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 탐색: 제7차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through 2015-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2, 2020년, pp.141 - 157  

왕석순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전개되고 있는 학교 인구교육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총론 및 각론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터하여 학교 인구교육의 미래 방향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는 총론 교육과정의 '범교과학습주제'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으나, 현행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각론 교육과정 분석의 결과(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해당하는 10개의 공통 교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함), 중등의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 교육과정, 그리고 초등 및 중등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만 교과의 성격이나 목표, 또는 내용요소나 성취기준에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5가지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 인구교육의 목적은 출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확인하며, '저출생·초고령사회 대응'의 양성평등한 용어를 적용한다. 둘째, 인구교육을 교과의 목표와 내용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으로 직접 다루는 교과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 사명을 부여한다. 셋째, 융합학문적 특성의 인구교육을 융합교육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한다. 넷째,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에서는 인구교육의 주요 내용을 다루는 주도교과의 선택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준다. 다섯째, 교원의 인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한다. 민주시민의 역량은 사회의 기본적 집단인 가족의 사회화를 통해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삶을 기반으로 하는 가정과교육에서 인구교육을 주도하여 삶, 즉 생활과 연계된 실천적 인구교육으로 학교 사회에 인구교육이 확대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학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의 사명을 가정과교육에 맡겨서 이를 잘 수행해 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전체 교육과정에서 가정과교육의 이수를 강화시키는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documents for the purpose of reviewing the overall status of popul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population education at school wer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과정 문서상의 편제표를 중심으로 보면, 학교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과 같은 비교과활동과 ‘교과 교육활동’으로 구성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교과 활동에서 전개되는 학교 인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로 했다.
  • 그러나 이 기간 동안의 인구교육은 맬더스(Malthus)의 인구관을 기반으로 한 인구교육으로, 현재의 저출산, 고령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인구교육과는 인구관이 정 반대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2005년 이후에 저출산 및 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관으로 변화한 우리나라의 학교 인구교육의 양상을 교육과정 전반에서 파악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했다. 또, 교육과정 문서 분석의 결과와 관련 문헌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kr)에서 고찰하면, 대학의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교육은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2011학년도부터 시작되어 그 역사도 비교적 짧고 참여 대학도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 인구교육에 초점을 두어 저출산 및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인구교육의 양상을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학교사회에서 인구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는 2005년 이후에 저출산 및 고령사회 대응의 인구관으로 변화한 우리나라의 학교 인구교육의 양상을 교육과정 전반에서 파악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했다. 또, 교육과정 문서 분석의 결과와 관련 문헌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학교 인구교육은 대학의 인구교육도 포함해야 하지만, 고등교육의 특성상 각 대학의 교육과정은 자율성이 강조되므로 모든 대학을 동일하게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용이하지도 않다.
  • 여기에서는 국어, 도덕, 수학, 사회, 기술⋅가정, 미술 등 6개 교과의 수업 지도 사례를 개발하여, 그 당시의 시점 상 개정을 앞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저출산 및 고령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학교 인구교육의 수업사례를 제시하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인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우리 사회의 여러 제도와 관습, 가치들에 대해 성찰하고, 만일 여기에 개선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부딪쳐서 이를 개선시키고 변화 시키려는 데 깨어있는 자아, 즉 ‘enlightened ego’를 기르는 것 을 인구교육의 목적으로 강조했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전개되고 있는 저출산⋅고령사회 에 대응하는 학교 인구교육의 실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을 제언으로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3차 저출산⋅고령 사회 기본계획의 내용은 무엇인가? 이에 2016년도에 발표된 중앙정부의 ‘제 3차 저출산⋅고령 사회 기본계획’에서는 1차와 2차 기본계획과 달리 보육비 지원 중심에서 벗어나 저출산을 촉발한 보다 근원적인 가치의 문제 즉, 개인이 출산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여러 사회 가치 및 관례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두는 ‘가족친화 가치 증진을 위한 대국민 홍보와 교육’을 주요 과제로 채택하는 큰 변화를 나타냈다. 이런 변화는 우리사회에서 장기화 되고 있는 저출산의 인구문제를 개인의 가치문제의 결과이기 보다 개인이 결혼과 출산을 선택하는데 걸림돌이 되어 온 다양한 사회적 가치와 관례들이 보다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학교 인구교육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광의의 인구교육은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인구교육이지만, 학교 인구교육은 그 대상을 아동 및 청소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라는 제도권 내에서 실시되는 인구교육을 의미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 인구교육을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구 현상이 개인과 가정,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도록 하고, 인구와 결혼 및 출산, 그리고 가족생활에 대한 합리적인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5가지 학교 인구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 인구교육의 목적은 출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확인하며, '저출생·초고령사회 대응'의 양성평등한 용어를 적용한다. 둘째, 인구교육을 교과의 목표와 내용요소, 그리고 성취기준으로 직접 다루는 교과에 인구교육의 주도교과로서 사명을 부여한다. 셋째, 융합학문적 특성의 인구교육을 융합교육의 적극적 소재로 활용한다. 넷째, 선택중심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고등학교에서는 인구교육의 주요 내용을 다루는 주도교과의 선택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준다. 다섯째, 교원의 인구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을 강화한다. 민주시민의 역량은 사회의 기본적 집단인 가족의 사회화를 통해 출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삶을 기반으로 하는 가정과교육에서 인구교육을 주도하여 삶, 즉 생활과 연계된 실천적 인구교육으로 학교 사회에 인구교육이 확대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a, W. K. (2008). The new directions of one's values education in the low childbirth?aged socie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1(1), 107-131. 

