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한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Analyzing the Efficiency of Defense Basic Research Projects using D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517 - 524  

임용환 (국방기술품질원 기술기획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4차 산업혁명의 거대 물결에 맞춰 국방 연구개발의 환경은 첨단 군사기술 중심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은 첨단 국방과학기술의 보호를 위해 기술수출 및 기술이전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래 전장환경에 맞는 첨단무기 및 핵심기술의 독자개발 능력 확보를 위한 예산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효율성 제고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 접근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활용하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투입변수로 연구비, 연구인력, 연구기간을 선정하였고, 산출 변수로는 논문, 특허 건수를 사용하였다. CCR(Charnes, Cooper and Rhodes), BCC(Banker, Charnes and Cooper) 모형 및 규모 효율성(Scale Efficiency, SE)을 통해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효율성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비효율적인 연구개발 사업은 비효율성의 원인을 제시하고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해 과제 성과관리에 활용하고 환류를 통해 과제기획 단계에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ine with the recent wa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nvironment for defense R&D is transforming into a center of high-tech military technology. In particular, developed countries are strengthening control of technology exports and technology transfer to protect advanced defense scienc...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EA 모형에서 비효율적인 DMU는 준거집단 또는 참조집합과의 비교를 통해 비효율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으로 되기 위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해 준다. 즉 DMU별로 투입 감소분과 산출 증가분에 관련된 구체적인 비효율의 정도를 얻을 수 있다.
  • 국방 연구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핵심기술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17-18]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으나, 기 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 유형별 효율성 분석 및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과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해 과제 성과관리에 활용하고 환류를 통해 과제기획 단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non-parametric) 접근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활용하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초연구개발 유형별 효율성 및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과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non-parametric) 접근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을 활용하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초연구개발 유형별 효율성 및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과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해 과제 성과관리에 활용하고 환류를 통해 과제기획 단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또한 한정된 국방 예산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국방 기초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전략 및 투자방향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어 앞 절에서 살펴본 국방 분야 효율성 분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 목적에 부합하는 변수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DEA 모형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 및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 유형별 효율성 분석 및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과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해 과제 성과관리에 활용하고 환류를 통해 과제기획 단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또한 한정된 국방 예산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국방 기초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전략 및 투자방향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DEA를 활용하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 기초연구개발 유형별 효율성 및 비효율성의 원인 분석과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규모수익불변(Constant Return to Scale)을 가정한 CCR 모형은 모든 DMU가 최적의 규모에서 운영될 때 적합하지만 규모 효율성(Scale Efficiency, 이하 SE)과 순수기술효율성(Pure Technical Efficiency, 이하 PTE)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런 CCR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규모수익가변(Variable Return to Scale)을 가정하고 블록성 조건(convexity condition)을 추가한 BCC 모형이 제시되었다[8]. 규모 수익가변은 투입요소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규모 확대 시 산출요소 양의 변화를 살펴보는 개념으로 규모수익체감(Decreasing Return to Scale, 이하 DRS), 규모수익체증(Increasing Return to Scale, 이하 IRS) 으로 구분할 수 있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DEA 활용 기초연구개발과제 60개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기초연구개발과제 60개 DMU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CCR 모형에서는 4개 DMU가 효율적으로 나타났으며, BCC 모형에서는 11개 DMU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수의 DMU들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분포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 효율적인 DMU 비율이 좋지않았던 프로그램은 무엇이고 원인 및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BCC 모형에서는 프로그램 PBR이 효율적인 DMU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CR, BCC 모형에서 프로그램 GBR은 기초연구개발과제 4개 프로그램 중 가장 비효율적인 연구 개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기초연구개발과제의 비효율성 원인은 대부분의 DMU 가 규모 측면이 아닌 기술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 과제 규모의 확대보다는 산출증대를 통해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다.
DEA란 무엇인가? DEA는 다수의 투입물로 다수의 산출물을 생산하는 의사결정단위(Decision Making Unit, 이하 DMU)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는 비모수적 효율성 측정방법 이다[4]. 즉, 다수의 투입, 산출요소를 갖는 DMU의 효율 성을 투입요소들의 가중합(weighted sum)과 산출요소 들의 가중합의 비율로 측정한 후, 유사한 활동을 수행하는 다른 DMU들의 효율성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 Lee, S. Yang, "Efficiency Analysis of Defense Technology R&D Project", Korea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Annual Conference, KOTIS, Korea, pp.92-105, Fall 2014. 

