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일상생활과 '문화 아카이빙'
'Cultural Archiving' of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5, 2020년, pp.321 - 363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단 70년을 거치며 남북한의 문화적 이질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장기적인 아카이브 구축은 북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상생활을 "제도, 사회통제, 규범, 질서 등의 사회구조적 측면과 개인의 다양한 실천과 행위가 교차하는 사회적 공간"으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일상생활의 개념을 적용하여 북한 일상생활에 관한 증거와 기억이 풍부하게 담긴 아카이브 구축 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상생활의 특징을 반영한 방법론이 필요한데, 이를 '문화 아카이빙'이라고 명명하고 그 핵심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 일상생활 아카이브 구축의 원칙과 절차가 포함된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구축 절차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실제 사례(북한 생활·문화·역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oughout the 70 years of division, cultural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s accelerat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rchive of the everyday life of North Koreans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orth. Here, everyday life is defined as social space where various practices and act...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워드 베커는 아카이브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단순한 DB 개발을 넘어 체계적인 아카이빙 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자료를 구축해야 한다. 아카이브를 “특정한 연구 목적과 무관하게 어떤 종류의 사건을 기록한” 자료의 집합체로 정의한 사회학자 하워드 베커는 생산자가 연구자의 의도나 용도를 모르는 채로 자료를 생산하기 때문에 오히려 자료의 조작 가능성이 낮은, 사건의‘목격자’가 된다고 보았다(베커 2020, 325-327).
북한의 일상생활 연구를 추진할 때 자료를 확보하고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북한의 일상생활 연구를 추진할 때 가장 어려운 것 중 하나가 자료를 확보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북한의 일상생활 자료를 확보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고, 연구방법론에 부합하는 계획적인 자료의 선별 수집은 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일상생활 자료는 ‘핵심자료의 선별’보다 ‘다양한 자료’를 오랜 기간 장기적으로 축적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특히 북한 일상생활의 자료는 구술이라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의 결과물인 경우가 많지만 이를 공유하거나 보존할 수 있는 체계는 미비하다. 수집한 자료를 공유하고 장기적으로는 북한 이탈주민이나 북한 생활 관찰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추가할 수 있는 열린 아카이브가 마련된다면 북한의 일상문화 정보원이자 현대적 의미의 민속자료로서 고유한 가치를 가질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3. 북한연구방법론. 서울: 한울. 

  2. 고유환. 2015. 북한연구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2015, 27-49. 

  3. 김종욱. 2010. 북한 관료들의 일상생활세계: 회색의 아우라,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편,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248-291. 

  4.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5. 남근우. 2014. 북한 시장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대항문화인가, 하위문화인가, 통일인문학 58, 163-194. 

  6.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2010.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서울: 한울. 

  7. 류길재. 2003. 김일성.김정일의 문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북한연구방법론. 서울: 한울, 46-70. 

  8. 류은영. 2009.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인문콘텐츠학회 14, 229-262. 

  9. 박순성.고유환.홍민. 2015. 북한 일상생활 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138-169. 

  10. 베커, 하워드 S.저, 서정아 역. 2020. 증거의 오류. 서울: 책세상. 

  11. 북한연구학회. 2015.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12. 설문원. 2012a.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17-342. 

  13. 설문원.2012b.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37-455. 

  14. 설문원. 2012c.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15.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 

  16.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2. 

  17. 양문수. 2015. 북한 문헌, 어떻게 읽을 것인가: 의 사례,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2015, 109-137. 

  18. 오경환. 2002. 조경공간의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19. 오웰, 조지 저, 박경서 역. 2003. 코끼리를 쏘다: 조지 오웰 산문선. 서울: 실천문학사. 

  20. 오창은. 2018.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문학과학, 96, 38-56. 

  21. 윤은하.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22. 이진경. 2002.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서울 : 푸른숲. 

  23. 이화연.윤순진. 2013. 밀양 고압 송전선로 건설 갈등에 대한 일간지 보도 분석: 환경정의 관점에서, 경제와 사회, 98, 40-76. 

  24. 조정아. 2015. 구술자료를 활용한 북한도시 연구: 이론적 자원과 방법, 북한연구학회편,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 관점, 방법론, 연구방법. 서울: 한울, 170-197. 

  25. 조정아. 2010. 북한 교육일상연구: 과제와 접근방법, 동국대학교 일상생활연구센터 편,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서울: 한울, 397-431. 

  26. 지머슨, 랜달 C. 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7. 최효진.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 "5월 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6, 95-152. 

  28. 황진태. 2019.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9(4), 118-156. 

  29. Anderson, Kimberly. 2013. The Footprint and the Stepping Foot: Archival Records, Evidence, and Time, Archival Science, 13, 2013, 349-371. 

  30. Bastian, Jeannette. 2009. 'Play Mas': Carnival in the Archives and the Archives in Carnival: Records and Community Identity in the US Virgin Islands, Archival Science, 9, 113-125. 

  31. Cunningham, Adrian. 2000. Dynamic Descriptions: Recent Developments in Standards for Archival Description and Medadata,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5(4), 3-17. 

  32. Hedstrom, Margaret. 2010.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More than a Metaphor, Less than an Analogy, Terry Eastwood and Heather MacNeil, eds., Currents of Archival Thinking, Libraries Unlimited, 2010, 163-180. 

  33. Millar, Laura. 2019. A Matter of Facts: The Value of Evidence in an Information Age, ALA Neal-Schuman. 

  34. Shilton, Katie and Srinivasan, Ramesh. 2007. Participatory Appraisal and Arrangement for Multicultural Archival Collections, Archivaria, 63, 87-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