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아카이빙' 연구 서울기록원의 수집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Documentary Archiving Focusing on the case of Archiving by Seoul Metropolitan Archive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5, 2020년, pp.227 - 251  

안드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송영랑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도시의 기록화는 행정영역의 기록만으로 완전할 수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의 기록이 함께 수집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서울기록원의 서울시 기록화 사업 사례를 토대로, 생산되지 않았거나 훼손되어 수집되기 어려운 시민의 기억을 남기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학 실천주의의 입장 아래 기록으로는 남아있지 않아도 기억에는 존재하고 일상에 스며있는 서울에 대한 다양한 경험들을 남기기 위해 다큐멘터리를 도구로 제안하였다. 다큐멘터리는 서사성의 특징을 갖는다. 이는 매우 자의적 성격을 갖지만 구술이 아닌 다큐멘터리를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하는 것은 이 서사성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구술기록이 갖는 자기역사성과 그로 인해 제공되는 필요 이상의 기억들을 배제하고 수집주제에 부합하는 내용을 기록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문에서는 서울기록원에서 서울기록 수집으로 제안한 서사 기반의 기록 수집 방법, 그리고 그 안에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사기반 수집 안에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의 방법이 필요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을 실행하기 위한 기획·절차와 함께 2019년 서울 기록 수집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3편의 다큐멘터리 중 한 편을 사례로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cumentation of a city can never be complete with only the documentation of the administrative domain, and requires that of its citizens, who are living in the city in different way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documentation of the memories of the citizens, which either have never been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봉제장인을 창신동에 오래 거주한 주민들을 만나고 사업의 목적과 방향성, 수집의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소장 기록을 확인하였다. 간단한 사전 인터뷰를 통하여 소장자의 삶과 다큐멘터리 서사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촬영에 응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접촉한 소장자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이 리드와 케이스 파일로 정리하였다.
  • 다큐멘터리 제작과정에서의 인터뷰는 과정기록을 생산하지 않으며, 형식에 맞춘 질문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은 다큐멘터리 제작임과 동시에 기록화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구술을 위한 질문지는 다큐멘터리의 기획의도를 공유하고 있는 수집팀에서 작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사기반 기록 수집에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가지며, 그 결과물이 유효하기 위해 갖춰야하는 조건들은 무엇인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다큐멘터리를 실행하기 위한 절차와 이를 실행에 옮긴 서울기록원의 다큐멘터리 아카이빙 사례를 살펴본다.
  • 본 연구에서는 ‘성벽 밖 첫 번째 마을 창신동’을 사례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의 실제 실행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사기반 기록 수집에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가지며, 그 결과물이 유효하기 위해 갖춰야하는 조건들은 무엇인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다큐멘터리를 실행하기 위한 절차와 이를 실행에 옮긴 서울기록원의 다큐멘터리 아카이빙 사례를 살펴본다.
  • 창신동의 리드 개발은 현지조사와 함께 병행되었다. 봉제장인을 창신동에 오래 거주한 주민들을 만나고 사업의 목적과 방향성, 수집의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을 드리고 소장 기록을 확인하였다. 간단한 사전 인터뷰를 통하여 소장자의 삶과 다큐멘터리 서사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촬영에 응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 현지조사 중 접촉하게 되는 소장자에게는 수집의 목적과 의의, 방법, 방향성 등을 전달한다. 사업 설명을 하며 진행되는 사전 인터뷰를 통해 기록으로 생산되지 않았지만 촬영 주제와 연관이 깊은 기억이 있는지 파악한다. 소장자와의 접촉 결과는 케이스 파일로 정리한다.
  • 서울기록원은 2019년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 콘텐츠 개발 사업’을 통하여 서울이라는 도시를 총체적으로 기록화하고자 하였다.
  • 아카이브의 입장에서 다큐멘터리를 바라보는 시선은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1960년대에 대두되어 2011년의 월가점령운동으로부터 적극적으로 확대된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에 주목하고자 한다. 기록학 실천주의와 서울의 기록화는 공평하고 통합적인 기록화를 위해 다양한 소서사의 공존을 지향(이현정, 2014)한다는 공통된 목표를 갖는다.
  • 재구성된 리드는 다시 한 번 (5)현지조사의 과정을 거친다. 앞서 리드 개발을 위해 진행한 현지조사는 키워드의 의미 분석이 목적이었다면, 여기서의 현지조사는 리드의 기본정보와 상황, 수집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현지조사 중 접촉하게 되는 소장자에게는 수집의 목적과 의의, 방법, 방향성 등을 전달한다.
  • 전체를 구하기 위해 서울기록원은 구술을 기반으로 하는 다큐멘터리를 구상하였다. 여기에 연출에 의해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의 특성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과 일상의 모습을 함께 담고자 하였다. 서사적 기획과 연출로 완성된 다큐멘터리는 수집 주제에 대하여 기록물만으로는 불충분한 시민과 일상의 관점의 기억을 남긴다.
  • 대표적으로 부산의 삼복도로의 마을 아카이브의 사례는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기록을 남길 수 있도록 수집을 설계하는 시도이다(김화경, 2012). 이 연구는 아키비스트와 지역 활동가를 중심으로 수행하는 기록 수집 방법을 넘어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삼복 마을의 경우 마을의 주인이자 주체인 주민이 자신들의 삶의 이야기와 그 기록이 중요한 자원임을 깨닫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방법을 도모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다큐멘터리의 서사성을 기록 수집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은 수집 주제가 가진 맥락 안에서 기록으로 포착되지 않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문화현상 또는 개인의 삶을 서사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서울기록원. 2019.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콘텐츠 개발 사업 완료 보고서. 

  2.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3. 김지훈. 2018. 2010년대 한국 다큐멘터리의 '아카이브적 전환'과 벤야민적 역사쓰기: , , . 문학과 영상, 19(3), 379-406. 

  4.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5. 류한조. 2020. 자기역사 구성에서의 SNS 게시물 기록 적용 연구. 기록학연구, 64, 63-92. 

  6. 설문원, 김정현. 2013. 공간 중심의 연계형 기록화의 실행 방안. 기록학연구, 36, 233-269. 

  7. 유지수. 2019. 리티 판의 다큐멘터리 에 나타난 아카이브 활용양상과 역사서술 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209-221. 

  8. 유현준. 2015.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학적 시선, 서울: 을유문화사. 

  9.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10. Bill Nichols. 2001. Introduction to Ducumentary. Indiana University Press. (이선화 역. 2005. 다큐멘터리 입문. 파주: 한울아카데미). 

  11. Catherine Russell. 2018. Archiveology: Walter Benjamin and Archival Film Practices. Duke University Press Books. 

  12. Randall C, Jimerson.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3. Sheila Curran Bernard. 2010. Documentary Storytelling: Creative Nonfiction on Screen. Taylor & Francis Group LLC. (양기석, 신순옥 역. 2013.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2013년 개정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