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마음 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139 - 145  

김은미 (건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성인의 직업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사성향, 마음챙김,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사이버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8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성향과 마음챙김,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 정적 상관이 유의미 하였다. 또한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 챙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가 정적인 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간접효과와 총 효과 또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감사성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마음 챙김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결정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사와 마음챙김을 경험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K-MAAS), Gratitude(Gratitude Questionnaire, GQ-6),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SES-SF) as a factor influencing adults career development. Subjects were 89 adults in cyber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이가 들어갈수록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미래를 찾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고자 한다. 자신과 주변에 대한 긍정적 태도뿐 아니라 그러한 자신의 태도를 지각하고 있을 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진 다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성인초기 일반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인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차이가 있다고 보고, 성인들의 발달적 특성으로서의 개인이 갖고 있는 긍정적 정서인 감사성향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고자 하는 신념인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적 측면에 대한 탐색인 마음 챙김을 어떻게 매개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마음챙김은 진로결정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는 성인기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긍정적인 삶의 만족은 자신과 주변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과 관련이 있다고 보아, 감사하는 마음과 자신의 진로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기의 특징 중의 하나인 지나온 삶과 자신의 현재 삶에 대한 숙고 즉 알아차림을 바탕으로 한 마음챙김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음 챙김을 측정하는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마음 챙김을 측정하기 위해 Brown과 Ryan이 개발하고 권선중, 김교헌이 번안한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척도(Mindfulness Attention and Awareness Scale, K-MAAS)’를 척도를 사용하였다[9]. 본 척도는 ‘나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에 계속 초점을 맞추기가 어렵다.’ ‘나는 과거나 미래에 집착하는 자신을 종종 발견한다.’ 그리고 ‘나는 길을 갈 때 일어나는 일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목적지만 생각하며 서둘러 간다’ 등의 문항을 포함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7점 Likert식 척도로 구성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편의를 위해 5점 Likert식 척도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모든 문항은 역전시켜 분석하였다. 내적합치도 (Cronbach’s α)는 Brown의 연구에서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란 무엇인가? 진로결정과 진로목표를 스스로 잘 성취할 수 있다는 신념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Bandura의 자기 효능감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16]. 즉, Bandura의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상황이나 사건에서 자신이 잘 대처할 수있다고 판단하는 신념이다.
감사성향이 높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감사는 행복의 지표로 간주되기도 하는바, 감사를 평소에 많이 느끼는 사람이 인지적ㆍ정서적 안녕 감이 높으며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풍부하고, 낙관적이었다[4]. 그리고 감사성향이 높은 사람은 감사성향이 적은 사람보다 자신의 마음을 잘 통제하고, 방어적이지 않으며 삶에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진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H. Shin, et al.(2013).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2. S. M. Yoon & H. C. Shin. (2012). Character Strengths: Their Relationships with Happiness among Middle-aged Women at Korean Metropolitan Area. The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4(1), 27-49. 

  3. R. A. Emmons, & c. M. Shelton(2005). Gratitude and the Science of Positive Psychology. In Synder, C. R. & Lopez, S. J(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 459-471). New YorK Oxford. 

  4. J. H. Noh. & M. K. Lee. (2011). Why should I be Thankful?: The Effects of Gratitude on Well-being under the Str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1), 159-183. DOI : 10.15842/kjcp.2011.30.1.009 

  5. K. M. Kim, J. H. Jo, D. W. Kim & J. H Kim.(2009). Objects, Reasons and Effects of Gratitude Experienced by Female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1), 191-208. 

  6. B. L. Fredrickson, M. A. Cohn, K. A. Coffey, J. Pek & S. M Finkel.(2008). Open Hearts Build Lives: Positive Emotions, Induced through Living-Kindness Mediation, Build Consequential Personal Resources. J Pers Soc Pycho, 95, 1045-1062. DOI : 10.1037/a0013262 

  7. I. S. Wang & O. K. Cho. (2011). Effect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on Self- compassion, Mindfulness, Self-estee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d Perceived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4), 675-690. DOI : 10.17315/kjhp.2011.16.4.003 

  8. S. R. Bishop, M. Lau, S. Shapiro, L. Carlson, N. D. Anderson, J. Carmody, A. V. Segal, S. Abbey, M. Speca, D. Velting & G. Devins. (2004) Mindfulness: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3), 230-241. DOI :10.1093/clipsy.bph077 

  9. S. J. Kwon & K. H. Kim. (2007).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1), 269-287. DOI : 10.17315/kjhp.2007.12.1.014 

  10. B. L. Fredrickson,(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DOI : 10.1037/0003-066X.56.3.218 

  11. J. S. Koo & E. K. Suh. (2013). The Influence of Happiness on Future Income and Job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7(2), 17-36. 

  12. J. S. Koo, A. R. Lee & E. K. M. Suh. (2009). Social Consequences of Happiness: Are Happy People Popular?.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5(1), 29-47. 

  13. M. A. Cohn, B. L. Fredrickson, S. L. Brown, J. Mikels & A. M. Conway. (2009). Happiness Unpacked: Positive Emotions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Building Resilience. Emotion, 9, 361-368. DOI : 10.1037/a0015952 

  14. Y. S. Park & U. C. Kim. (2009). Factor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ults: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Achievement, Success of Children, Emo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3). 467-495. DOI : 10.18205/kpa.2009.14.3.009 

  15.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6. K. M. Taylor & N. E. Betz.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DOI : 10.1016/0001-8791(83)90006-4 

  17. N. E. Betz & G. Hackett. (2006). Career Self-Efficacy theory: Back to the Futur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1), 2-11. DOI : 10.1177/1069072705281347 

  18. Y. K. Kim. (2008). The Effect of University Freshmen's Career Barriers on Career Decision Making Level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4), 1191-1210. 

  19. S. J. Kwon, K. H. Kim & H. S. Lee. (2006).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1), 177-190. 

  20. E. K. Lee.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upon the Career Development. Doctoral dissertation. EHWA University. Seoul. 

  21. A. F. Hayes. (2013).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51(3), 335-3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