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Ankistrodesmus bibraianus의 최적 배양조건 설정을 통한 수질오염물질 제거 및 축산 폐수 처리 적용
Removal of water pollutants and its application to swine wastewater treat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est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Ankistrodesmus bibraianu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82 - 92  

황인성 (충청북도 동물위생연구소 축산물검사과) ,  박영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이예은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김덕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박지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오은지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유진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  정근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축산 폐수는 고농도의 영양염류와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배출될 때 수질을 악화시킨다. 기존 처리 기술과 비교하여 bioremediation은 축산 폐수 처리에 유능하다. 특히, 미세조류는 오염물질 제거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kistrodesmus bibraianus를 이용하여 축산 폐수 내 영양염류(질소(N), 인(P))와 중금속(구리(Cu), 아연(Zn))의 제거 가능성을 평가하고, A. bibraianus의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연구결과, 최적 배양조건은 28℃, pH 7, 광주기는 14:10 h로 설정되었다. N과 P의 단일 처리구(500, 1,000, 5,000, 10,000mg L-1)에서 제거효율은 각각 22.9~80.6%와 11.9~50.0%였다. 또한, N과 P의 복합 처리구에서 제거효율은 각각 16.4~58.3%와 7.80~49.8%였다. Cu와 Zn의 단일 처리구(10, 30, 50mg L-1)에서 제거효율은 각각 15.5~81.5%와 6.28~34.3%였다. 유사하게, Cu와 Zn의 복합 처리구에서 제거효율은 각각 16.7~74.5%와 5.58~27.5%였다. 또한 영양염류(N 및 P)와 중금속(Cu 및 Zn)의 성장 및 제거효율을 축산 폐수에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A. bibraianus는 축산 폐수 내 영양염류와 중금속 제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swine wastewater contains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it deteriorates water quality when discharged.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bioremediation can be a promising method for its treatment. Specifically, microalgae have the potential to remove these pollutants. In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일종으로 Oocystaceae과에 속하는 녹조류인 Ankistrodesmus bibraianus의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온도, pH, 광주기에 따른 성장률을 측정하고, 영양염류(N, P) 및 중금속(Cu, Zn)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제거효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A.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의 일종으로 Oocystaceae과에 속하는 녹조류인 Ankistrodesmus bibraianus의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온도, pH, 광주기에 따른 성장률을 측정하고, 영양염류(N, P) 및 중금속(Cu, Zn)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제거효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A. bibraianus를 실제 축산 폐수에 적용시켜 영양염류 및 중금속 처리 효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영양염류(N, P)와 중금속(Cu, Zn) 합성 폐수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A. bibraianus의 축산 폐수에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축산 폐수에서 영양염류와 중금속의 제거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 폐수의 특징은 무엇인가? 축산 폐수는 고농도의 영양염류와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배출될 때 수질을 악화시킨다. 기존 처리 기술과 비교하여 bioremediation은 축산 폐수 처리에 유능하다.
미세조류는 무엇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가? 기존 처리 기술과 비교하여 bioremediation은 축산 폐수 처리에 유능하다. 특히, 미세조류는 오염물질 제거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nkistrodesmus bibraianus를 이용하여 축산 폐수 내 영양염류(질소(N), 인(P))와 중금속(구리(Cu), 아연(Zn))의 제거 가능성을 평가하고, A.
생물학적 처리 방법 중 미세조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1995). 미세조류는 물, 빛, 이산화탄소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플랑크톤으로 특정 토양과 수질을 가리지 않고 질소, 인 등의 무기염만 존재한다면 무한히 증식한다. 또한,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 등을 흡수하여 증식하므로 수질개선을 위한 하수 및 폐수 처리 분야까지 이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Kang et al. 2012;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CY, JY Lee and HM Oh. 2013. Control of microalgal growth and competition by N : P ratio manipulation. Korean J. Environ. Biol. 31:61-68. 

  2. Azov Y and JC Goldman. 1982. Free ammonia inhibition of algal photosynthesis in intensive cultures. Appl. Environ. Microbiol. 43:735-739. 

  3. Bailey SE, TJ Olin, RM Bricka and DD Adrian. 1999. A review of potentially low-cost sorbents for heavy metals. Water Res. 33:2469-2479. 

  4. Baker MD, CI Mayfield, WE Inniss and PTS Wong. 1983. Toxicity of pH, heavy metals and bisulfite to a freshwater green alga. Chemosphere 12:35-44. 

  5. Bates SS, A Tessier, PG Campbell and J Buffle. 1982. Zinc adsorption and transport by Chehlamydomonas varuiabilis and Scenedesmus subspicatus (Chlorophyceae) grown in semicontinuous culture 1. J. Phycol. 18:521-529. 

  6. Choi HJ and SM Lee. 2011. Effect of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pH on the growth rate of Chlorella vulgaris. Environ. Eng. Res. 33:511-515. 

  7. Conley DJ, HW Paerl, RW Howarth, DF Boesch, SP Seitzinger, KE Havens, C Lancelot and GE Likens. 2009. Controlling eutrophication: nitrogen and phosphorus. Science 323:1014-1015. 

