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의생활 안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Clothing Safe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1, 2020년, pp.127 - 143  

김류경 (연현중학교) ,  심현섭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ADDIE 모형에 따라 '의복 및 섬유제품의 생산, 착용, 세탁, 보관 과정에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친환경 섬유', '천연세정제'와 같이 3가지 학습요소에 대하여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경기도 안양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 7개 학급, 총 2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1주에 2시간씩 3주에 걸쳐 총 6차시로 수업을 실행하였다. 건강신념을 측정한 사전·사후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version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인지된 위협(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의 조합), 인지된 이익,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인지된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교육 수업은 중학생들이 유해물질로부터의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교육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가정과 특색에 맞는 안전교육은 물론 의생활안전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lothing safety teaching/learning plan in Home Economic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urse using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lan on the health belief. Based on ADDIE model, 6 clothing safety teaching/learning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개단계에서는 Detox my Fashion! Detox our Future!를주제로 의복 및 섬유제품의 착용, 세탁, 보관단계에서 노출될수 있는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보도록 했다. 구체적 상황에서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 실천 방안을 알게 됨으로써 유해물질 제거나 예방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섬유임을 인증하는 국내외 인증마크의 모양과의미를 알아보고 자신만의 안전 인증태그를 만들어봄으로써,의복 및 섬유제품의 구매 및 사용단계에서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 4~5차시는 의생활 속에서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천연세정제 사용에 대한인지된이익을 향상하고 천연세정제를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주는 인지된 장애를 감소시키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Table 4]). 도입단계에서는 베이킹소다, 구연산,숯 등 천연재료의 판매량이 증가한 이유를 알아봄으로써 옷을세탁하고 보관하는 과정에서 천연세정제나 천연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게 했다. 전개 단계에서는 ‘내 아이를 망치는 위험한 세제’의 저자소개를 통해의복의 세탁과 보관과정에서 화학물질과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물질을 줄이는 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고, 세탁세제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세정제의 종류를 알아봤다.
  • 도입단계에서는 그린피스의 '디톡스마이 패션(Detox My Fashion)' 캠페인의 의미를 생각하며,옷으로 인한 유해물질의 문제점과 해결은 전세계에 걸친 문제로 자신 또한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인식하게했다. 전개단계에서는 Detox my Fashion! Detox our Future!를주제로 의복 및 섬유제품의 착용, 세탁, 보관단계에서 노출될수 있는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보도록 했다. 구체적 상황에서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 실천 방안을 알게 됨으로써 유해물질 제거나 예방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의생활안전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정규 가정 교과 시간에 실행하여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수업이 중학생의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결과를 근거로 의생활 안전교육의총괄목표를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의 실천’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하위 단계로써 건강신념 목표를 4가지로설정하였다. 설정한 목표는 의복 및 섬유제품의 생산 및 관리과정에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및 인체 위해성에 대한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 향상, 친환경 섬유 및 천연 세정제를 사용 할 때의 질병예방 및 건강 증진에 대한 인지된 이익 향상,친환경 섬유 및 천연 세정제 사용 부담에 따른 인지된 장애감소,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의생활의 실천에 대한 자기효능감 향상이다.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과정안의 단원 및 목표,학습 주제, 내용 요소, 수업 방법 및 학습 자료를 계획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의생활로 발생할 수 있는 잠재된위험을 예방⋅대처하고, 위험으로부터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위한 의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중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제품이 우리 인체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무엇인가? 의복을 포함한 섬유제품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장시간 인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Shin, 2007). 생산적인 측면에서 고려할때 편리성, 쾌적성, 실용성 등의 고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데, 이는 때때로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섬유 제품에 잔류 가능한 화합물 중에는 안전성이 확인된 것도 있지만 생산 공정의 특성상 유해성 물질 또는 피부 자극, 알레르기 유발, 경구독성, 중추신경 장애 유발, 발암성 등이 확인된 물질이사용되는 경우도 있다(Tak, 2002).
예방행위란 무엇인가? 예방 행위 실천과 같은 예방적 건강 행위는 개인이 갖고 있는 건강 신념에 의해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Lee, 2018). 예방행위란 자신이 건강하다고 믿는 사람이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에서 질병을 예방하거나 조기 발견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들에 대한 영향요인을규명하기 위한 것이 건강 신념 모델이다(Kim, 2009). 건강신념모델은 치료적 행위보다 예방적 행위에서 더욱 설명력이 있는 편이다(Lee, 2018).
의복을 포함한 섬유제품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의복을 포함한 섬유제품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장시간 인체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Shin, 2007). 생산적인 측면에서 고려할때 편리성, 쾌적성, 실용성 등의 고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데, 이는 때때로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Becker, M. H. (1986). The tyranny of health promotion. Public Health Review, 14(1), 15-23. 