  2. S. Choi, H. Cho, J. Kang, J. Han, B. Kim, Y. Seo, J. Lee, "A Study on the Efficiency Reward and Improvement Patterns for Enhancing National R&D Performance", Policy Research Report, University of Seoul, pp.42 

  3. H. Lee, A Study on Analyzing the Efficiency of Defense R&D Projects : DEA Approach,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onkuk, Seoul, Korea, pp.19-20, 2015. 

  4. H. Lee, S. Jeong,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Defens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KAIS, Jeju, Korea, pp.92-105, Oct 2014. 

  5. M. J. Farrell, "The Measurement of productivity Efficiency",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Vol.120, No.3, pp.253-267, 1957. DOI: https://doi.org/10.2307/2343100 

  6. Charnes, A., Cooper, W. and Rhodes, E.,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 No.6, pp.429-444, Nov 1978. DOI: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7. Banker, R. D., Chanes, A. and Cooper, W. W.,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y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 pp.1078-1092, Sep 1984. DOI: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8. C. Lee, K. Cho, "Efficiency Analysis and Strategic Portfolio Model of National Health Technology R&D Program using DEA : Focused on Translational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40, No.2, pp.172-183, Apr 2014. DOI: https://doi.org/10.7232/JKIIE.2014.40.2.172 

  9. G. Kim, K. Kwak, "Adverse Selection in the Government R&D Support for Venture Business : Evidence from the Managerial Efficiency Comparison of the Recipient and Non-recipient of R&D Grant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21, No.4, pp.1366-1385, Dec 2018. 

  10. G. Jung, Efficiency Analysis of European Defense Industry Using DEA Model, Master's Thesi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Nonsan, Korea, 2005. 

  11. J. Chae, M. Park and S. Jung, "A study on how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efense industry companies in the top 100 in the world", Defense and Technology, Vol.485, pp.82-103, Jul 2019. 

  12. S. Jung, J. Oh and Y. Song, "An Analysis of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Defense Industri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Vol.20, No.4, pp.301-331, Dec 2010. 

  13. G. Jeon, S. Jung and H. Yu,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Domestic Defense Industries Considering a Return to Scale : Focused on Production Costs and R&D Inputs", Korea Association of Defense Industry Studies, Vol.19, No.2, pp.1-19, Dec 2012. 

  14. S. Jung, H. Yu, "Analysis of Operational Efficiency of Defense Industry Using Fuzzy-DEA: Focused on Communication Electronics", Korea Association of Defense Industry Studies, Vol.18, No.2, pp.62-80, Dec 2011. 

  15. S. Hong, J. Seo and S. Shim, "An Analysis of Application Performance of Defense R&D Technologies Acquired by Offset Program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2, pp.1-30, 2014. DOI: https://doi.org/10.14383/SIME.2014.22.2.001 

  16. J. Kim, J. Hong, "Global Competitiveness Analysis of Domestic Defense Industry: DEA and Malmquist Production Analysi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2, pp.8378-8385,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378 

  17. S. Park, Efficiency Analysis of Defense R&D Program and Improvement Pla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Dongyang, Pung-gi, Korea, 2013. 

  18. J. Park, J. M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ootstrap DEA for Defense R&D Efficiency Evaluation", Korean Journal of Military Art and Science, Vol.74, No.3, pp.295-313, Oct 2018. DOI: https://doi.org/10.31066/kjmas.2018.74.3.011 

  19. S. Byun, J. Han, "Efficiency Estimations for the Government Driven R&D Projects in IT Industries", Institute for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15, No.2, pp.179-206, Dec 2009. DOI: https://doi.org/10.32430/ilst.2009.15.2.179 

  20. Griliches. Z., "Patent Statistics as Economics Indicators : A Survey", Journal of Economics Literature, Vol.18, No.4, pp.287-343, Jan 19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