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위생사의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직업 정체성과 직업유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dentity and Job Retention according to the Dental Hygienist's Job Selection Motivation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207 - 214  

김유린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업 정체성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남 부산 지역 내 치과위생사 155명을 대상으로 연구 윤리 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받고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1041449-201912-HR-003). 자료 분석은 직업 정체성의 3가지 세부항목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로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직업 정체성 세부항목 중 직업에 대한 감정이입(β=.358, p<.001), 직업과 개인의 연관(β=.562, p<.001), 직업과 일체감(β=.734, p<.001)의 순으로 직업유지에 영향력이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학)과의 교육기관에서 조금 더 포괄적인 의미의 직업 정체성에 대한 수업을 시행한다면 직업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155 dental hygienists in Busan, Gyeongnam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job identity on job reten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fter being reviewed by the Research Ethics Review Committee (1041449-201912-HR-003). For data analysis, hie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일부 지역의 치과위생 사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의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하여 타 지역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업 유지를 위한 다양한 요인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의 직업 정체 성의 세부항목과 직업유지의 관련성에 대한 전반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치과위생사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업 정체성, 직업유지, 직업 정체성의 세부항목과 직업 유지의 관련성을 보고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 되며, 치과위생사의 직업유지를 연장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 직업은 단순히 생계를 이어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을 표현해 주는 다양한 방법이고,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자아를 완성시켜 주는 의미이다[24]. 따라서 자신의 직업 활동을 통하여 재능과 능력을 인정받고, 성취감을 얻음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실현하고자 한다[25]. 이러한 직업을 대하는 태도가 업무 수행과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과 의료계는 전문 인력인 치과위 생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업유지와의 관계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26].
  • 이러한 직업을 대하는 태도가 업무 수행과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과 의료계는 전문 인력인 치과위 생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업유지와의 관계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26]. 또한 직업을 선택하는 동기는 직무만 족이나 이직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되므로[27], 치과위생사의 직업선택 동기에 따라 직업 정체성 세부항목과 직업유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이를 연장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과 낮은 직업 수명 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치과 의료계 전체에 해결방안 으로 치과위생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업유지의 관련성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치과 위생사는 직업 유지를 연장하기 위하여 직업선택 동기와 더불어 직업 정체성의 세부항목을 파악하여 직업유 지를 위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모색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직업유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 정체성 세부항목 중 직업과 일체감이므로 치과위생사라는 직업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한다면 직업을 유지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바탕 으로 치과위생사의 직업유지와 직업 정체성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직업유지를 연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지금까지 치과위생사의 직업유지 및 직업 수명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지만 직업 정체성의 세부항목에 따라 직업 유지를 확인한 연구와 직업 선택 동기에 따라 직업 정체성과 직업유지를 확인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직업선택 동기 여부에 따라 직업 정체성 세부항목과 직업유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직업 유지를 연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 의료계의 경영난의 제도적인 측면의 현황은? 그뿐만 아니라 의료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치과 장비와 재료의 수가가 높아짐으로 인한 원가 상승은 치과 의료계의 경영난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의료 보험의 저수가, 의료비 삭감, 의료제도의 이용자 위주 개편 등으로 경영이 심각한 수준이다[1]. 이러한 치과 의료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경영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직업이란? 직업은 소득 보장의 중요한 수단으로 생존과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의 존속과 발전을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8]. 따라서 직업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생산적인 일을 할 때 자신의 역할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고, 타인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9].
직업 정체성이 강할수록 어떤 긍정적인 효과가 일어나는가? Hall [11]은 직업 정체성을 직무 종사자가 자신의 일을 보는 태도라고 하였다. 직업 정체성이 강할수록 직업적으로 성공하고, 사회적으로 적응력이 뛰어나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개인에게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 S. Lyu, S. M. Lee & K. Y. Hyh. (1995). A study on the current of hospital practices in clinical dietetic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 10-20. 

  2. Y. S. Song, H. K. Son & H. K. Kwon. (1995). A study of the socio -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19(4), 457-474. 

