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시계꽃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
Availability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s Inner Beauty Materia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5, 2020년, pp.1180 - 1189  

이재남 (건국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  김영삼 (건국학교 산업대학원 이미지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계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능을 확인하여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 내에서의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 HDF 세포에서의 MMP-1의 발현 억제능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시계꽃 추출물의 폴리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 mg/mL의 농도에서 각 157 mg/g, 173.5 mg/g의 우수한 함량을 확인하였고,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에 대해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억제를 통해 100 ㎍/mL에서 69.3%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HDF 세포에서 MMP-1의 발현 억제능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시계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 피부세포에 대한 낮은 독성, MMP-1의 발현 억제를 통한 항노화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다양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nd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verify its availability as an inner beauty material. To examine it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ging effects, the followings were measured: total polyphenol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통한 항산화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NO 생성억제효과, MMP-1 발현 억제능을 측정하여 시계꽃 추출물의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보다 높은 안전성과 기능성이 요구되는 천연소재의 이너뷰티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통해 항산화 활성과 DPPH radical 소거활성, RAW 264.7 대식세포와 HDF cell에 대한 세포독성, NO 생성 억제 효과, MMP-1의 발현 억제를 확인함으로서 이너뷰티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계꽃 추출물은 10 mg/mL 농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157.
  •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고자 Neutral red (NR)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19].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RAW 264.
  • 또한 인체 건강에 중요한 천연물질 중 하나로 항염증, 항노화, 항암 및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에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21-23].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Fig.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계꽃 추출물을 0.
  •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 배양액 내 NO (nitric oxide) 양을 측정하였다. RAW 264.
  • 특히, 교원질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Collagenase인 MMP-1의 활성이 높아지면 교원질이 분해되어 주름이 생성된다[37].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이 HDF 세포에서 MMP 발현 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DF 세포에 UVB 100 mJ/㎠를 조사하였다. 시료 무처리군은 Control로 설정하고 시계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Fig.
  •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이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DF cell를 96 well plate에 well당 3×10⁴ 씩 부착시켜 배양하였다.
  • 염증 반응의 주요한 작용인자인 nitric oxide (NO)는 대부분 iNOS에 의해 생성되며, 체내에서는 방어기능, 신호전달 기능, 혈관확장 등의 생리작용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에는 염증을 일으켜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한다[33, 34]. 본 연구에서는 시계꽃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을 나타내는 NO 생성 억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너뷰티란 무엇인가? 외면의 아름다움과 내면의 신체 건강 유지 및 질병 등의 예방에 도움을 주는 건강지향적 식품, 미용건강제품인 이너뷰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너뷰티는 기존의 바르는 화장품과 달리 꾸준한 섭취를 통해 건강과 피부미용 효과를 나타내는 먹는 제품으로[1, 2] 다양한 제형 및 효과를 가지며[3], 코스메틱 푸드, 먹는 화장품, 보조식품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이러한 이너뷰티는 피부의 건강과 식습관의 연관성 인식,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는 신체 내부로부터 시작된다는 인식하에 이너뷰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시장 점유율이 증대되고 있다.
피부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무엇이 있는가? 피부는 자외선, 환경오염물질과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 신체의 생리적 요인, 영양학적 요인, 생활 습관적 요인[4],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요인, 과도한 가공식품의 섭취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성된 반응성이 강한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는 여러 생체물질과 반응을 일으키며, DNA 및 RNA, 단백질 세포막 세포구조의 손상 및 염증 유발, 알레르기, 암, 피부노화 등에 영향을 준다[5, 6].
이너뷰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너뷰티는 기존의 바르는 화장품과 달리 꾸준한 섭취를 통해 건강과 피부미용 효과를 나타내는 먹는 제품으로[1, 2] 다양한 제형 및 효과를 가지며[3], 코스메틱 푸드, 먹는 화장품, 보조식품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이러한 이너뷰티는 피부의 건강과 식습관의 연관성 인식,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는 신체 내부로부터 시작된다는 인식하에 이너뷰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시장 점유율이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 Y. Kim, H. Y. Kim, K. H. Park, Y. H. Cho, "Understanding of Functional Foods for Nutritional Skin Car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30, No.3, pp. 313-320, (2004). 

  2. M. K. Kim, The Utilization of Spinach Ethanol Extract as a Beauty Foo Material, J. Korea Soc. Beauty Art, Vol.19, No.4, pp. 215-229, (2018). 

  3. M. S. Lee, J. S. Han, A. J. Kim.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ner Beauty Foods (Mook) Prepared With Mixture of Mulberry Leaf and Fruit Powder", Asian J Beauty Cosmetol, Vol.16, No.4, pp. 487-498, (2018). 

  4. N. R. Youn,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eauty Cosmetic Food in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Seoul venture university, (2016). 

  5. A. J. Bailey, S. P. Robinson, G. Balian, "B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intermolecular crosslinks of collagen", Nature, Vol.251, pp. 105-109. (1974). 

  6. H. H. Kim, K. S. Ko, "Study of Cosmetic Biological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Rosemary Extract", J. kor. Soc. B&A, Vol.14, No.4, pp. 235-248, (2013). 

  7. S. M. Jeon, S. Y. Kim, I. H. Kim, J. S. GO, H. R. Kim, J. Y. Jeong, H. Y. Lee, D. S. Park,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cessed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2, No.6, pp. 924-932, (2013). 

