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인(桃仁)의 아토피 피부염 모델 피부조직 및 혈청 내 염증매개물질 조절 효과
Effect of Persicae Semen for Atopic Dermatitis Skin Tissue and Regulate to Inflammation Mediator in Serum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5 no.4, 2020년, pp.51 - 60  

김상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홍수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권보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명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상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진대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최우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손영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정혁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Persicae Semen (PS) in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mouse and HaCaT cell. Methods : Th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develop atopic dermatitis, 200 ㎕ of 1 and 0.5% DNCB solution was put on the back of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桃仁 투여가 DNCB 유도 아토피 피부염 동물 피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여 조직 내 호산구의 침윤을 관찰하였다.
  • . 본 연구 에서는 IgE와 IL-6 수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을 종료한 후채취한 마우스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혈장을 사용하여 ELISA assay를 진행하였다. 혈청 IgE와 IL-6 수치는 Normal군에 비해 Control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염증 반응 지표 물질임을 확인하였고, 2가지 수치 모두 桃仁을 투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고농도인 PS-High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 桃仁 투여가 DNCB 유도 아토피 피부염 피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 실제로 아토피 피부염의 염증 부위에서 비만세포의 활성화가 과도하게 이루어진 것이 관찰되며49) , 그 활성도와 관련된 줄기세포 인자(stem cell factor)가 염증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50) . 본 연구에서는 桃仁 투여가 DNCB 유도 아토피 피부염 피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oluidine blue 염색을 실시하여 조직 내 비만세포의 침윤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Control군에 대비하여 저농도인 PS-Low 군과 고농도인 PS-High군 모두에서 비만세포의 조직 침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桃仁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DNCB 유도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 대하여 표피와 진피의 두께, 호산구와 비만세포의 조직 침윤도, 혈청 IgE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수치를 측정하고, TNF-α와 IFN-γ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HaCaT 세포 모델에 대하여 TARC 발현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桃仁의 치료 효과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DNCB에 의해 유도된 동물 아토피 모델에 桃仁을 투여하여 표피와 진피에서의 과각화, 호산구와 비만세포의 조직 침윤 정도, 혈청 IgE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 이에 저자는 BALB/c mice 피부에 DNCB 도포로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 모델에 대하여 桃仁 투여시 표피와 진피의 두께 변화, 호산구와 비만세포의 침윤도, IgE와 IL-6의 수치 변화를 조사하고, TNF-α와 IFN-γ로 염증을 유도한 HaCaT 세포에서 桃仁 처리시 TARC 발현도를 확인하여 유의한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桃仁(도인)은 무엇인가? 桃仁은 장미과(Rosaceae) 식물인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또는 산복사나무 P. davidiana (Carr.) Franch의 성숙한 과실에서 과육, 씨앗, 껍질을 제거하고 種仁만 취하여 건조한 것(Persicae Semen)이다24) . 성분은 amygdalin을 약 1.
최근 밝혀진 桃仁의 효능은 무엇이 있는가? 」으로 기재된 生血潤膚飮 35) 과 腎臟風瘡痒痛에 사용하는 活血驅風散35) 이 대표적이고, 生血潤膚飮의 경우에는 항알러지 효과36) 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임상 효과37) 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桃仁 추출 성분이 알러지 염증을 억제하고38) , 주성분인 amygdalin은 피부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 cell)에 대한 면역조절 효과가 보고되어 39) , 이상의 내용을 고려하면 桃仁이 아토피 피부염에서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발견되는 특이 IgE 증가로 인한 과민반응의 과정은 무엇인가?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유전적으로 결함이 있는 피부 장벽을 가지므로 보통 사람과 달리 병변이 없는 피부라도 정상적이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 급성 반응은 랑게르한스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52) . 알레르겐에 노출되어 IgE와 랑게르한스세포에 있는 Fcε 수용 체가 결합하면 랑게르한스세포는 CD4+ T세포를 피부로 유도 하는 IL-16과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을 생산하고 기억 Th2 세포를 활성화하며 항원을 T세포에 제시하여 민감화 시키고 림프절로 이동하여 naive T 세포 (Th0 세포)가 Th2 세포로 분화되도록 촉진한다. 병터로 이동한 단핵구는 Inflammatory dendritic epidermal cells (IDEC)로 분화하고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 IL-6, TNF-α를 분비한다. 민감화된 Th2 세포는 IL-4, 5, 13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며, 이들은 면역 글로블린 동종형을 IgE로 전환시켜 Th2 세포의 생존을 촉진하고, 전환된 IgE는 알레르겐 반응을 증폭시켜 양성 되먹임(positive feedback) 고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Th2 면역반응과 면역반응의 증폭은 아토피 피부염의 초기 병변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7)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Leung DYM, Boguniewicz M, Howell MD, Nomura I, Hamid OA.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04;113(5):651-57. 

  2. Otsuka A, Nomura T, Rerknimitr P, Seidel JA, Honda T, Kabashima K. The interplay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Immunological Reviews. 2017;278(1):246-62. 

