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 추정 및 예측요인 탐색
Estimating the Longitudinal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Piecewise Growth Model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370 - 379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 초4)부터 6차년도(2016년, 중3)까지의 6년 동안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6학년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초등학교 시기(초4-초6), 중학교 시기(초6-중3)로 변화율을 다르게 추정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무변화, 선형변화, 이차변화 성장모형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는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 모두 감소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학교 시기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건 분할함수 성장모형 분석 결과, 학업성취 초기치(초4)는 부모효능감, 자아존중감, 친구의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방임적 양육태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 1(초등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과 친구의 지지가 학업성취의 감소 패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화율 2(중학교 시기)에는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 감소 패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adolescents who transition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 and examine the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f the changes using piecewise growth modeling. For this study, the Multicultural Adolesc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분할함수 성장모형(piecewise growth modeling)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 성취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업성취 변화를 예측하는 변인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학업성취결과가 아닌 자기보고식 문항을 사용했는데,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제 학업성취결과를 활용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의 학교급 전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학업성취 변화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을 탐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학업스트레스 수준에도 차이가 있다 [4-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초등학교 시기와 중학교 시기에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변화 양상에 부모, 개인, 친구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임적 양육태도를 보이는 부모의 자녀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또한 자녀에게 적절한 양육 지원을 하지 않고, 무관심의 특징을 보이는 방임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학교적응 및 정서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4-16]. 부모의 방임을 경험하는 자녀들은 유해환경 접촉 비율 및 휴대폰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8].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또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사회적 위축, 우울 및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9-20]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친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이며[36 재인용], 친구 지지의 지각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적절한 대처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37]. 특히 친구의 지지는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 며[38],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9-40]
방임적 양육태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또한 자녀에게 적절한 양육 지원을 하지 않고, 무관심의 특징을 보이는 방임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학교적응 및 정서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4-16]. 부모의 방임을 경험하는 자녀들은 유해환경 접촉 비율 및 휴대폰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D. J. Madigan, "A meta-analysis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31, pp.967-989, 2019. DOI: https://doi.org/10.1007/s10648-019-09484-2 

  2. H, R. An, S. H. Yi, "Academic achievement: Comparison of childre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0, No.1, pp.1-10, 2009. 

  3. Y. D. Jo, E. J. Kang, H. K. Ko,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n migrant families by school classes in 2011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School Mathematics, Vol.15, No.1, pp.179-199, 2013. 

  4. M. Y. Song, S. S. Kim, H. S. Yi, "Investigation on contextual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24, No.2, pp.261-289, 2011. 

  5. J. H. OH, H. Y. Seon, "The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4, No.3, pp.1981-1994, 2013. DOI: https://doi.org/10.15703/kjc.14.3.201306.1981 

  6. T. L. Jones, R. J. Prinz, "Potential roles of parental self-efficacy in parentand child adjustment: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5, pp.341-363, 2005. DOI: http://dx.doi.org/10.1016/j.cpr.2004.12.004 

  7. D. C. Sims, A. J. Skarbek, "Parental self-efficacy: A concept analysis related to teen parenting and implications for school nurses", The Journal of School Nursing, Vol.35, No,1, pp.8-14, 2019. DOI: https://doi.org/10.1177/1059840518755871 

  8. N. A. L. Amin, W. W. S. Tam, S. Shorey, "Enhancing first-time parents' self-efficac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universal parent education interventions' 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82, pp.149-162, 2018. DOI: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8.03.021 

  9. N. E. Hill, K. R. Bush,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environment andchildren's mental health among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mother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3, pp.954-966, 2001. DOI: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954.x 

  10. Y. H. Lee, K. M. Kim, "The effects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s of learning",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18, No.4, pp.549-565, 2013. DOI: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4 

  11. S. J. Lim, S. K. Jeon, "The influence of middle.high school parent's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on child"s life competency",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ciation, Vol.28, No.4, pp.123-137, 2016. DOI: https://doi.org/10.19031/jkheea.2016.12.28.4.123 

  12. O. S. Cho, H. S. Bang, "The effects of daily life stress on the learning care style of multicultural par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 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4, pp.173-180, 2018.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4.173 

  13. M. S. Kim, "A study on the change of parental self-efficacy and school education participation of foreign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latent growth model: Focus on parents of elementary 4th graders to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Korean Journal of Parents and Guardians, Vol.7, No.1, pp.49-75, 2020. 

  14. H. J. An, "The longitudinal analysis about abuse and neglect from parents, adolescents'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12, pp.475-493, 2016.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6.16.12.475 

  15. M. K. Chae, H. S. Kim, "The effects of abuse and neglect from parents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ego-ident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5, No.10, pp.53-71, 2018.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8.10.25.10.53 

  16. S. H. Lee, J. Y. Yo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of the reciprocal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neglecting parental attitudes and children's emotional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7, pp.461-480, 2016. 

