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해양생물 위해성평가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the harmful marine species: the legal problems and solution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4, 2020년, pp.691 - 704  

이창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사회가치실) ,  모영동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사회가치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수산부는 사람의 건강과 재산을 위협하는 유해해양생물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17종의 유해해양생물을 지정했다.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있어 2015년 11월 고시를 제정하고, 2019년 '해양생태계 교란종 및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하, 훈령)'을 개정하였다.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해양수산부가 운영하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평가제도의 도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행 유해해양생물 지정 및 관리체계를 검토하여 현행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제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 위험 평가 제도'를 '위험'과 '평가'의 두 가지 정의로 검토하였다. 현 위해성평가 절차에 대한 본고의 검토 결과는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의 보완이다. 비록 정성적 평가기준이 가미되어 있지만, 현 위해성평가 절차는 정량적 위해성평가에 충실한 제도로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가 보완되었을 때 정량적 위해성 평가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designated 17 species as harmful marine organisms with the purpose of managing harmful marine species that threaten health and property. In designating and managing harmful marine species, detailed and effective regulations were originally established in Nove...

주제어

참고문헌 (23)

  1. AFFC. 2006. Report review of the act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proposed by the governmen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2. Campbell-Mohn C and JS Applegate. 1999. Learning from NEPA: Guidelines for responsible risk legislation. Harv. Envtl. L. Rev. 23:117. 

  3. Charnley G and GS Omenn. 1997. Introduction: With a summary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e commission on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Hum. Ecol. Risk Assess. 3:710. 

  4. Cho HS. 2002. Risk law-environmental law as an integrated risk management system. Seoul law J. 43:27-128. 

  5. CIMA. 1983. Risk Assessment in the Federal Government: Managing the Process. Committee on the Institutional Means for Assessment of Risks to Public Health. p. 18. 

  6. Daggett CJ, RE Hazen and JA Shaw. 1989. Advancing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risk assessment. Colum. J. Envtl. L. 14:317. 

  7. ECB. 2018. Technical guidance document on risk assessment in support of commission directive 93/67/EEC on risk assessment for new notified substances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488/94 on risk assessment for existing substances directive 98/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concerning the placing of biological products on the market.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er. pp. 7-50. 

  8. EPA. 1998. Guidelines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Federal Register 63:26846-26924. 

  9. Finkel AM and D Golding. 1995. Worst Things First: The Debate over Risk-Based National Environmental Priorities. Resources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p. 7. 

  10. Fowle JR and KL Dearfield. 2000. Science policy council handbook, risk characterization. Science Policy Council,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 54. 

  11. Grad FP. 1986. Risk assessment and the tyranny of numbers: A brief comment. J. Envtl. L. & Litig. 1:1. 

  12. Heyvaert V. 1999. Reconceptualizing risk assessment. Rev. Eur. Comp. & Int'l Envtl. L. 8:135-143. 

  13. HIRA. 2020.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thInsRvStatInfo.do#-none 

  14. Israel BD. 1995. An environmental justice critique of risk assessment. NYU Envtl. LJ 3:476. 

  15. Kim DH. 2019. A legislation for the risk-based contaminated sites management. Environ. Law Rev. 41:1-36. 

  16. Kim KY, JY Park, JH Chae and S Sin. 2019. Development of the methods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marine ecosystem disturbing and harmful organism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pp. 55-56. 

  17. Mendoza Alfaro RE, B Cudmore, R Orr, JP Fisher, SC Balderas, WR Courtenay, P Koleff Osorio, N Mandrak, P Alvarez Torres, M Arroyo Damian, C Escalera Gallardo, A Guevara Sanguines, G Greene, D Lee, A Orbe-Mendoza, C Ramirez Martinez and O Stabridis Arana. 2009. Trinational Risk Assessment Guidelines for Aquatic Alien Invasive Species. Commiss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pp. 61-71. 

  18. NIKL. 2020.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ttps://www.korean.go.kr/front_eng/intro/intro_01.do 

  19. Piyapong J and T Watanabe. 2015. Improving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Environ. Pol. Law 45:294. 

  20. Robinson C, CJ Portier, A Cavo&cki, R Mesnage, A Roger, P Clausing, P Whaley, H Muilerman and A Lyssimachou. 2020. Achieving a high level of protection from pesticides in Europe: Problems with the current risk assessment procedure and solutions. Eur. J. Risk Regul. 11:450-480. 

  21. Slovic PE.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280 

  22. Son GH. 2015. A study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introduced marine pest and harmful marine specie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23. Sunstein CR. 1997. Which risks first. U. Chi. Legal F. 1997:119-1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