 지역사회 이용 가능 자원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다학제 전문가들과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4].
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건강을 최일선에서 돌보고 관리하는 건강관리자이다. 많은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들은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며, 변화하고 악화되는 질병 단계에 따라 수정되는 자가간호가 필요하고, 건강유지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스스로 찾아야 한다.
비암성 만성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의무는 무엇인가? 많은 생애 후기 비암성 만성질환자들은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며, 변화하고 악화되는 질병 단계에 따라 수정되는 자가간호가 필요하고, 건강유지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스스로 찾아야 한다. 따라서 비암성 만성질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환자들의 질병 특성에 맞는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 제공자, 건강정보 이해 능력을 고려한 건강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보건 교육자, 그리고 지역사회 돌봄/복지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는 케어코디네이터로서 준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환자의 질병 특성, 가족구조 및 역동, 환자의 평소 가치관, 그리고 경제적 상태 및 그에 맞는 지역사회 이용 가능 자원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다학제 전문가들과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P. Larsen. (2017). Libkin's Chronic illness: Impact and intervention. 10th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 J. M. Teno, S. Weitzen, M. L. Fennell & V. Mor. (2001). Dying trajectory in the last year of life: does cancer trajectory fit other disease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4(4), 457-464. DOI : 10.1089/109662101753381593 

  3. E. S. Cha, J. H. Lee, K. W. Lee & Y. J. Hwang. (2019). Illness experiences and palliative care needs in community dwelling pers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2(1), 8-18. DOI : 10.14475/kjhpc.2019.22.1.8 

  4. C. L. Ahia & C. M. Blais. (2014). Primary palliative care for the general internist: integrating goals of care discussions into the outpatient setting. The Ochsner Journal, 14(4), 704-711. 

  5. E. S. Cha et al. (2012). Educational needs for improving self-care in heart failure patients with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38(5), 673-684. DOI: 10.1177/0145721712450923 

  6. L. S. Ke, X. Huang, W. Y. Hu, M. O'Connor & S. Lee. (2017).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regarding advance care planning: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studies. Palliative Medicine, 31(5), 394-405. DOI : 10.1177/0269216316663507 

  7. J. Shin, S. J. Yoon, S. H. Kim, E. S. Lee, S. J. Koh & J. A. Park. (2017). A Qualitative study of physicians' perspectives on non-cancer hospice-palliative care in Korea: focus on AIDS, COPD and Liver Cirrhosi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3), 177-187. DOI : 10.14475/kjhpc.2017.20.3.177 

  8. M. Bakitas et al. (2013). Palliative care consultations for heart failure patients: how many, when, and why? Journal of Cardiac Failure, 19(3), 193-201. DOI : 10.1016/j.cardfail.2013.01.011 

  9. Y. E. Lee, E. J. Choi, J. S. Park & S. H. Shin (2013). Perception and knowledge of hospice care and attitude toward death held by medical professionals from the same reg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spice Palliat Care, 16(4), 242-252. DOI : 10.14475/kjhpc.2013.16.4.242 

  10. J. A. Park & D. Y. Jung (2013). The comparing perception of advance directives in one general hospital doctors and nurses. Health & Nursing, 25(2), 25-33. 

  11. C. K. Koh, C. M. Ko & H. Park. (2017).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t End of Life: A Content Analysi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0(1), 41-50, 

  12. H. S. Jeong & O. S. Kim. (2013). Anxiety,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Health & Nursing, 25(2), 35-46. 

  13. B. Estabrook, J. Zapka & S. C. Lemon. (2012).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of a hospital work-site obesity prevention intervention: applying the RE-AIM framework. Health Promotion Practice, 13(2), 190-197. DOI : 10.1177/1524839910385897 

  14. L. Wozniak et al. (2012). Applying the RE-AIM framework to the Alberta's caring for diabetes project: a protocol fo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rimary care quality improvement interventions. BMJ Open. 2(5). DOI : 10.1136/bmjopen-2012-002099 

  15. R. C. Brownson, G. A. Colditz & E. K. Proctor. (2012).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research in health: translating science to practice.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6. R. Hil. (1998). What sample size is "enough" in internet survey research? Interpersonal computing and technology. An Electronic Journal for the 21st Century. 6, 3-4. 

  17. S. Isaac & W. B. Michael. (1995). Handbook in research and evaluation.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s. 

  18. A. L. Whitehead, S. A. Julious, C. L. Cooper & M. J. Campbell. (2016). Estimating the sample size for a pilot randomised trial to minimise the overall trial sample size for the external pilot and main trial for a continuous outcome variable. Statistical Methods in Medical Research, 25(3), 1057-1073. DOI : 10.1177/0962280215588241 

  19. D. Heo. (2009). Patient autonomy and advance directives in Korea.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52(9), 865-870. 

  20. S. Y. Park. (2017). Current status of advance care planning and factors affecting in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process for critical ill patients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21. M. A. Jezewski, J. Brown, Y. W. Wu, M. A. Meeker, J. Y. Feng & X. Bu. (2005). Oncology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experiences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Oncology Nursing Forum, 32(2), 319-327. DOI: 10.1188/04.Onf.319-327 

  22. M. Y. Kim & K. S. Kim. (2010). Korean nurses' attitude towards advance directives and end of life decision making.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2), 77-90. 

  23. S. W. Hong & S. M. Kim. (2013).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3), 330-340. DOI : 10.5977/jkasne.2013.19.3.330 

  24. Y. M. Kim & Y. S. Kang. (2013).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14(10), 5078-5090. DOI : 10.5762/KAIS.2013.14.10.5078 

  25. J. M. Na. (2012). A study on medical practitioners' perceptions o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Division of Healthcare Resouces Policy: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7. J. H. Go, J. Hur & M. R. Han. (2014). The analysis of raw data of completion of offline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in Seoul, 2008-2012.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527-538. DOI : 10.14400/JDC.2014.12.6.527 

  28. J. L. Lee.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rsing practice education model for internal medicine field wards nurses based on nurses' clinical ladders stage.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