  3. Yoon NY, Wang HY, Jun M, Jung M, Kim DH, Lee NR, et al. Simultaneous detection of barrier- and immune-related gene variations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by reverse blot hybridization assay.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2018;43(4):430-36. 

  4. Weidinger S, Beck LA, Bieber T, Kabashima K, Irvine AD. Atopic dermatitis.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2018;4. 

  5. Bieber T. Atopic Dermatitis. Annals of Dermatology. 2010;22(2):125-37. 

  6. KJ D. Textbook of Dermatology. Korean Medical Books. 2014:202-13. 

  7. Kim JY, Yang Y. Effects of Atopic Dermatitis on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in Young Adul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4):504-12. 

  8. Kim KH, Park AY, Kim JS. Factor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ul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8.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2;15(2):83-90. 

  9. Yun Y-H, Choi I-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2012;25(2):38-48. 

  10. Kim K, Kim N, Kim Y, Kim J, Park M, Park S.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Busan: Seonu. 2007:129-33. 

  11. S N. eBook of DERMATOLOGY. IBC planning company. 2006:489-538. 

  12. Lee M.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n Korean Medicine using evidence based medicine. Daejeo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3:3-17. 

  13. Kim YH, Lee HC. 아토성 피부염에 관 (關) 한 동. 서의학적 (東. 西醫學的) 고찰 (考察).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1993;7(1):121-33. 

  14. Sohn K, Lee J, Jee S. A philological study on demonstration of atopic dermatitis. J East-West Med. 2009;34(4):15-24. 

  15. Gu D-M. A clinical study based on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o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2;14(2):69-77. 

  16. Son B-K, Choi I-H. 6 Cases of Acute Lesion of Atopic Dermatitis Diagnosed as damp-heat type.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2007;20(2):213-29. 

  17. Son SH, Ahn SH, Park S-Y, Kim K. Hwangnyeonhaedok-tang Extracts Ameliorates Atopic Dermatitis via Epidermal Lipid Barrier Regeneration in NC/Nga Mouse.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18;32(3):90-99. 

  18. Kim J-E, Lee H-C, Kang E-J, Choi J-W, Kim J-H, Park S-Y, et al. Effects of Daecheonglyongtang on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DNCB in Mice.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9;32(3):58-76. 

  19. Kim SH, Jung HS, Lee JY, Kim DG, Cho BG.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the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04;18(1):63-75. 

  20. Lee JY, Kim DG, Han KC. Effects of Arctii Fructus on the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04;18(2):107-17. 

  21. Kim K, Lee J, Kim D. Effects of Mori folium on the atopic dermatitis. J Kyung Hee Univ Med Cent. 2004;20(1):37-45. 

  22. Park JM, Chae JW. Effects of Aurantii Immaturus Fructus (AI) on atopic dermatitis (AD) induced by DNCB in mice.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15;29(1):27-43. 

  23. Lim KM, Ko HJ, Choi JH, Park SY, Kim JH, Jung M. Effects of Adenophorae Radix (AR) on Atopic Dermatitis (AD) Induced by DNCB in Mice.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2017;30(3):31-45. 

  24. Committee NMUJTC. herbal medicine. Yeonglimsa. 2004:462-63. 

  25. JH H. Oriental medicine Pharmacology. EuiSeongDang. 2004:377-79. 

  26. HC K. Oriental medicine Pharmacology. Jibmoondang. 2017:336-37. 

  27. Wang N, Liu Q, Peng D, Wang L, Wang S. Experimental study on anti-thrombus effect of different extracts from Semen Persicae. Zhong yao cai Zhongyaocai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2;25(6):414-15. 

  28. Fukuda T, Ito H, Mukainaka T, Tokuda H, Nishino H, Yoshida T. Anti-tumor promoting effect of glycosides from Prunus persica seeds.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003;26(2):271-73. 

  29. Song M-Y, Kim H-J, Lee M-J. Neuroprotective Effect of Semen Persicae in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Rats. J Korean Oriental Med. 2009;30(2):117-26. 

  30. Hwang HJ, Lee HJ, Kim CJ, Shim I, Hahm DH. Inhibitory effect of amygdalin on lipopolysaccharideinducible TNF-alpha and IL-1beta mRNA expression and carrageenan-induced rat arthritis. J Microbiol Biotechnol. 2008;18(10):1641-47. 

  31. Yang Y, Zhao J, Song X, Li L, Li F, Shang J, et al. Amygdalin reduces lipopolysaccharide-induced chronic liver injury in rats by down-regulating PI3K/AKT, JAK2/STAT3 and NF- ${\kappa}B$ signalling pathways. Artificial cells, nanomedicine, and biotechnology. 2019;47(1):2688-97. 

  32. Lee HM, Moon A. Amygdalin regulates apoptosis and adhesion in Hs578T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Biomolecules & therapeutics. 2016;24(1):62. 