  3. J. H. Lee, J. W. Yoon, K. A. Jang, Y. H. Lee & M. S. Choi. (2019).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dental hygiene and education and dental hygienists in the future with the change of dental medical environment. Korea.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pp. 17-18). Seoul : Sehwa Publishing. DOI : 10.978.8992184/816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0). Status of dental hygienist workforce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in 2017. http://www.nhis.or.kr/retrieveHomeMain.xx(2017) 

  5. H. M. Jeong. (2011). Influence of new dental hygienists' job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6. K. H. Park & H. J. Choi. (2015). Correlation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2), 279-286. DOI : 10.13065/jksdh.2015.15.02.279 

  7. Y. J. Han. (2013).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jor selection motive and their work valuers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sung University, Busan. 

  8. S. D. Park & D. S. Song. (2006). The study on the attitudes toward job maintenance among workers with visually handicapped 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Korean Socie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6(2), 51-77. 

  9. J. S. Strauss, C. M. Harding, M. Siverman, A. Eichler & M. Liberman. (1988). Work as treatment for psychiatric disorder; a puzzle in pieces. In: Ciardiello JA, Bell MD, eds. Vocational Rebabilitation of Persons with Prolonged Psychiatric Disorders. (pp. 47-55). Baltimore : MD Johns Hopkins Press. 

  10. E. H. Erikson. (1959). Identity and the life cycle; Selected papers, with a historical introduction by David Rapaport.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1. D. T. Hall & D. E. Chandler. (2005).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ur, 26(2), 155-176. DOI : 10.1002/job.301 

  12. V. B. Skorikov & F. W. Vondracek. (2011). Occupational identity. In: S. J. Schwartz, K. Luyckx and V. L. Vignoles (Eds.), Handbbok of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pp. 693-714) New York : Springer. 

  13. R. J. Vandenberg & V. Scarpello. (1994).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the determinant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commitment to the occupation and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6), 535-547. 

  14. A. L. Kristof-Brown & R. P. Guay. (2011). Person-environment fit. In S. Zedeck (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3-50).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Y. H. Kim. (2009).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Seoul : Sigmapress. 

  16. D. Y. Kim. (200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ome helper training effectiveness on home helper's professionalism.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H. J. Yoo, T. Y. Yoo, T. I. Chung, S. H. Bae & A. R. Jo. (2014). Scal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testing model of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occupational identity.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7(4), 617-645. 

  18. J. H. Lee. (2011). A study on job selection reasons and choice motives of major for college students in culinary and food service in Busan. J Regional Studies, 19(2), 69-85. 

  19. Y. K. Au, D. I. Kim, J. Y. Lee & Y. J. Chung. (2011).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est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7(3), 267-291. 

  20.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 : 10.1037//0022-3514.51.6.1173 

  21. S. Y. Park. (2001). A study on the turnover of dental hygienist with reference to Seoul and Kyunggi provice.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2.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9). employment rate[Internet]. Education statistics research center. http://kess.kedi.re.kr/index 

  23. H. J. Lee, S. J. Shin, S. M. Bae & B. M. Shin. (2019). Issues and challenges of dental hygienist workforce policy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2), 409-23. DOI : 10.5392/JKCA.2019.19.02.409 

  24. Y. M. Kim, B. C. Park, E. J. Park, H. G. Lee & H. S. Choi. (2009). Profession and ethics. Gyeongbuk : Shinji Seowon Publishing. 

  25. C. H. Ryu.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attitudes of police women in Korea.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26. Y. K. Kang, W. Lee & Y. S. Im. (2015).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perception on commitment of ROK professional army officers :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Military Art and Science, 71(3), 127-156. DOI : 10.31066/kjmas.2015.71.3.006 

  27. S. H. Shin. (2017).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motive to select dental hygiene as major and their work valu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5), 853-864. DOI : 10.13065/jksdh.2017.17.05.853 

  28. N. S. Heo & Y. H. Lee. (2020). A study on the work life of dental hygienists : for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2), 209-220. DOI : 10.13065/jksdh.20200020 

  29. K. J. Lee & H. S. Bae. (2015).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areer discontinuity of a married women dental hygienis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5(6), 786-793. DOI : 10.17135/jdhs.2015.15.6.786 

  30. J. H. Ji & S. E. Heo. (2019).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6), 186-193. DOI : 10.22156/CS4SMB.2019.9.6.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