  2. Choi, J.-H., Lee, E.-S., Lee, Y.-J., Lee, H.-S., Chang, H.-J., Lee, K.-E.,...Kwak, T. K. (2016).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and assessment of program effectivenes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5(9), 1366-1374. 

  3. Gang, S. U., & Lee, J. Y. (2017). 케미컬 라이프 [Chemical life]. Seoul: Miraebook. 

  4. Jang, N. K. (2008). Consumer lifestyle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friendly fashion: An exploratory study.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8(1), 31-47. 

  5. Jeong, D.-J. (2003). 의류 및 섬유관련제품의 안전성 [Safety of clothing and textile products].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18(-), 26-31. 

  6. Jeong, M. H.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TEAM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n smart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Korea. 

  7. Jeong, M. J. (2013). A Study on internal bedding brand products made of eco-friendly fabric materials: Focused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8. Joe, M. Y., & Hwang, J. Y. (2017).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3(1), 64-77. 

  9. Jung, K. H., Cho, D. W., Jung, J. H., Jeong, N. A., Joo, K. M., Seung, K. R., & Lee, H. M. (2009). Management directions for dangerous household goods. Duksung Bulletin Phamaceutical Science, 20(-), 3-18. 

  10. Jung, Y. S. (2011).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5(3), 340-346. 

  11. Kang, I. H., & Choi, B. H. (2016). 교통안전과 의복생활 [Traffic safety and clothing life]. Paju: Cheongmoongak. 

  12. Kim, E. Y. (2013).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related to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for adult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he influence of nutrition knowledge, health belief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orea. 

  13. Kim, H. J., & Yang, S. J. (2013). The effects of education on the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357-371. 

  14. Kim, J. H. (2013). A study for detergent package design, focusing on LOHAS consumers' attitudes toward to eco-friendly detergent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Research, 36(-), 7-16. 

  15. Kim, K. H. (2014). A study on consumer trust-anxiety-competency model of chemical household products risk.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16. Kim, N. E. (2016).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safety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47-63. 

  17. Kim, N. E. (2017). Discussion on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rection of chang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2017 spring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 79-84). Seou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 Kim, N. E., Chae, J. H., & Cho, J. S. (2016). Development of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1), 19-39. 

  19. Kim, S.-J. (2009). Predictors of male college students' condom use based upon the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0. Kim, Y.-J. (2016). Analysis of dietary life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32(2), 301-320. 

  21. Kim. S. S. (2014). The infants' parents' awareness, knowledge, and decrease behavior of endocrine-disruptors(EDCs). Crisisonomy, 10(6), 177-199. 

  22. Koo, S. M.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cervical cancer among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23. Kwak, S.-Y., Shin, J., Lee, D., & Kang, S. (2016). 친환경적 태도-행동 모형 구축을 통한 친환경소비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promoting environmental consumption by develop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behavior model].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4. Kweon, S. A., Lee, J. M., & Choi, J. M. (2003). 의복과 인체의 환경적응 [Environmental adaptation of clothes and human body]. Seoul: Gyohag-yeongusa. 

  25. Lee, B. K., Sohn, Y. K., Lee, S. L., Yoon, M. Y., Kim, M. H., & Kim, C. R. (2014).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Journal of Public Relations, 18(2), 163-206. doi:10.15814/jpr.2014.18.2.163 

  26. Lee, H. J. (2015). A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consumers' values on green consumption: Focus on the moderator roles of environmental attitude and environmental invol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7. Lee, H. Y. (2017). Suggestion for realistic settlement of KC certification system for safety of clothing. Proceedings of the 2017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Conference (pp. 114). Daejeon: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8. Lee, K.-A. (2013). Development of a elementary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1), 91-115. doi:10.17055/jpaer.2013.19.1.91 

  29. Lee, S. B., Jeong, Y.-R., Ahn, H.-J., Ahn, M.-J., Ryu, S.-A., Kang, N.-E., & Oh, S.-Y. (2015).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3), 165-177. 

  30. Lee, S. H. (2018).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in promoting the safe use of cleaning ag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parent: Health belief model appl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S. J. (2017). A Study on spear phishing security awareness education using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32. Lee, S. Y., Lee, S. K., Kim, J. H., & Lee, J. S. (2012).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eco-friendly textile fib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4), 781-790. 