  33. GS K. Rare medical book integration. Han Seong Sa. 1976:111-12. 

  34. SZ L. Bencao Gangmu. In Min Wi Saeng publishing Co. 2002:1742-44. 

  35. Jun H. Donguibogam. BUBIN PUBLISHERS CO. 2011:847-76. 

  36. Kim H, Park J. Inhibitory effect of saingheylyunbooem on compound 48/80 stimulated allergic reaction.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0;24(1):48-54. 

  37. Yu HY, Kim KB, Min SY, Kim JH.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Saenghyeoryunbueum on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08;22(1):35-48. 

  38. Kim GJ, Choi HG, Kim JH, Kim SH, Kim JA, Lee SH. Anti-allergic inflammatory effects of cyanogenic and phenolic glycosides from the seed of Prunus persica. Natural product communications. 2013;8(12):1934578X1300801221. 

  39. Baroni A, Paoletti I, Greco R, Satriano R, Ruocco E, Tufano M, et al.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 set of amygdalin analogues on human keratinocyte cells. Experimental dermatology. 2005;14(11):854-59. 

  40. Vestergaard C, Yoneyama H, Murai M, Nakamura K, Tamaki K, Terashima Y, et al. Overproduction of Th2-specific chemokines in NC/Nga mice exhibiting atopic dermatitis-like lesion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999;104(8):1097-105. 

  41. Yun J-W, Kim H, Kang H-J, Koh J-Y, Kim B-H. Comparative evaluation of animal models for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Laboratory Animal Research. 2008;24(1):59-66. 

  42. Lee KS, Jeong ES, Heo SH, Seo JH, Jeong DG, Choi YK. A novel model for human atopic dermatitis: application of repeated DNCB patch in BALB/c mice, in comparison with NC/Nga mice. Laboratory Animal Research. 2010;26(1):95-102. 

  43. Ahn S, Park B, Won J, Cheon S. An Atlas of Atopic Eczema.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07:107-15. 

  44. GH K. Color atlas of dermatopathology. The Korean Society For Investigative Dermatology. 2017:83-90. 

  45. Neutelings T, Nusgens BV, Liu Y, Tavella S, Ruggiu A, Cancedda R, et al. Skin physiology in microgravity: a 3-month stay aboard ISS induces dermal atrophy and affects cutaneous muscle and hair follicles cycling in mice. npj Microgravity. 2015;1:15002. 

  46. Simon D, Braathen LR, Simon HU. Eosinophils and atopic dermatitis. Allergy. 2004;59(6):561-70. 

  47. Kim JW LG. Atopic dermatitis. Gun Ja publishing Co. 2017:9-10, 12-13, 23-28, 37-40, 45-46, 71, 95-105. 

  48. Bischoff SC. Role of mast cells in allergic and non-allergic immune responses: comparison of human and murine data. Nature Reviews Immunology. 2007;7(2):93-104. 

  49. Irani AMA, Sampson HA, Schwartz LB. Mast cells in atopic dermatitis. Allergy. 1989;44:31-34. 

  50. Kanbe T, Soma Y, Kawa Y, Kashima M, Mizoguchi M. Serum levels of soluble stem cell factor and soluble KIT are elevated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correlate with the disease severity.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01;144(6):1148-53. 

  51. Leung DY BT. Atopic dermatitis. 2003;361:151-60. 

  52. Alan DI PH, Albert CY. Harper's Textbook of Pediatric Dermatology. Wiley-Blackwell. 2011;161:1-6. 

  53. Diehl S, Rincon M. The two faces of IL-6 on Th1/Th2 differentiation. Molecular immunology. 2002;39(9):531-36. 

  54. Hong SJ, Lee WJ, Jo EH, Ahn SH. The Effect of Lactobacillus Mixture Culture Fluid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Chemokine Expression of in HaCaT Cells.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7;34(2):82-87. 

  55. Campbell J, Haraldsen G, Pan J, Rottman J, Qin S, Ponath P, et al. The chemokine receptor CCR4 in vascular recognition by cutaneous but not intestinal memory T cells. Nature. 1999;400(6746):776. 

  56. Hijnen D, de Bruin-Weller M, Oosting B, Lebre C, de Jong E, Bruijnzeel-Koomen C, et al. Serum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and cutaneous T cell-attracting chemokine (CTACK) levels in allergic diseases: TARC and CTACK are disease-specific markers for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4;113(2):334-40. 

  57. Vestergaard C, Bang K, Gesser B, Yoneyama H, Matsushima K, Larsen CG. A Th2 chemokine, TARC, produced by keratinocytes may recruit CLA+ CCR4+ lymphocytes into lesional atopic dermatitis skin.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0;115(4):640-46. 

  58. Shimada Y, Takehara K, Sato S. Both Th2 and Th1 chemokines (TARC/CCL17, MDC/CCL22, and Mig/CXCL9) are elevated in sera from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4;34(3):201-08. 

  59. Song TW, Kwon BC, Choi SY, Shin YH, Lee KE, Yang HS, et al. Increased serum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levels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05;15(3):250-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