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f the Identities of Male Home Economics Teacher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2, 2020년, pp.159 - 178  

안재현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자 가정과교사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남자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력과 지역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12명의 남자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6월 1일부터 2019년 7월 31일까지 심층면담을 하였다. 자료의 전사는 연구자가 직접 녹음된 면담 내용을 들으면서 한글 2010에 전사하였다. 전사 자료는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연: 편견의 벽을 깨고'에서는 남자 가정과교사로서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정교육과에 입학한 동기, 교육실습, 임용 TO의 벽 등을 통해 남자 가정과교사가 되기까지의 경험을 담았다. 둘째, '직면: 남자 가정과교사로 살아내기'는 남자 가정과교사로서 경험했던 현재의 이야기와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동료교사, 가족, 친구들의 생각을 담았다. 남자 가정과교사들이 가정과 수업과 평가를 하면서, 그리고 그들의 삶 속에서 느낀 경험이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셋째, '기대: 가정과교사로 성장하기'는 남자 가정과교사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남자 가정과교사들은 실천하는 교사를 추구하며,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였다. 남자 가정과교사를 꿈꾸는 후배들에게는 성별을 따지지 말고 실력 있는 가정과교사가 되라고 조언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에 참여한 남자 가정과교사의 수가 많고 지역이 다양하여 그들의 깊이 있는 내러티브를 담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가정과교사는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가정과교육의 연구 대상을 남자 가정과교사로 확장하여 가정과교육의 지평을 확대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male home economics(HE) teachers' identities through narrative inquiry. Considering experiences of HE teachers and diversity in regions, twelve male teachers were chose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une 1st and July 31st, 2019. The transcription of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체성은 무엇인가? 정체성은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에 대한자각으로서 사람들은 자기 자각에 따라 사고하고 의미화하고 소통하고 행동한다.”(Chung, 2011, pp.
내러티브 정체성(narrative identity)은 무엇을 뜻하는가? 같은 맥락에서 McAdams(1995)는 삶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는 내러티브 정체성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 정체성(narrative identity)은 “과거를 재구성하고, 현재를 수용하며,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통합하여 삶에 통일감과 목적, 의미를 제공하는 자기 내적인 이야기(McAdams, 1995,p. 365)”를 의미한다.
특정 교사 정체성의 연구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교사 정체성에 관련된 선행 연구로는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에 관한 연구(Ko, 2003), 예비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Chung,2011; Han, 2012; Jin & Yoo, 2014), 교직의 여성화 현상이 강한초등학교에 근무하는 남교사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연구(Ahn& Kim, 2013), 초등학교 남교사의 정체성에 대해 같이 근무하는 여교사들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Han,2003) 등이 있다. 가정과교육과 유사하게 여교사가 대다수인 유아교육에서도 남자 유아교육과 학생에 대한 연구(Ahn,2013; Jo & Lee, 2004a, 2004b), 남자 유아교사의 삶에 관한연구(Im & Lee, 2013; Kim & Kwon, 2014),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Mun & Hong, 2011; Kim & Hurh, 2017)등 남자 유아 교사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교사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기법을 활용한 것이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A. R., & Kim, H. (2013). Exploring identities of mal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6(3), 81-108. 

  2. Ahn, J.-R. (2013). Stories from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79, 67-88. 

  3. Choi, S.-J. (2017). A narrative inquiry of three home economics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4. Chung, H. (2011). Identity dilemma in primary school student teacher -with special regard to the practice teaching cours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45, 303-333. 

  5.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7).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K. H. So, H. S. Kang, D. I. Joo, & M. I. Park Trans.). Seoul: Kyoyookbook.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6. Forsyth, D. R. (2013). Group dynamics. (Nam, K. D., Ro, H. K., Ahn, M. Y., Lee, J. T., Lee, J. H., & Choi, H. C, Trans). Seoul: CENGAGE learni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7. Gee, S.-Y., & Yang, J.-W. (2017). A narrative inquiry on the career decision process of females in male-dominated occupations. Journal of Narrative and Educational Research, 5(1), 25-48. 

  8. Han, J. Y. (2012). Research on the pre-service teachers' life and identity change in a college of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75-89. 

  9. Han, S. M. (2003). 초등학교 남교사의 정체성과 여교사에 대한 시각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 동래교육구청의 경우 [Research on the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male teachers and the perspective of female teachers: Busan Dongnae District Office]. The Pus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6(1), 169-188. 

