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Knowledge, Confidence, and Learning Needs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1, 2018년, pp.35 - 45  

장난순 (중앙대학교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 ,  박해숙 (중앙대학교 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  김미라 (중앙대학교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 ,  이주연 (중앙대학교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 ,  조여원 (중앙대학교 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  김경미 (중앙대학교 병원 내과계 중환자실) ,  손연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Nurses'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may affect their administration of and confidence towards end of life car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of knowledge, confidence, and learning needs with advance directives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 This cross-sec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8년 2월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환자 연명의료결정법’을 앞두고,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에 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환자간 호의 일선에 있는 간호사들이 어느 정도의 지식과 자신감을 갖고 있는 지와 교육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환자 및 가족 중심의 생애 말 간호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안정적으로 정착화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 요구도 수준과 주요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질병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식, 자신감, 교육요 구도 수준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교육요구도 수준의 차이, 그리고 주요 세 변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환자와 보호자의 옹호자, 교육자로서 간호사 스스로 사전연명의료의항서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자신감, 교육요구도 등을 파악하므로써, 국내 생애 말 간호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와 관련된 올바른 인식 확산과 생애말 간호를 적용함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 연명의료결 정법을 제정한 기대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는 ‘호스피스 완화 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 의료에 관한 법률’ 즉 ‘환자 연명의료결 정법’을 제정하여 2018년 2월 법 시행을 앞두고 있으 며, 이 법을 통해, 관행적으로 시행하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절차와 요건이 법에 명시돼 의료현장의 혼란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Lee, Goo, & Cho, 2016). 사전연명의료의향서란 의사결정 능력이 있는 상태의 19세 이상인 사람이 의료진으로부터 충분한 의학적 정보를 제공받은 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앞으로 받게될 의료행위에 대해 미리 서면으로 결정해 두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Scherer et al.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무엇인가? 최근 국내는 ‘호스피스 완화 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 의료에 관한 법률’ 즉 ‘환자 연명의료결 정법’을 제정하여 2018년 2월 법 시행을 앞두고 있으 며, 이 법을 통해, 관행적으로 시행하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절차와 요건이 법에 명시돼 의료현장의 혼란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Lee, Goo, & Cho, 2016). 사전연명의료의향서란 의사결정 능력이 있는 상태의 19세 이상인 사람이 의료진으로부터 충분한 의학적 정보를 제공받은 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앞으로 받게될 의료행위에 대해 미리 서면으로 결정해 두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Scherer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J. A., Bailey, D. E., Anderson, R. A., & Docherty, S. L. (2011). Nursing roles and strategies in end-of-life decision making in acute car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1, 1-15. 

  2. Baron, K., Hodgson, A. & Walshe, C. (2015). Evaluation of an advance care planning education programme for nursing homes: A Longitudinal study. Nurse Education Today, 35 (5), 689-695. 

  3. Cardona-Morrell, M., Chapman, A., Turner, R. M., Lewis, E, Gallego-Luxan, B, Parr, M., & Hillman, K. (2016). Pre-existing risk factors for in-hospital death among older patients could be used to initiate end-of-life discussions rather than rapid response system calls: A case-control study. Resuscitation, 109 , 776-780. 

  4. Carr, D., & Luth, E. (2017). Advance care planning: Contemporary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Innovation in Aging, 1 (1), 1-10. 

  5. Coffey, A., McCarthy, G., Weathers, E., Friedman, M. I., Gallo, K., Ehrenfeld, M., ...& Fitzpatrick, J. (2016). Nurses'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and perceived confidence in end-of-life care: A cross-sectional study in five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2 (3), 247-257. 

  6. Cook, D., Rocker, G., & Heyland, D. (2004). Dying in the ICU: Strategies that may improve end-of-life care. Canadian Anaesthetist Society, 51 (3), 266-272. 

  7. Flannery, L., Ramjan, L. M., & Peters, K. (2016). End-of-life decis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ICU nurses and doctors -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Australian Critical Care, 29 (2), 97-103. 