  2. Cha, W. K., & Kim, T. H. (2012, July). 인구교육의 성과와 발전 방향 [Population education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Paper present ed at t he 1st Populat ion Day Memorial Conference, Seoul. Retrieved from https://pep.mohw.go.kr/ 

  3. Cha, W. K., & Kim, T. H. (2013).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the training of population education expert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6(1), 69-84. 

  4. Choi, S. I. (1988). 사회과교육에서의 인구문제 [Population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1, 79-101. 

  5. Framework act on low birth rate in an aging society,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Act No. 11444, (2012).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LSW/eng/engLsSc.do?menuId2§ionlawNm&query11444&x0&y0#liBgcolor0 

  6. Go, J. Y., Choi, S. I., & Choi, I. S. (2012). 경기도 시군 출산환경지수 개발 연구 [Gyeonggi-do Sigun Fertility Environment Index Development Research] (No. 2012-21). Suwon: Gyeonggido Family & Women Research Institute. 

  7. Hong, H. S., Kim, M. Y., Choi, Y. H., & Park, W. J. (2011). The effect of population education programe on values of marriage, childbearing and gender equality among unmarried yout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rternal and Child Health, 15(2), 152-165. 

  8. Jeon, S. K. (2017). Exploring the causes and overcoming of low fertility in terms of family culture and valu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4), 85-100. doi:10.19031/jkheea.2017.12.29.4.85 

  9. Jo, G. W., Lee, J. Y., & Jeong, Y. L. (2017). 전라북도 출산환경지표 개발 및 정책활용 방안 [Development of fertility environment indicators of Jeollabuk-do and policy utilization plan] (No. 2017-JU-09). Jeonju: Jeonbuk Institute. 

  10. Jun, M. K., & Oh, K. S. (2010). Education and application for low fertility.aged socie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95-116. 

  11. Kim, G. R., & Jo, H. J. (1997). 한국 고등학교 교과서 중심으로 본 인구교육의 분석 [An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based on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Education Research, 21, 89-112. 

  12. Kim, H., Kim, I., & Oh, W. (2015).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a preschool child's mothers on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 of childbirth promo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4(3), 195-218. 

  13. Kim, M.-Y., & Song, Y. (2012). University students' values on marriage, gender role, and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03-311. 