  10. Hong, Y.-S. (2015). Knowing on narrative inquiry.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3(1), 5-21. 

  11. Hong, Y.-S. (2019). Narrative inquiry as relational research.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5(1), 81-107. 

  12. Im, J. Y., & Lee, D. K. (2013). Moulting of a male novice kindergarten teacher.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4(3), 229-261. 

  13. Jin, H. R., & Yoo, T. M. (2014). Narrative inquiry on student teacher searching for identity as a teache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1), 81-99. 

  14. Jo, G. H. (2016, November, 08) "멋진 남편 되는 법, 남자가 가르쳐야 제격[How to be a great husband, man must teach]". Dong-A Ilbo, A25. Retrieved from http://news.donga.com/3/all/20161108/81215020/1 

  15. Jo, G. J., & Lee, H. S. (2004a). Male studen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1), 187-214. 

  16. Jo, G. J., & Lee, H. S. (2004b). Female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f male teachers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6), 46-65. 

  17. Kang, S.-J., & Cho, B.-E. (2013).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sex education on sound sexual valu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1), 15-36. 

  18. Kim, K. T. (2018). Theory, issues and tasks of teacher identi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5(3), 491-521. 

  19. Kim, K., & Ji, O. (2017). Mal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from the decision of employment to leaving the child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16(3), 153-179. 

  20. Kim, K.-S., & Hurh, J. M. (2017). A study on the male teacher's job performance abi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7), 215-224. 

  21. Kim, N.-R. (2013). A narrative inquiry into male teachers' lives following the femin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Korea. 

  22. Kim, S., & Hong, Y. (2019). Analysis of narrative inquiry trends in the field of counseling(2009-2018). Journal of Qualitative Inquiry, 5(4), 63-89. 

  23. Kim, S.-H. (2018). The culture of home economics teacher based on their consciousness upon teaching and modes of teach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24. Kim, T., & Kim, J. (2016).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 identity based on the narrative ident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0(1), 1-25. 

  25. Kim, Y.-.J., Lee, S.-H., & Sohn, S.-H. (2014).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representa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2), 31-49. 

  26. Ko, M. S. (2003). New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identity Narrative identit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0(1), 5-32. 

  27. 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2020). 시도별 유/초등/특수/중등 교원 임용 시험 현황(2014-2019) [Kindergarten/Elementary/Special/Secondary Teacher Employment Test Status by Province (2014-2019)].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post/6694136?itemCode04&menuIdm_02_04_03 

  28. Kwon, M. S. (2003). A narrative study on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adaptation process during the first 6 months in elementary school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10(2), 23-48. 

  29. Kwon, S. Y. (2014). Being a minority male teach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0. Kwon, S.-M., & Sho, C.-K. (2013). The self-narrative inquiry on student teacher's teaching practi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25(1), 63-78. 

  31. Lee, H. (2015). Exploring master teacher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professional Ident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6), 295-317. 

  32. Lim, Y. J. (2018). A study on the identity of high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33. McAdams, D. P. (1995). What do we know when we know a person?. Journal of personality, 63(3), 365-396. 

  34. Ministry of Education (1992). Middle school curriculum. Notification No. 1992-11 of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35. Ministry of Education (2015).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form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36. Moon, K. S. (2009). A study on the research of adolescent's identity 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3(4), 819-838. 

  37. Mun, B. H., & Hong, H. H. (2011). The comparison of awareness on male teacher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5(2), 91-107. 

  38. Park, A. C. (2003). 정체감 연구의 전망과 과제[Research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identity]. Seoul: Harjisa. 

  39. Park, M. J. (2007). A narrative inquiry into elementary teachers'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ree teachers' stor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1), 69-93. 

  40. Park, M. J., & Chae, J. H. (2007). A study on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4), 1-16. 

  41. Ryu, K., Jung, J. W., Kim, Y. S., & Kim, H. (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 Pakyoungstory 

  42. Shim, M. O. (2018). Teacher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hose to change their job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6), 443-478. 

  43. Song, H. E. (2019). A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process of second-career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44. Suh, G.-W., & Lee, M.-J. (2017). Qualitative transition to qualitative research: the case of a narrative identity research. Anthropology of Education, 20(4), 1-48. 

  45. Tropp, L. R., & Wright, S. C. (2001). Ingroup identification as the inclusion of ingroup in the sel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5), 585-600. 

  46. Yeom, J. S. (2002). Narrative inquiry in educational research: the concept, procedure, and dilemmas. Anthropology of Education, 6(1), 119-14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