  8. Ehrlich HL and CL Brierley. 1990. Microbial Mineral Recovery. McGraw-Hill, New York. 

  9. Engl A and B Kunz. 1995.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Saccharomyces cerevisiae: effects of nutrient conditions. J. Chem. Technol. Biotechnol. 63:257-261. 

  10. Ilavarasi A, D Mubarakali, R Praveenkumar, E Baldev and N Thajuddin. 2011. Optimization of various growth media to freshwater microalgae for biomass production. Bio-technol. 10:540-545. 

  11. Jung KY, NJ Cho and YG Jeong. 1998. Comparison of liquid composting efficiency using liquid pig manure in different condition. Korean J. Environ. Agric. 17:301-305. 

  12. Kang Z, BH Kim, SY Shin, HM Oh and HS Kim. 2012.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and microbial diversity analysis of microalgal mini raceway open pond. Korean J. Microbiol. 48:192-199. 

  13. Kim DH, SM Kim, YK Oh and CH Park. 2013. A study on optimal treatment conditions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 removal using microalgae. J. Korean Soc. Urban Environ. 13:43-50. 

  14. Kim PJ, YB Lee, Y Lee, HB Yun and KD Lee. 2008. Evaluation of livestock manure utilization rates as agricultural purpose in developed OECD countries by using nutrient balances. Korean J. Environ. Agric. 27:337-342. 

  15. Kim SJ, YH Lee and SJ Hwang 2013. Effects of pH and aeration rates on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using mixotrophic microalgae. J. Korean Soc. Water Waste. 27:69-76. 

  16. Kim TH. 2013. A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icroalgae and LED light sources.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7. Lananan F, FHM Yunos, NM Nasir, NSA Bakar, SS Lam and A Jusoh. 2016. Optimization of biomass harvesting of microalgae, Chlorella sp. utilizing auto-flocculating microalgae, Ankistrodesmus sp. as bio-flocculant. Int. Biodeter. Biodegr. 113:391-396. 

  18. Lau PS, NFY Tam and YS Wong. 1995. Effect of algal density on nutrient removal from primary settled wastewater. Environ. Pollut. 89:59-66. 

  19. Lee HY. 1999.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using microalgae. J. Bioindustry. 12:36-39. 

  20. Lee JH and JH Park. 2010. Characterization of biomass production and wastewater treatability by high-lipid algal species under municial wastewater condition. J. Korean Soc. Environ. Eng. 32:333-340. 

  21. Lee JH and JH Park. 2011. Characterization of algal -bacterial ecological interaction and nutrients removal under municipal wastewater condition. J. Korean Soc. Environ. Eng. 33:314-324. 

  22. Lee JY, JH Lee and JH Park. 2011. Molecular e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wastewater bacterial communities in response to algal growth. J. Korean Soc. Environ. Eng. 33:847-854. 

  23. Lee YK. 2001. Microalgal mass culture systems and methods: their limitation and potential. J. Appl. Phycol. 13:307-315. 

  24. Liang J. 2016. Bio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using Enteromorpha prolifera. J. Korea Soc. Waste Manage. 33:85-91. 

  25. Lim BR, W Jutidamrongphan and KY Park. 2010. Comparison of models to describe growth of green algae Chlorella vulgaris for nutrient removal from piggery wastewater. J. Korean Soc. Eng. 52:19-26. 

  26. Lim BS. 2009. Effect of competitive interference on the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immobilized algae.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7. Mehta SK and JP Gaur. 2005. Use of algae for removing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progress and prospects. Crit. Rev. Biotechnol. 25:113-152. 

  28. MOE. 2011.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29. MOE. 2014. Development of a BNR Process and a Bioethanol Production Technology using Microalgae.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30. MOE. 2016. Investigation on the Impact of Aquatic Ecosystem on Discharge Water Temperature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I).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31. Munoz R and B Guieysse. 2006. Algal -bacterial 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hazardous contaminants: a review. Water Res. 40:2799-2815. 

  32. NIER. 2013. A Pilot Investigation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Livestock Manure and Organic Fertilizers (II). NIER-RP2013-28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33. Oh EJ, IS Hwang, J Yoo and KY Chung. 2018. Removal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from swine wastewater using Chlorella vulgaris. J. Environ. Sci. Int. 27:1059-1072. 

  34. Park JS, IS Hwang, EJ Oh, J Yoo and KY Chung. 2019. Behavior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Cu, Zn)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from swine wastewater treatment using microalga Scenedesmus obliquus. Appl. Chem. Eng. 30:226-232. 

  35. Park KY, BR Lim, KS Lee and SK Lee. 2011. Potential use of microalgae Scenedesmus acuminatus for tertiary treatment of animal wastewater. J. Korean Soc. Eng. 53:63-69. 

  36. Richmond A and JU Grobbelaar. 1986. Factors affecting the output rate of Spirulina platensis with reference to mass cultivation. Biomass 10:253-264 

  37. Wilkie AC and WW Mulbry. 2002. Recovery of dairy manure nutrients by benthic freshwater algae. Bioresour. Technol. 84:81-9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