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기업 유휴공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투자사업에 대한 실물옵션기반 의사결정방안
Evaluation of Investment Value of Renewable Energy and Decision Making for Market Entry Using the Idle Space of Public Enterpri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168 - 175  

나승범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장우식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경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병일 (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경수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창근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는 온실가스감축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초기 대규모 자금투자, 장기간에 따른 높은 불확실성, 입지의 적정성 등의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합리적 투자의사결정에 어려움이 있어 개발 및 보급의 확대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신재생에너지투자 및 점진적 보급 확대를 도모하는 방안으로써 공기업 관리시설물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사업의 투자가치를 분석하고 효율적 국토개발과 정부 시책을 지원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1000kw용량의 초기투자의 경우 순 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이하 NPV)가 약 2억8천6백만원으로 산출되었으나, 최대 3000kw용량까지의 확장투자를 고려하였을 경우 -1억3천만원의 가치가 산출되어 사업추진 의사결정의 종합적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 이하 SMP)불확실성과 확장, 포기옵션을 고려한 실물옵션 가치는 약 4억4천4백만원으로 산출되어 기존 NPV 분석과는 다른 의사결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정부시책 지원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점진적 보급 확대를 위한 의사결정방안을 제공하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특성을 고려한 적정 부지를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to expand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as a solution to greenhouse gas emissions. Therefore, as a measure to promote domestic renewable energy investment and gradual expans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vestment value of renewable energy projects utiliz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적정부지 및 입지선정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유휴 국·공유지를 활용하는 대부분의 사업들이 초기 단계에 머무르며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물옵션을 적용하여 공기업 관리시설물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건설사업의 투자가치를 평가하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특성에 적합한 투자의사 결정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효율적 국토개발과 정부 시책을 지원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업 특성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업의 적정 부지를 제안하고 점진적 보급 확대를 도모함으로써 효율적 국토개발 및 향후 안정적 에너지 수급을 가능하게 하는 신재생에너지 투자사업 의사결정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대한 지 원과 국토이용 효율화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공기업의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하여 공기업 관리시설물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사례로 정한 전남 J댐 프로젝트는 초기 1000kw용량의 시설 초기투자에 이어 최대 3000kw용량까지의 확장투자를 가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적, 환경적, 문화적 사업 특성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사업수행 적정 부지를 제안함으로써, 효율적 국토개발과 정부 시책을 지원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방안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동성(σ)은 SMP 변동성 하나만을 가지고 추정하였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미래 상황에 대한 리스크를 모두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에너지 개발사업 투자가치 평가를 위한 방안으로 실물옵션 평가방식 중 이항 격자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그 이유는 옵션이 갖는 만기 기간과 옵션의 행사 시점이 일반 금융옵션보다 길며, 중도 포기를 할 수 없는 유럽형 옵션(European option)보다는 중도 포기가 가능한 미국형 옵션(American option)에 더 근접하기 때문에 Black-Scholes모형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물옵션을 적용하여 공기업 관리시설물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건설사업의 투자가치를 평가하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특성에 적합한 투자의사 결정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효율적 국토개발과 정부 시책을 지원하는 전략적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 나대지를 확보하기 어려운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특성을 극복하고, 주변 민가와의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며, 균일한 일조량을 보장할 수 있는 공기업 관리 수리시설(댐) 70개소의 사면 및 유휴공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및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다목적댐, 양수발전 댐, 상공용수 댐, 방조제 등을 포함한 70개소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20년 이상의 시공 경험을 확보한 태양광 시공 전문기업의 자문을 통해 환경적(일조량 및 일사량) 요소를 충족하는 42개소를 선별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연구에서 제시한 댐 유휴 사면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부지는 토지 이용비(경제적 조건)의 지출을 줄이면서 프로젝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출금리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활용하여 3.5 %를 적용하였으며, 현가 할인율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적용하는 7.5 %를 가정하였고, 물가 상승률은 2011~2019년 평균 물가상승률인 2.05 %를 반영하였다. 해외의 경우,운전유지 비용은 시스템의 입지 및 종류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0.
  • 본 연구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대한 지 원과 국토이용 효율화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공기업의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하여 공기업 관리시설물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분석사례로 정한 전남 J댐 프로젝트는 초기 1000kw용량의 시설 초기투자에 이어 최대 3000kw용량까지의 확장투자를 가정하였다. NPV 분석 결과 초기투자 가치는 약 2억8천6백만원으로 산출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지만, 확장투자의 경우 –1억3천만원의 가치가 산정되어 프로젝트 종합의사결정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옵션만기 기간은 초기 투자 이후 만기 5년 이내에 확장함을 가정하였으며, 기초자산의 현재가치는 DCF를 통해 산정된 잉여현금흐름의 현재가치(S) 약 2억8천6백만 원으로 산정하였다[10]. 무위험이자율은 2018년 기준 3 년 만기 국공채 이자율 5 %를 적용하였으며, Table 2의 변수들을 적용하여 옵션 가치평가를 위한 기본이항 격자 모형 Table 3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태양광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태양광 시공 전문기업과 투자조건 및 설치비용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여 각 수치들을 결정하였으며, 사업비의 구분으로는 기자재비(태양광발전 설비, 구축 및 구조물), 시공비(토목공사, 부대 전기설비), 간접비, 토지비용, 인허가 비용을 포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20년 12월에 전라남도에 위치한 J댐의 유휴 사면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초기 1000kw용량의 시설개발을 시작으로 최대3000kw용량의 점진적 투자를 가정하고 사업비를 추정하였다. 초기 사업비는 자기자본(20 %) 약 3억원과 은행/펀드(80 %)를 통한 대출금 약 12억원, 총 15억원의 사업비로 재구성하였으며, 총 사업비 중 토지 이용비는 2020년 국토교통부 표준지공시지가를 활용하여 약 1억2천만원을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기위해 어떤 계획을 수립하였는가? 우리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로드맵 수정안’, ‘재생에너지 2030 이행 계획’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 %로 확대하고자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신재생에너지발전소 설치를 위한 적정부지가 가지는 특징은? 하지만, 최근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발전단가와 화석에너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가 이뤄지고 있어 정부는 점진적으로 보조금을 줄이고 있다[2]. 셋째, 대형 신재생에너지발전소 설치를 위한 적정부지는 기상학적, 지리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경제적(토지 이용비), 문화적, 환경적 요인들까지 고려함으로써 자연 훼손,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부지를 선정해야 한다는 어려움도 제시되었다[1,3].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투자를 결정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계획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투자를 결정하는 것에 아래와 같은 어려움이 있다. 첫째, 기후변화로 인해 에너지 발전량 예측 불확실(Uncertainty)이 커지면서 안정적 사업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1]. 둘째,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도입초기에 민간투자를 장려하고자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 Tariffs, 이하 FIT),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s, 이하 RPS) 등의 정책을 통해 많은 지원과 인센티브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최근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발전단가와 화석에너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가 이뤄지고 있어 정부는 점진적으로 보조금을 줄이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Y.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ol.13, no.2, pp.146-156, June 2010. DOI: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2.146 