  14. Kim, N. S. (1977). Educational counterplans for population problems. The Studies in Regional Development, 9(1), 111-115. Retrieved from http://crdcnu.jnuac.kr/ 

  15. Lee, D. H. (2018, November 20). 저출산 예산 13년간 143조원 다 어디에 썼나... [Where has the budget for the low brith rate gone?: 143 trillion won for 13 years...]. Hankookilbo. Retrieved from https://www.hankookilbo.com 

  16. Lee, G. S. (2012).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by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1), 73-84. 

  17. Lee, M. R., & Yoon, I. K. (2008).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population i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with low birth rate to the revised 7th (Ethics,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1(1), 133-152. 

  18. Lee, S. J. (2014).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rganiz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lectures for low birth rate and aged socie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2), 469-486. 

  19. Lee, S. J. (2015). Applic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in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cused on home economic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8, 49-67. 

  20. Lim, I. M. (2011). Changes in contents of the field of populatio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middle school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4(1), 41-63.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Population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pep.mohw.go.kr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함께 만드는 행복한 세상 (중.고등학교 인구교육 교재) [A happy world together (middle and high school population education textbook)]. Seoul: Human Culture Arirang. 

  23. Moon, J. H., Choi, C. R., & Kim, H. J. (2016). 출산친화적인 지역사회 환경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hildbirth-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s] (No. 2016-2). Busan: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24. Park, S.-Y., & Chi, H.-S. (2019). A case study on mural painting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Journal of Art Education, 56, 133-169. 

  25. Park, Y. K. (2012). A content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2), 1-18. 

  26. Wang, S. S.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ed with the future social change: Focusing on the new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 as the subjects for life and happines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17-32. doi:10.19031/jkheea.2016.09.28.3.17 

  27. Wang, S. S. (2016, June). 대학 인구교육 강좌개설 운영 개선방안: 전주대학교 운영 사례의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university's population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2016 Population Education Forum, Cheongju. Retrieved from https://pep.mohw.go.kr/ 

  28. Wang, S. S. (2018, November). 학교인구교육의 오늘과 내일 [Today and tomorrow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2018 Population Education Forum, Daejeon. Retrieved from https://pep.mohw.go.kr/ 

  29. Wang, S. S., & Jun, M. K. (2005). The instructional methods for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For the uses of teacher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30. Wang, S. S., & Jun, M. K. (2006).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revision mannual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1. Wang, S. S., & Lim, Y. M. (2014). The effects of population education on the recognition of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4), 147-164. 

  32. Wang, S.-S., & Shim, J.-Y. (2019).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opulation problem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using text-mining: To drive the implications of populatio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3), 73-90. doi:10.19031/jkheea.2019.09.31.3.73 

  33. Yang, J. S. (2015).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affecting work-family balance and the childbirth decision of working wiv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4), 613-630. doi:10.13049/kfwa.2015.20.4.613 

  34. Yoon, I. K. (2011a).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In moral subject, social study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4(1), 19-39. 

  35. Yoon, I. K. (2011b).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2 -In technology.home economics, moral subject and social stu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4(2), 1-18. 

  36. Yoon, I. K. (2012).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3 -In technology.home economics, moral subject and social stu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5(1), 49-69. 

  37. Yoon, I. K. (2013).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4 -In the textbook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moral subject and social stu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6(1), 1-22. 

  38. Yoon, I. K. (2015).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population education in high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scienc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8, 69-89. 

  39. Yoon, I. K., & Lee, S. J. (2016). A content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 Focused on content system in population education (2015).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9, 1-23. 

  40. Yoon, I. K., & Lee, S. J. (2017a). A content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 Focused on content system in population educ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10(1), 39-60. 

  41. Yoon, I. K., & Lee, S. J. (2017b).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al contents for low birthrate & aging socie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10(1), 61-81. 

  42. Yoon, I. K., Lee, S. J., & Lee, M. (2016). A content analysis of population education in 'human development' textbook of specialized high school: Focused on content system in population education(2015). Korea Journal of Population Education, 9, 25-48. 

  43. Yu, J. Y. (2012). The actual condition and tasks of teachers' population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2), 339-3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