  8. Hong, A., Kim, J. H., Shin, H. G., Kwon, H. W., Youn, J. H., Kim, Y. I., & Han, Y. J. (2017).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 (4), 520-526. 

  9. Hong, S. W. & Kim, S. M. (2013).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 (3), 330-340. 

  10. Jackson, T. M., Rolnick, S. J., Asche, S. E., & Heinrich, R. L. (2009). Knowledge, attitudes, and preferenc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patients of a managed care organization. The American Journals of Managed Care, 15 (3), 177-186. 

  11. Jezewski, M., Brown, J., Wu, Y., Meeker, M., Feng, J. Y., & Bu, X. (2005). Oncology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experiences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Oncology Nursing Forum, 32 (2), 319-327. 

  12. Jezewski, M. A., & Feng, J. Y. (2007). Emergency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experiential survey on advance directives. Applied Nursing Researh, 20(3), 132-139. 

  13. Jung, S. Y., Lee, H. J., & Lee, S. H. (2014). Characteristics of end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s towards advance directives among geriatric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 (2), 130-111. 

  14. Kim, S. M., Hong, S. W., & Kim, H. S. (2010). A history of advance directiv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3 (3), 193-204. 

  15. Kim, S. Y., Hur, S. S., & Kim, B. H. (2014).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based on Q-Methodolog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 (1), 10-17. 

  16. Koh, C. K. (2010). Advance directives and the roles of advanced practice nurse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3 (2), 91-99. 

  17. Lee, J. E., Goo, A. J., & Cho, B. L. (2016). The current status of end-of-life care in Korea and legislation of well-dying act.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20 (2), 65-70. 

  18. Lee, S. J., & Kim, H. Y. (2017). Attitude, role perception and nursing stres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 (2), 131-14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Enforcement decree of the medical care decision act for the hospice relief medical and disease patients. Seoul korea,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4941&efYd20170804#0000 

  20. Montagnini, M., Smith, H., & Balistrieri, T. (2012). Assessment of self-perceived end-of-life care competencies of intensive care unit provid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5 (1), 29-36. 

  21. Olick, R. S. (2012). Defining features of advance directives in law and clinical practice. Chest, 141(1), 232-238. 

  22. Park, Y. O. (2013). Research : A study on withdraw of Life-sustaining-treatment in terminal patients from the bioethical point of view. Nursing Research., 13 (1), 105-126. 

  23. Parker, M. G., & Thorslund, M. (2007). Health trends in the elderly population: Getting better and getting worse, Gerontologist, 47 (2), 150-158. 

  24. Peicius, E., Blazeviciene, A., & Kaminskas, R. (2017). Are advance directives helpful for good end of life decision making: A cross sectional survey of health professionals. BMC Medical Ethics. 1-7. 

  25. Puntillo, K. A., & McAdams, J. L. (2006).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as a target for improving end-of-lif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moving forward. Critical Care Medicine, 34 (11), 332-340. 

  26. Sabatino, C. P. (2007). Advance directives and care planning: Legal and Policy issu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Office of Disability. Aging and Long term Care Policy. Retrieved January 31, 2013, from http://aspe.hhs.gov/daltcp/reports/2007/adacplpi.pdf. 

  27. Scherer, Y., Jezewski, M. A., Graves, B., Wu, Y. W. B., & Bu, X. (2006). Advance directives and endof-Life decision making: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Critical Care Nurse, 26 (4), 30-34. 

  28. Shin, J. H., Jeong, S. H., Lee, M. H., & Yang, Y. (2015).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27-339. 

  29. Sun, D. S., Chun, Y. J., Lee, J. H., Gil, S. H., Shim, B. Y., Lee, O. K., J., . . . Kim, H. K. (2009). Recognition of Advance Directives by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Medical Doctors in Hospice Care Ward.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2(1), 20-26. 

  30. Um, G. Y. (2015). Nurse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writing (Unpublished ma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