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감사노트 작성이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rateful Note-taking in University Students upon Grateful Disposition and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244 - 255  

김경화 (광주여자대학교 교직과정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감사노트 작성이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감사노트 작성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K대학교 재학생 131명(감사노트를 작성한 실험집단 68명, 감사노트를 작성하지 않은 비교집단 63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및 행복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를 위해 마음수업 수강자의 감사노트, 감사노트 소감문, 심층설문,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감사성향 및 행복감은 감사노트 작성 여부에 따라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감사노트 작성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감사성향 및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사노트 작성의 경험의 의미로는 긍정적인 생각, 감사하는 습관, 성찰의 시간, 행복발견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감사성향 및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대학생의 감사노트 작성 프로그램 확대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a positive effect of grateful note-taking on grateful disposition and happiness in undergraduates and to inquire into a significance of experiencing the grateful note-taking. For the study, the pre·post tests were carried out in relation to gra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사노트 작성이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감사노트 작성이 가지는 경험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사노트 작성이 감사성향과 행복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해 규명하였다. 특히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자의 삶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감사노트 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을 다루어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감사 노트 작성이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행복한 삶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사노트 작성이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살펴보고 감사노트 작성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삶의 긍정적인 태도와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대학 구성원 전체가 서로에게 감사 모델링이 되어야 한다. 교수, 학생, 직원 등 대학구성원 상호간에 감사가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 잡을 때 긍정적 정서와 타인을 도우려는 성향이 보다 강화되어 긍정적 친구관계, 가족관계 등 원만한 인간관계를 갖게 하고 건강한 사회적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C. Peterson and M. E. Seligman, P.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kciation, 2004. 

  2. S. G. Barsade, "The ripple effect: Emotional contagion and its influence on group behavior," Administraive Science Quarterly, Vol.47, pp.644-675, 2002. 

  3. R. A. Emmons and M. E. McCullough, "Counting blessing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pp.377-389, 2003. 

  4. R. A. Emmons, "Queen of the virtues? Gratitude as a human strength, Reflective Practice," Formation and Supervision in Ministry, Vol.32, pp.49-62, 2012. 

  5. S. Lyubomirsky,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The Penguin Press, 2007. 

  6. 추병완, "감사의 도덕적 본질과 교육 방안. 교육과정평가연구", 제18권, 제1호, pp.31-59, 2015. 

  7. B. Fredrickson, M. Tugade, C. Waugh, and G. Larkin,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in cri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2, pp.365-376, 2003. 

  8. B. L. Fredrickson,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Vol.359, pp.1367-1377, 2004. 

  9. 송윤희,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109-128, 2015. 

  10. 김명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검증: 감사, 칭찬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전영희, 긍정심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J. J. Froh and G. Bono, Gratitude. In Roger J. R. Levesque(Ed.). Encyclopedia of adolescence, New York :Springer, pp.1225-1231, 2014. 

  13. R. S. Lazarus and B. N. Lazarus,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4. D. Steind-Rast, Gratitude as thankfulness and as gratefulness, In Emmons, R. A., & M. E. McCullough, (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282-289, 2004. 

  15. P. Fitzgerald, "Gratitude and justice," Ethics, Vol.109, pp.119-153, 1998. 

  16. 윤보선,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A. Smith,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6th ed, Oxford: Clarendon Press, 1976. 

  18. M. G. Adler and N. S. Fagley,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Vol.73, No.1, pp.79-114, 2005. 

  19. J. J. Froh, T. B. Kashdan, K. M. Ozimkowski, and M. Miller, "Who benefits the most from a gratitude interven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xamining positive affect as a moderator,"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49, pp.408-422, 2009. 

  20. 김유리,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 S. R. Algoe, "Find, remind and bind: The functions of gratitude in everyday relationship,"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Vol.6, pp.455-469, 2012. 

  22. M. E. McCullough, R. A. Emmons, and J. Tsang, "Gratitude in intermediate affecttive terrain: Links of grateful moods to individual differences and daily emotional experience," 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6, pp.295-309, 2004. 

  23. M. E. McCullough, R. A. Emmons, and J. Tsang, "The grateful disposition psychology.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logy," 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2, No.1, pp.112-127, 2002. 

  24. J. J. Froh, W. J. Sefick, and R. A. Emmons, "Counting blessings in early adolesc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46, pp.213-233, 2008. 

  25. J. J. Froh, J. Fan, R. A. Emmons, G. Bono, E. S. Huebner, and P. Watkins, "Measurning gratitude in youth: Assess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dult gratitude scal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Vol.23, No.2, pp.311-324, 2011. 

  26. 이범웅, "행복증진과 도덕교육의 연계성 탐색," 초등도덕교육, 제54권, pp.1-30, 2016. 

  27. 박영민, 최삼욱, 강은호, 박주언, 채정호, "감사의 효능과 치료적 적용," 스트레스 연구, 제16권, 제2호, pp.115-122, 2008. 

  28. 김별님, 이인혜, "감사처치가 자기초점주의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46-47, 2008. 

  29. 박선민, 김아영, "감사일지 쓰기가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제26권, 제2호, pp.347-369, 2014. 

  30. 김미정,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지각된 사회적지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1. 김동희, 감사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2. 조진형, 김경미, 김동원, 김정희,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역사학회담론201, 제11권, 제2호, pp.75-101, 2008. 

  33. S. Lyubomirsky, "Why are some people happier than others?: The role of cognitive and motivational processes in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6, No.3, pp.239-249, 2001. 

  34. M. E. P. Seligman,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3-9, 2002. 

  35. M. E. P. Seilgman, T. A. Steen, N. Park, and C. Peterson, "Poso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60, No.5, pp.410-421, 2005. 

  36.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pp.803-855, 2005. 

  37. D. G. Myers, The persuit of happiness, New York, NY: Avon Books, Overwalle et al., 1995, 1992. 

  38. L. A. King,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life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Bulletin, Vol.27, No.7, pp.798-807, 2001. 

  39. C. M. Burton and L. A. King,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intensely positive experienc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38, pp.150-163, 2004. 

  40. 노혜숙, 신현숙,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2호, pp.147-168, 2008. 

  41. 이지현, 중학생에게서 감사훈련이 미치는 긍정적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2. 배수현, 김광수,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제2권, 제1호, pp.49-67, 2013. 

  43. T. B. Kashdan, G. Uswatte, and T. Julian, "Gratitude and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in Vietnam war vetera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pp.177-199, 2006. 

  44. E. Diener, C. R. Colvin, W. G. Pavot, and A. Allman, "The psychic costs of intense posi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3, p.492, 1991. 

  45. P. C. Watkins,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R. A. Emmons & M. E. McCulloung, The Psychology of gratitud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6. S. Lyubomirsky, The how of happiness, New York:Penguin, 2008. 

  47. A. M. Wood, J. J. Froh, and A. W. A. Geraghty, "Gratitude and well-being: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pp.890-905, 2010. 

  48.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77-190, 2006. 

  49. 이승헌, 유성모, "탐색적 방법을 통한 건강, 행복, 평화척도의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9권, 제5호, pp.2161-2171, 2007. 

  50. 이예진, 긍정적 피드백을 활용한 감사일기 쓰기 활동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1. 김경화, "PBL 수업적용에 따른 학습 성과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191-201, 2017. 

  52. 양진희, "감사일기 쓰기활동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초등연구, 제33권, 제2호, pp.259-280, 2013. 

  53. 이예원, 이은성,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35-47, 2019. 

  54. 김은주, 정은정, "대학생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592-601, 2018. 

  55. 김영희, 고태순,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30-338,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