  2. K. Kim, "Review of Real Options Analysis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ol.18, no.2, pp.91-18, Mar. 2017. DOI: https://doi.org/10.6106/KJCEM.2017.18.2.091 

  3. K. R. Kim, "Solar Power Plant Location Analysis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8, no.4, pp.1-13, Dec. 2015. DOI: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4.001 

  4. S. J. Kim, S. Y. Park, J. E. Park, W. G. Lee, "Enhancing Public Sector Cooperation for Regeneration of Vacant or Underutilized Urban Public Property", Research Report, KRIHS, Korea, pp.3-13. 

  5. M. M. Zhang, P. Zhou, D. Q. Zhou, "A real options model for renewable energy investment with application to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n China." Energy Economics, vol.59, pp.213-226, Sep. 2016. DOI: https://doi.org/10.1016/j.eneco.2016.07.028 

  6. J. Lee, J. Shin, C. Jeon, "Optimal subsidy estimation method using system dynamics and the real option model: Photovoltaic technology case." Applied Energy, vol.142, pp.33-43, March 2015. DOI: https://doi.org/10.1016/j.apenergy.2014.12.067 

  7. B. K, K. K, C. K, "Determining the optimal installation timing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vol.140, no.3, pp.1322-1329, Jan. 2017. DOI: https://doi.org/10.1016/j.jclepro.2016.10.020 

  8. E. M. Kim, M. S. Kim,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of Solar Power Generation Under the RPS System Using the Real Option Pricing Method: Comparison Between Regulated and Non-regulated Power Provid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26, no.9, pp.690-700, Sep. 2013. DOI: https://doi.org/10.4313/JKEM.2013.26.9.690 

  9. H. Y. Park, H. Jo,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under Uncertainty:Focused on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usiness in Australia", Journal Finance and Accounting Accountiong Information, vol.19, no.2, pp.23-39, June 2019. DOI: https://doi.org/10.29189/KAIAJFAI.19.2.2 

  10. P. Kodulula, C. Papudesu, Project Valuation Using Real Options: A Practitioner's Guide, p.161, Fort Lauderdale, FL, J. Ross Publishing Co. 2006, pp. 45-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