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의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n K-beauty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351 - 359  

진정화 (건양대학교 글로벌의료뷰티학과) ,  육현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뷰티서비스 관련 소비실태를 분석하여 K뷰티 산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06'-16' 가계 동향조사 및 GDP 자료를 바탕으로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구당 K-Beauty 관련 서비스 산업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 결과 이미용 서비스 소비지출과 위생 및 이미용용품 소비지출은 경상소득은 부(-)의 영향을 보여 엥겔지수의 변화와 유사한 소비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득분위별 이미용서비스 소비비중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는 K-Beauty 서비스산업 소비지출 증가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K-Beauty 산업의 소비는 가계수지 영향요인들의 영향하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기반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가 경제동향과 소비패턴을 고려한 근시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pose for the K-beauty industry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situation. The data used the household trend survey and GDP from 06' to 16'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expenditure on the K-beauty service industry p...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 보건복지부 등 신뢰할만한 국가 기관의 통계자료를 토대로 국내 뷰티산업의 현황 및 특징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하여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뷰티산업에 대한 비전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K뷰티 서비스산업의 현황 및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가구별 가계수지, 소득5분위, 1인당 국민총소득별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소비행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계동향조사」자료의 12대 대분류 항목을 기준으로 세분류를 감안하여 지출항목을 구분하였다.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항목은 12.
  • 이하에서는 가구원수별 K-Beauty 서비스산업 관련 지출항목의 소비지출 대비 비중 추이를 살펴본다. Table 3을 살펴보면 가구원수별 이미용 서비스 지출항목의 소비지출 대비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1인가구를 제외하고 연도가 지날수록 현격히 하락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beauty란? K-beauty란 어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한국 뷰티산업 중 특히 화장품 산업의 해외 진출과 관련해 붙여진 이름이다. The Wall Street Journal(2017)에서는 한국에서 파생된 피부미용 제품의 포괄적 의미로 설명하고 있다[9].
뷰티산업이란? 뷰티산업은 인체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화장품, 미용용품 및 기기 등의 제조, 생산, 개발과 관련된 산업으로 정의된다[10]. 국내 뷰티산업은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등의 뷰티서비스산업과 화장품, 미용용품 및 기기 등의 뷰티 제조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의료, 관광, 패션, 식품, 문화 등 뷰티산업과 연계되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는 뷰티연관 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11,12].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K뷰티 서비스산업의 현황 및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시했는데, 어떤 결과가 있나? 첫 번쨰, 가구원수별 소비지출대비 K-Beauty 관련 서비스 산업 소비지출 비중을 보면 이미용서비스 지출비중은 1인가구를 제외하고 연도가 지날수록 현격히 하락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전체평균 이미용서비스 지출항목의 소비 비중도 점차 하락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으나 1인가구의 경우는 소비지출 대비 이미용 서비스 지출항목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되는 결과를 보인다. 이미용기기 지출비중과 위생 및이미용용품 지출비중은 년도가 지나며 모든 가구원수 가계에서 소비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 가구당 K-Beauty 관련 서비스 산업 소비지출 영향요인 분석 결과 이미용 서비스 소비지출은 가구당 가구원수의 감소와 경상소득의 감소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소비지출 증가와 흑자액의 증가는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통상적으로 소득이 낮아지면 엥겔지수가 올라가는데 경상소득의 감소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엥겔지수의 변화와 이미용서비스 소비지출이 같은 맥락인 것은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이미용기기의 소비지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나타나 가구당 소비지출이 증가되면 이미용기기의 소비지출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위생 및 이미용용품 소비지출은 가구당 경상소득은 위생 및 이미용 용품의 부(-)의 영향이 나타나 경상소득의 감소는 이미용기기 소비지출 비중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의 이미용서비스와 같이 엥겔지수의 변화 양상과 유사함이 나타났다. 가구당 소비지출은 위생 및 이미용용품 소비지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이 나타나 가구당 소비지출이 증가되면 위생 및 이미용용품 소비지 출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K-Beauty 관련 서비스 산업 소비지출 차이 검정에서는 이미용서비스 지출항목의 경우는 소득1분위의 비중이 다른 소득분위에 비해서 더 큰 비중을 보였고 위생 및 이미용용품의 경우는 소득1분위가 다른 소득분위에 비해 작은 비중을 나타내어 두 지출항목간 소득분위별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1인당 국민총소득과 K-Beauty 서비스산업 지출의 영향력 검증에서는 GNI 증가는 이미용 서비스, 이미용 기기, 위생 및 이미용 용품의 소지지출 증가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 O. Jeun. (2017). A study on determinants of innovation performance in service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2. N. W. Kang. (2009).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Beauty Industry. Master's di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 Ministry of Science. (2017). Ten years lat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outh Korea. Seoul. Jisikgonggam. 

  4. M. S. Park & D. H. Lee. (2017). Present state and implications of cooperation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major countrie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jong. KIET. 

  5. R. J. Seo. (2017). The Progress of R&D Expenditures and the Relation of the R&D Expenditures to the Firms' Performance in Service Industry. Journal of finance and accounting information, 17(1), 25-46. 

  6. KOTRA Globalwindow. (2016). Changes in the beauty market through wearables. http://www.globalwindow.org 

  7. K. S. Jeong. (1999). A Study on Modern Beauty Art's Formation and Transition in Our country. Journal of cosmetic science, 5(1), 317-339. 

  8. Y. H. Lee, Y, H. Park & E. J. Cho. (2015). Beauty service industry workers Study on labor. Seoul. Woman labor law support center. 

  9. J. Y. Kim. (2017). K-Beauty Boom Sustainability checks and suggestions. Seoul. IBK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0. 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Committee. (2009). For job creation for women Measur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industry. Seoul. National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Committee. 

  1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Designated only for beauty theme (industry). Osong. KHIDI. 

  12. R. S. Kim. (2011). Policy Networks Analysis about Nurture of Beauty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Chungnam.. 

  13. KOTRA. (2015). Overseas investment statistics (industry industry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s). KOTRA. www.kotra.or.kr 

  14. S. R. Kim. B. I. Lim & J. Y. Kim. (2012). Education by income group-Welfare expenditure behavior analysis. Seoul.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15. S. J. Lee. (2015). A study on the states and the prospects of the beauty waxing industry. Master's di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16. K. M. Kim. (2017).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lobal Beauty Market.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0, 221-231. 

  17. KOSIS. http://kosis.kr/index/index.do 

  18. ECOS.. http://ecos.bok.or.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