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활동정도와 심리적 지수에 대한 연구: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 우울
A Study on the Level of Activity and Psychological Indices of College Students: Walking Time, Self-Efficacy for Exercise, Sleep Quality, Depress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387 - 394  

박영주 (경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은 대학생의 활동정도와 심리적 지수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 및 우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북에 재학 중인 135 명의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평균보다 높았고, 걷기시간은 하루 평균 약 1.7 시간, 보행은 2 시간 미만이었다. 수면의 질은 대부분 수면의 질에 문제가 있었다 (71.9 %). 우울은 학생의 절반 정도 (49.6 %)가 우울한 경향을 보였다.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우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12). 본 연구는 향후 대학생들의 신체 활동 증진 및 심리 지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alking time, self-efficacy for exercise,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tivity level and psychological index. The research method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of college students. Th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과 우울 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활동정도와 심리적 지수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과 우울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과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0.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과 우울 정도를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추후 대학생들의 건강한 생활습관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정도와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대학생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걷기시간과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과 우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 E. Moon. (2018).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affecting physical-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1-9. DOI :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31 

  2. M. H. Schafer & K. F. Ferraro. (2012). Childhood misfortune as a threat to successful aging: Avoiding disease. The Gerontologist, 52(1), 111-20. DOI : https://doi.org/10.1093/geront/gnr071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7).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Seoul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4. S. P. Becker, M. A. Jarrett, M. A. Luebbe, A. A. Garner, G. L. Burns & M. J. Kofler. (2018). Sleep in a large, multi-university sample of college students: sleep problem prevalence, sex differences,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Sleep health, 4(2), 174-81. DOI : https://doi.org/10.1016/j.sleh.2018.01.001 

  5. P. E. Jenkins, I. Ducker, R. Gooding, M. James & E. Rutter-Eley. (2020). Anxiety and depression in a sample of UK college students: a study of prevalence, comorbidity,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1-7. DOI : https://doi.org/10.1080/07448481.2019.1709474 

  6. A. S. Heo. J. C. Lee & Y. H. Bynn. (2016). The Effect of the Walking Exercise on the Senior Fitness Test and EQ-5D of the Rural Eldery.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4(3), 333-8. 

  7. I. W. Kang & W. J. Cho. (2016).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le-Aged Women by The Regular Walking Exercise b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on Examination. Korea Society for Wellness, 11(1), 207-15. DOI : https://doi.org/10.21097/ksw.2016.02.11.1.207 

  8. A. A. Lopes et al. (2014). Associations of self-reported physical activity types and levels with quality of life, depression symptoms,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DOPPS.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a:CJN, 12371213. DOI : https://doi.org/10.2215/cjn.12371213 

  9. J. Yoon, H. Lee & Y. Kim. (2002). Analysis of energy expenditure and muscle fatigue during walking and running in obese women. Journal of Sport Leisure Studies, 18(2), 1257-69. 

  10. I. M. Lee & D. M. Buchner. (2008) The importance of walking to public health.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0(7 Suppl), S512-8. DOI :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17c65d0 

  11.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Freeman. DOI : https://doi.org/10.5860/choice.35-1826 

  12. R. Dionigi. (2007). Resistance training and older adults' beliefs about psychological benefits: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9(6), 723-46. DOI : https://doi.org/10.1123/jsep.29.6.723 

  13.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DOI :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4. H. G. Lee. (2008). (The) Influence of Walking Intervention on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Master's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Seoul. 

  15. K. Heesch, Y. van Gellecum, J. van Uffelen, N. Burton & W. Brown. (2014).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walk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18, e151. DOI : https://doi.org/10.1016/j.jsams.2014.11.164 

  16. T. L. Baker. (1985). Introduction to sleep and sleep disorders.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69(6), 1123-52. 

  17. K. Suh. (2009). The relations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deprivation to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Stress Research, 17(17), 247-54. 

  18. Y. Lian, Q. Yuan, G. Wang & F. Tang. (2019).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iatry research, 274, 66-74. DOI :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9.01.096 

  19. A. R. Han. (2007).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and metabolic syndrome.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 J. ERBAUGH.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6), 561-71. DOI :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21. Y. Shin, H. Jang & N. J. Pender. (2001).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mong Korean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4(1), 68-76. DOI : https://doi.org/10.1002/1098-240x(200102)24:1%3C68::aid-nur1008%3E3.0.co;2-c 

  22.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 :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3. K. Chon, S. Choi & B. Yang.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24. D. J. Buysse, C. F. Reynolds, T. H. Monk, S. R. Berman & D. J. Kupfer.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DOI : https://doi.org/10.1016/0165-1781(89)90047-4 

  25. H. J. Choi, S. J. Kim, B. J. Kim & I. J. Kim. (2012). Korean versions of self-reported sleep questionnaires for research and practice on sleep disturbanc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5(1), 1-10. DOI : https://doi.org/10.7587/kjrehn.2012.1 

  26. S. K. Kim, W. J. Jung, K. Y. Kim & Y. Y. Choi. (2010). The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 of Walk Exercise Participant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9(2), 823-35. 

  27. H. Bilo et al. (2015).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stage 3b or higher (eGFR< 45 mL/min).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30(suppl 2), ii1-ii142. 

  28. Y. H. Choi & M. J. Chae. (2020).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for Taxi Drivers: Based on Bandura's Self Efficacy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2), 242-54. DOI : https://doi.org/10.4040/jkan.2020.50.2.242 

  29. Y. J. Park.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erobic exercise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hemodialysis patients 

  30. E. H. Hwang, K. H. Kim & S. J. Sin. (2016). The Efect of Life Stres, Slep Quality, and Depre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Nursing Students. Korea Society for Wellness, 11(3), 239-48. DOI : https://doi.org/10.21097/ksw.2016.08.11.3.239 

  31. E. A. Iliescu et al. (2002). Quality of sleep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haemodialysis patient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18(1), 126-32. DOI : https://doi.org/10.1093/ndt/18.1.126 

  32. D. W. Chol. (2015).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attention 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along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429-37. DOI : https://doi.org/10.5762/kais.2015.16.1.429 

  33. S. H. Jung & J. Park. (2013).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8(2). 

  34. G. S. Jeong & E. J. Park. (2017).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Sleep Quality,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5(4), 67-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