  33. Lee, Y.-J. (2014a). Research on development of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clothing & textile area in practical ar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7(2), 53-72. 

  34. Lee, Y.-J. (2014b).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key competence focused clothing &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2), 71-94. 

  35. Lee, Y.-J. (2015). Analysis of clothing life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stud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lothing life safet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2), 45-66. 

  36. Lee, Y. J. (2017). Research on the way to safety education in practical art education based upo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 in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seven standards of safet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75-95. 

  37.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General 2015 revised curriculum]. Sejong: Author. 

  38.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의(衣), 식(食), 주(住)와 화학물질 [Cloth, food, house and chemical substance]. Gwacheon: Author. 

  39.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7). 제품 광고 시 친환경 사유.천연 함량 표시하여 소비자 보호 강화한다 [Enhance consumer protection by displaying eco-friendly reasons and natural contents when advertising products]. Retrieved from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196291 

  40. Mo, Y. S. (2012).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effectiveness to reduce sodium intak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mast 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1. Moon, H. K. (2017).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와 가정과 의생활 교육의 변화방향성에 대한 고찰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rection of chang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2017 Spring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 57-78). Seou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42. Park, K. Y. (2018). Development and effect of education on human papilloma virus(HPV) vaccination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 University, Pocheon, Korea. 

  43. Park, S. J., & Lee, E. J. (2015). Influences of middle- and old-aged shoppers' perceived risk and consumption value on purchase intentions of eco-friendly clothing: the mediation effect of risk reduction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1), 51-68. 

  44. Park, S. Y.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45. Park, S., Kwon, J.-S., Kim, C.-I., Lee, Y., & Kim, H.-K. (2012).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5), 623-636. 

  46. Rosenstock, I. M. (1990). The health belief model: Explaining health behavior through expectancies. In K. Glanz, F. M. Lewis, & B. K. Rimer (Eds.), The Jossey-Bass health serie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39-62). San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47. Ryu, M. J. (2013). The effect of extrinsic attributes of green product, perceived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environmental-friendly laundry deterg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gu, Korea. 

  48. Saito, H., & Nomiyama, I. (2013). 의복환경과학의 이해 [Understanding of clothing environment sciences]. (Choo, M. S., Trans.). Paju: Gyomun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49. Seo, Y. M.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ugar intake reducti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for the elementary 3rd gra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0. Shin, H. S., & Park, D. Y. (2008). Safety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in the Montessori classroom. Journal of Korea Practice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 81-104. 

  51. Shin, J. H. (2007). Review: Hazardous substance research of cloth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9(2), 135-137. 

  52. Shin, Y. H., Chun, Y. K., Cho, S. M., & Cho, Y. R. (2005).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related to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and sexual autonomy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304-1313. 

  53. Shin, Y., Kim, E., Shin, H., Lee, J., & Jeong, S. (2018). A program to build early school-aged child's personal hygiene habit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8(1), 51-59.doi:10.15384/kjhp.2018.18.1.51 

  54. Sin, E. K., Lee, Y. 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1(4), 488-501. 

  55. Son, J.-H., Kim, S.-A., Kam, S., Yeh, M.-H., Park, K.-S., & Oh, H.-S. (1999).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a worksite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2(3), 297-305. 

  56. Sung, H., & Jeon, Y. (2005). A study on Korean golfers' sun protective behavior and their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189-197. 

  57. Sung, H. W., Jeon, Y. J., & Park, H. S. (2005). A study on UV protective clothing: An emphasis on outdoor sports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8), 1136-1145. 

  58. Tak, J.-P. (2002). Securing safety for textile products.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3(-), 29-40. 

  59. Watkins, S. M. (2003). Clothing : The portable environment. (Choi, H. S., Tran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60. Yoon, H. S., Lee, H.-Y., & Lee, S. K. (2008). 건강증진프로그램 이용과 관련된 요인: 서울시 보건소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community health center].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1. Yoon, I.-K., Jang, M.-H., Kim, G.-T., Park, D.-H., Seo, J.-Y., Park, S.-Y., & Kim, J.-H.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belief model based milk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4), 17-36. 

  62. Yoon, M. J. (2012, March). 섬유제품 안전 및 환경규제 관련 동향: KC제도를 중심으로 [Textile product safet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Focusing on the KC system]. Textile Fashion Industry Trend. Retrieved from http://www.kofoti.or.kr/OpBoard/View.asp?CodeIPB&Page7&Uid8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