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Promot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90 - 99  

서영숙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정추영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6월 22일에서 9월 4일까지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P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37명이며, 실험군 18명, 대조군 19명이다.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은 총 6주간 주 2회, 총 12회기로 회당 100분~120분으로 운영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𝑥2 test, repeated measure ANOVA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시기와 집단 간 교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낙관성(F=16.74, p<.001), 심리적 안녕감(F=14.69, p<.001)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문제해결 중심 대처 F=4.35, p=.015,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F=3.87, p=.028)에서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문제해결중심, 사회적지지 추구)의 향상에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한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promoting program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evaluated.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22 and September 4, 2019. The participants were 37 nursing students, who wer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 정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 후 대상자들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 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한편, 선행연구는 일반 대학생[15], 문제행동청소년[16], 주요 우울장애 환자 등[17]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성장 중심 모델을 기초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낙관성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과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과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스트레스대처 전략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M. Kwon,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2008, pp.622-630. 

  2. B. Y. Kim, "Predictors of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adolescent using decision making tree analysi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5, No.35 pp.375-385, 2015. 

  3. O. S. Lee, M. O. Gu,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 No.6, pp.682-696, 2014.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4.44.6.682 

  4. M. E. P. Seligman, Flourish: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ew York: Free Press, 2011. 

  5. Z. Naseem, R. Khalid, "Positive thinking in coping with stress and health outcomes: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Research and Reflections in Education, Vol.4, No.1, pp.42-61, 2010. 

  6. H. J. Hong, S. J. Kim,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depression, hope and optimism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2, pp.1045-1059, 2014. 

  7. M. G. Adler, N. S. Fagley,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Vol.73, No.1, pp.79-114, 2005. 

  8. M. E. P. Seligman, T. Rashid, A. C. Parks,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Vol.61, No.8, pp.744-788, 2006. 

  9. Y. C. Ro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orean Optimism Scale Department of Education, Ph.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pp.43-44, 2011. 

  10. M. S. Kang,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sitive psychology based mental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2 pp.95-106,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2.95 

  11. J. K, Tak, G, Lim, J. H. Jung, "The effect of group coach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to enhance happines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33, No.1, pp.139-166, 2014. 

  12. E. Anne, "Working collaboratively to build resilience: ACHAT approach", Social Policy and Society, Vol.6, No.2, pp.255-264, 2007. 

  13. M. G. Yang, "The effect of a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Vol.1, No.1, pp.17-26, 2017. 

  14. H. J. Lee, J. N. Kim,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automatic thought, affect and stress coping style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1, No.5, pp.85-104, 2014. 

  15. M. S. Hyun, M. K. Yun, S. M. Jung, J. A. Son, E. Y. Park, "Effect of th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adolescent with problem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3, No.1, pp.5-14, 2017.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1.5 

  16. J. S. Heo, S. Y. Chun,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on self resili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Vol.20, No.1, pp.187-213, 2013. DOI: http://dx.doi.org/10.35594/kata.2013.20.1.009 

  17. Y. S. Ko, M. Y. Hyun, "Effect of a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hop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4, No.4, pp.246-256, 2015. DOI: http://dx.doi.org/10.12934/jkpmhn.2015.24.4.246 

  18. K. S. Kim, Y. S. Ha, K. J. Kim, E. H. Kim,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y promoting program on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Vol.25, No.1, pp.39-53, 2014. DOI: http://dx.doi.org/10.20972/kjee.25.1.201403.39 

  19. S. J. Kim, B. Y. Kim,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nursing students positive thinking, ego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 No.4, pp.495-503, 2016.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6.22.4.495 

  20. I. Ishimura, The psychological research of promoting factors of flow experience and positive functions, p.325, Tokyo: Kazmashobo Publishers, 2014, pp.18-21. 

  21. L. J. Kim, I. H. Chang, "The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Vol.19, No.3, pp. 265-279, 2016. DOI: http://dx.doi.org/10.17641/KAPT.19.3.5 

  22. J. H. Amirkhan,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No.5, pp.1066-1074, 1990.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9.5.1066 

  23. H. J. Shin., A validation study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34, 2002. 

  24. J. H. Noh, M. G. Lee, "Why should I be thankful?: The effect of gratitude on well-being in individuals under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1, pp.159-183, 2011. 

  25. K. U. Kim, Y. K. Yoon, S. M. Kwon, S. S. Ha, "Character strength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erceived happiness and life adjustment of cadets under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2, No.1, pp.233-248, 2010. 

  26. S. Lyubomirsky, K. M. Sheldon, D. Schkade,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9, pp.111-131, 2005. 

  27. J. Por, L, Barriball, J. Fitzpatrick, J. Roberts,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31, No.8, pp.855-86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