  8. Kinghorn G. R. Passion, stigma, and STI. Vol.77, pp. 370-375, Sexually Transm Infections, (2001). 

  9. K. Dhawan, S. Dhawan, A. Sharma, "Passiflora: A review update", J EThnopharmacol, Vol.94, No.1, pp.1-23. (2004); 

  10. L. I. QIMIN, "Mass spectral characterization of C-glycosidic flavonoids isolated from a medicinal plant (Passiflora incarnata)", J Chromatogr, Vol.562, No.2, pp. 435-446, (1991). 

  11. Dhawan K, Kumar S, Sharma A, "Comparative biological activity study on Passiflora incarnata and P. edulis", Fitoterapia, Vol.72, No.6, pp. 698-702, (2001). 

  12. Dhawan K, Sharma A ,"Antitussive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of Passiflora incarnata leaves", Fitoterapia, Vol.73, pp. 397-399, (2002). 

  13. S. M. Elsas, "Passiflora incarnata L. (Passionflower) extracts elicit GABA currents in hippocampal neurons in vitro, and show anxiogenic and anticonvulsant effects in vivo, varying with extraction method", Phytomedicine, Vol.17, No.12, pp. 940-949, (2010). 

  14. M. L. Anzoise, C. Marrassini, H. Bach, S. Gorzalczany, "Beneficial properties of Passiflora caerulea on experimental colitis", J Ethnopharmacol, Vol.194 No.24, pp. 137-145, (2016). 

  15. M. K. Kim,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Vitexin in Passiflora incarnata Extract Powder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Functional Health Foo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7). 

  16. O. Folin,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Vol.12, No.2, pp. 239-243, (1912). 

  17. M. I. Moreno, M. I. Isla, A. R. Sampietro, M. A. Vattuone,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Vol.71, No.1-2, pp. 109-114, (2000). 

  18.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pp. 1199-1200, (1958). 

  19. G. D. Repetto. A. Del, J. L. Zurita, A. Zurita, "Neutral red uptake assay for the estinmation of cell viability/cytotoxicity", Nature protocols, Vol.3, No.7, pp. 1125, (2008). 

  20. H. F. Azzawie, M. S. Alhamdami,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oleuropein in alloxan-diabetic rabbits", Life Sci, Vol.78 No.12, pp. 1371-1377, (2006). 

  21. M. Naczk, F. Shahidi, "Phenolic compounds in plant foods: chemistry and health benefits", Nutraceuticals & Food, Vol.8, No.2, pp.200-218, (2003). 

  22. M. Isemura, K. Saeki, T. Kimura, S. Hayakawa, T. Minami, M. Sazuka, "Tea catechins and related polyphenols as anti-cancer agents", Biofactors, Vol.13, pp. 81-85, (2000). 

  23. J. M. Yoon, J. J. Jun, S. C. Lim, K. H. Lee, H. T. Kim, H. S. Jeong, J. S. Lee,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Nutraceuticals & Food, Vol.39, No.5, pp. 731-736, (2010). 

  24. S. Y. Choi, S. H. Lim, J. S. Kim, T. Y. Ha, S. R. Kim, K. S. Kang, I. K. Hwang,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7, pp. 549-556, (2005). 

  25. M. G. L. Hertog, P. C. H. Hollman, B. V. D. Putte,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tea infusions, wines, and fruit juices", J Agric Food Chem Vol.41, pp. 1242-1246. (1993). 

  26. C. J. Oh, H. O. Kim, E. S. Jung, S. H. Lee, G. Y. Jeon, Y. C. Kim, "Anti-wrinkle and Skin-whitening Efficacy of Rhododendron micranthum Methanol Extract", Asian J Beauty Cosmetol, Vol.14, No.4, pp. 405-411, (2018). 

  27. R. J. Williams, J. P. Spencer, "Rice-Evans C: Flavonoids: antioxidant or signalling molecules", Free Radic Biol Med, Vol.36, No.7, pp. 838-849, (2004). 

  28. H. J. Jo, J. W. Kim, J. A. Yoon, K. I. Kim, K. H. Chung, B. C. Song, J. H. An, "Antioxidant Activitie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Flower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27. No.2, pp. 175-182, (2014). 

  29. H. S. Kang, J. S. Kang, W. S. Jeong,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on hepG2 hepatocarcinoma cells", Korean J. Food Preserv, Vol.17, No.3, pp. 311-319, (2010). 

  30. M. H. Kim, T. B. Choe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nd the Effects of Skin",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2, No.3, pp. 439-450, (2015). 

  31. H. E. Cho, Y. J. Choi, E. K. Cho,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ing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9, No.4, pp. 81-486, (2010). 

  32. S. H. You, J. S. Moon,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No.4, pp. 762-770, (2016). 

  33. S. Moncada, R. M. Palmer, E. A. Higgs,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Vol.43, pp. 109-142, (1991). 

  34. C. Nathan, Q. W. Xie, Nitric oxide synthases: roles, tolls and controls, pubmed, Vol.78, No.6, pp. 915-918, (1994). 

  35. W. Homebeck, "Downregulation of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 protease-1 (TIMP-1) in aged human skin contributes to matrix degradation and impaired cell growth and survival", Pathologie Biologie., Vol. 51, No.10, pp. 569-573, (2003). 

  36. J. N. Lee, Y. S. Kim, "The Effects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on Inhibition of Oxygen Free Radical, Anti-inflammation and MMP-1 Inhibitory Activity",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5, No.3, pp. 797-806, (2018). 

  37. A. Pardo, M. Selman, "MMP-1: the elder of the family", J Biochem Cell Biol, Vol.37, No.2, pp. 283-288,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