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주간의 걷기운동이 대학생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6 week Walking exercise of college students Changes in Feeling, Mood state, and College student life stres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185 - 193  

이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부) ,  최재원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강성구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유하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부) ,  이경하 (중앙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걷기운동이 대학생들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16주간의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걷기운동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걷기운동집단 24명과 통제집단 26명의 두 집단을 총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측정(0week), 중간측정(8week), 사후측정(16week)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2×3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로 대학생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생활 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감정상태는 운동집단이 긍정적인 증가 추이를 보였으며 기분상태는 긴장, 분노, 우울, 피로, 혼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고 활력은 증가하였다. 또한 대학생 생활스트레스는 동성친구, 학업, 경제, 장래, 가치관 요인의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걷기운동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방법으로서 지속적인 학업 동기 및 삶의 질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6-week long-term walking exercise on the feeling, mood state, and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were 50 college students, and 24 Walking Group and 26 Control Group were random sampled to experiment the psyc...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걷기운동이 그들의 스트레스 및 기분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16주간의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복잡한 대학 환경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 관리의 중재 전략으로서의 걷기운동에 효과를 탐색하고 나아가 대학생들에게 탄력적인 스트레스 회복의 방안들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에게 행복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6주간의 걷기운동이 대학생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16주 간의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걷기운동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총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걷기운동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측정(0week), 중간측정(8week), 사후측정(16week)을 하였다.
  • 본 연구는 걷기운동이 대학생들의 감정상태, 기분상태 및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16주간의 장기간 실험의 통하여 그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트레드밀에서 걷기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운동 강도는 Karvonen의 방법을 채택하여 안정시 최대심박수(Maximum Heart Rate : MHR= 220-age) 및 목표심박수(Target Heart Rate: THR=운동강도(%)×(최대심박수-휴식시 심박수)+휴식시 심박수)를 개인적 측정을 통해 운동강도를 부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걷기운동이 그들의 스트레스 및 기분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16주간의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복잡한 대학 환경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 관리의 중재 전략으로서의 걷기운동에 효과를 탐색하고 나아가 대학생들에게 탄력적인 스트레스 회복의 방안들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에게 행복하고 질 높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W. Choi. J. S. Park. H. Y. Jung. J. S. Park & S. G. Kang. (2016). Phytoncide Aroma Inhalation and Exercise Combination Therapy Mood state, college life stress and sleep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633-644. DOI : 10.14400/JDC.2016.14.12.633 

  2. H. S. Kim. (2018). Effects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Body Image on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4, 309-318. 

  3. Y. J. Choi. (2012).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protective factors in college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3(3), 77-104. 

  4. J. W. Kim. (2016). University Student Suicide Status. Seoul : Health & Welfare Committee. 

  5. H. J. Kim & B. S. Woo. (2017). Analyses of the suicidal path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Integrated Motivational-Volitional Model.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9), 1-23. 

  6. Y. H. Park. (2017). Effects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1), 111-116. DOI : 10.4094/chnr.2017.23.1.111 

  7. J. E. McGrath. (1970). Major methodological issues. [In J. E. McGrath(Ed.), Social and paychological factors in stress]. New York : Hoit, Rinehart & Winston. 

  8. R. Martens. (1978). Joy and sadness in children's sports. Champaign : Human Kinetics. 

  9. K. K. Chon, K. H. Kim & J. S. Yi.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10. H. S. Lee & S. Y. Bae. (2019). Analysis of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actors and Depression Levels in a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4), 219-227. DOI : 10.14400/JDC.2019.17.4.219 

  11.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Verlag. 

  12. R. E. Smith. (1986). Toward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Athletic Burnout.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8(1), 36-50. DOI : 10.1123/jsp.8.1.36 

  13. B. T. Yoon. (2016). The Relations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Affective Cognition of Adults in Adolescence and Senescence.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agu. 

  14. P. Hassmen, N. Koivula & A. Uutela. (2000). Physical exerci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population study in Finland. Preventive Medicine, 30(1), 17-25. DOI : 10.1006/pmed.1999.0597 

  15. E. S. Yang, S. H. Seo, K. S. Jeong, H. R. Yoon, D. H. Lee & B. G. Hwang. (2011). The Effects of Short-term Meditation and Walking Exercise in a Forest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NK-cell and POM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3(3), 31-40. 

  16. J. I Choi & S. J. Yun. (2018). Effects of Intermittent Aerobic Exercise on Stress Related Factors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3), 597-607. DOI : 10.21097/ksw.2018.08.13.3.597 

  17. K. Y. Lee, W. Shin & M. J. Ji. (2014).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a Walking Exercise Program. J. Basic Sciences, 31, 93-106. 

  18. K. H. Roh & H. A. Park. (2013).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Lower Limb Muscle Endurance, Whole Body Endurance and Upper Body Flexibility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4), 536-546. 

  19. H. M. Jang & H. S. Kan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Spiritual Healths according to Walking Trainees' Participation Pattern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0(3), 15-23. 

  20. W. J. Rejeski. (1985). Perceived exertion: An active or passive process. Journal of Sports Psychology, 7(4), 371-378. DOI : 10.1123/jsp.7.4.371 

  21. N. H. Frijda. (1988). The law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3(5), 349-358. 

  22. D. M. McNair, M. Lorr & L. F. Droppleman. (1971)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23. J. R. Yoon. (1993). The Effects of prolonged running to various exercise intensities on hormone responses and mood state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R. A. Peterson & S. W. Headen. (1984). Profile of mood states. Test critiques, 1, 522-529. 

  25. T. E. Weckowicz. (1978). Review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 [The eighth mental measurements yearbook]. Highland Park, N. J. : O. K. Buros. 

  26. S. J. H. Biddle & N. Mutrie. (2001). Psychology of physical activity: Determinants, well-being and interventions. London: Routledge. 

  27. E. S. Yang, S. H. Seo, K. S. Jeong, H. R. Yoon, D. H. Lee & B. G. Hwang. (2011). The Effects of Short-term Meditation and Walking Exercise in a Forest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NK-cell and POM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3(3), 31-40. 

  28. H. K. Sin, J. H. Kim & S. K. Kim, (2008). Walking Exercise on the Stress Hormone and Mood State Changes of Middle-aged Women with Obesit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7(2), 597-605. 

  29. B. E. Kahn & A. M. Isen. (1993). The Influence of Positive Affect on Variety Seeking among Safe, Enjoyable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2), 257-270. DOI : 10.1086/209347 

  30. T. Tores, A. H. Gunnel, J. Margareta, S. Filis & D. I. T. Bartolome. (1993). Influence of job strain and emotion on blood pressure in female hospital personnel during work hou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 19(5), 313-318. 

  31. J. H. Park. (2009). Effects of rumination and self-disclosure about the stressful life event on e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125-145. 

  32. S. K. Kim. (2003). Life Stress in Freshman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2), 215-237. 

  33. E. C. Chang. (2001). Life Stress and Depressed Mood Among Adolescents: Examining a Cognitive-Affective Mediation Model.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3), 416-429. 

  34. B. K. Kim, K. H. Choi & I. S. Park. (2014). Effect of Forest Walking Exercise on Stres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8(3), 391-397. 

  35. H. M. Kim. (2015).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housewives' Self-esteem, Stress, Depression in terms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453-460. DOI : 10.14400/JDC.2015.13.12.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