  17. Y. J. Cho,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al neglect on adolescent's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0, No.5, pp.115-124, 2012.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2.50.5.115 

  18. Y. S. Park, A. N. Lim, "Influence of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mediated by social withdraw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Vol.57, pp.57-84, 2018. 

  19. N. M. Hong, H. J. Park,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the inflence of parents' neglec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Vol.8, No.2, pp.125-151, 2017. 

  20. S. J. Jeon, H. M. Yoon, "Effects of neglect,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24, pp.153-179, 2013. 

  21. J. A. Garcia, F. C. Y Olmos, M. L. Matheu, T. P. Carreno, "Self esteem levels vs global scores on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Heliyon, Vol.5, No.3, e01378, 2019. DOI: https://doi.org/10.1016/j.heliyon.2019.e01378 

  22. L. Fang, "Educational aspirations of Chinese migrant children: The role of self-esteem contextual and individual influenc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pp.195-202, 2016. DOI: https://doi.org/10.1016/j.lindif.2016.08.009 

  23. N. K. Kim, G. B. Ha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role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6, No.2, pp.255-280, 2019.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9.02.26.2.255 

  24. J. S. Lee, Y. G. Lee, "The effect of parents' academic background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on of poverty, delinquency,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6, No.1, pp.65-88, 2011. 

  25. Y. O. Nam,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18, No.4, pp.251-274, 2016. DOI: https://doi.org/10.19034/KAYW.2016.18.4.11 

  26. K. S. Le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on social adjustment",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Vol.44, No.1, pp.91-107, 2012. DOI: https://doi.org/10.35557/trce.44.1.201203.004 

  27. J. M. Jeo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Vol.13, No.3, pp.97-115, 2015. 

  28. H. N. Kim, E. Y. Son, "Relationship among the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18, pp.361-381, 2019.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18.361 

  29. D. H. Lee, "The mediated effects of self 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multi cultural youth",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 pp.544-552,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544 

  30. H. L. Chang, R. H. Lee,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47, pp.189-218, 2019. DOI: http://dx.doi.org/10.20993/jSSW.47.7 

  31. M. H. Park,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10, No.4, pp.27-54, 2017. DOI: http://dx.doi.org/10.14328/MES.2017.12.31.27 

  32. D. J. Park, "An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9, pp.175-184, 2019. DOI: http://dx.doi.org/10.22156/CS4SMB.2019.9.9.175 

  33. H. Jiang, E. K. Ba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No.62, pp.131-164, 2018. DOI: http://dx.doi.org/10.24300/jkscw.2018.06.62.131 

  34. J. H. Kim,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Vol.17, No.3, pp.115-124, 2019. 

  35. D. J. Park,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Activity, Vol.5. No.2. pp.57-74, 2019. DOI: http://dx.doi.org/10.36697/skya.2019.5.2.57 

  36. K. Yearwood, N. Vliegen, C. Chau, J. Corveleyn, P. Luyten, "When do peers matter? The moderating role of pee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dversity, complex trauma,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in soci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Vol.72, pp.14-22, 2019. DOI: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9.02.001 

  37. U. Pace, C. Zappulla, R. Di Maggio,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peer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of attachment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A longitudinal perspective",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Vol.18, pp.508-524, 2016. DOI: https://doi.org/10.1080/14616734.2016.1198919 

  38. M. Y. Kwon, B. Y. Won,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Jeju province", Forum For Youth Culture, Vol.54, pp.5-37, 2018. DOI: http://dx.doi.org/10.17854/ffyc.2018.04.54.5 

  39. B. S. Ju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 teacher, and peer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by Korean young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Vol.23, No.2, 131-159, 2012. 

  40. H. M. Bae, C. W. Ba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freshman: The role of academic self efficacy as a mediator",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Vol.25, No.1, pp.79-93, 2018, 

  41. https://www.nypi.re.kr/archive 

  42. S. K. Son, H. J. Lee, S. H. Hong, "The effects of 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friendships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 longitudinal study using a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Studies on Korean Youth, Vol.28, No.3, pp.57-88, 2017. DOI: http://dx.doi.org/10.14816/sky.2017.28.3.57 

  43. H. Y. Seon, H. C. Choi,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6, No.7, pp.657-672, 2016. 

  44. E. K. Paek, E. T. Lee, E. K. Lea, "The effect of parent career guida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stres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Forum For Youth Culture, Vol.53, pp.5-31, 2018.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8.01.53.5 

  45. M. S. Kim, "A stud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hanges in academic adaptation and determinan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Journal of Cultural Exchange, Vol.8, No.4, pp.251-271,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