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탄성 (resilient) 관점의 계획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Landscape Plan Strategy of Urban Waterside Space Buffer Zon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Resilient Perspective of Plan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404 - 416  

양멍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홍관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수는 도시가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이다. 홍수 재해는 도시의 경제와 안전, 그리고 지속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수변 공간에 대한 개발과 건설 과정에서 기본적인 방재시설의 건축을 통해 홍수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자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더라도 이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으며. 재해 발생 후 도시의 재건 비용은 방재(防災)시설의 건설비용보다 훨씬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최근 몇 년간 도시재건 등에 있어 탄성(resilient)이론은 학계의 광범위한 토론과 주목을 불러일으키며 도시의 문제해결에 관한 주제가 되어왔다. 즉, 탄성의 방재개념을 이론과 경험적 요소를 토대로 어떻게 실천으로 전환시켜야 하는지가 도시방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이다. 본 논문은 도시의 수변(공간) 완충지역(홍수 취약지역)여 관한 이론 문헌과 도시의 실천 사례연구를 통해 탄성 방재이론인 5R 요소를 명확화하고, 이에 따른 상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의 수변완충지역을 중심으로 탄성 방재이론 요소의 도시수변(공간)계획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방재계획수단을 이용해 도시수변토지의 개별 효용과 수변완충지역의 방재기능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것과 둘째, 수변완충지역이 탄성 방재계획을 통해 방재 측면에서 홍수가 수반하는 문제에 최대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oding is an unavoidable natural disaster for the city. Flood disasters seriously undermine the city's economy, safety, and sustained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waterfront space in the same city, the construction of basic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cannot b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도시의 수변관리개발계획을 정리, 분석해 경관 설계자와 도시 설계가들의 디자인 목적 또는 의도를 보았다. 이를 위해 계획 요소와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도시의 방재계획에서 수변개발 계획과 유사한 부분을 조합하여 구체적인 수변계획방법을 도출하였다.
  • 둘째, 탄성의 대체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의 수변지역에 피난 공간, 임시 공간이나 홍수 취약 정보에 따른 수변 공간구조의 구분 등은 다양한 공간 방식이나 모듈식 공간 구조를 사용한다.
  • 본 연구는 앞서 기술했듯이 도시의 수변완충지역 경관의 방재경관계획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범평원 도시의 수변완충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수변완충지역의 경관 기능분석 및 탄성 방재요소를 평가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홍수라는 자연재난이 발생 한 이후 피해지역을 재건하기 위해 제안된 도시의 수변계획보고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앞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살펴본 결과 수변공간완충지역이 생태계와 공간적인 측면에서 강물 범람을 완화 및 저지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수변 경관의 계획조성 사례를 통해 도시에 탄성 계획 방재이론을 활용하는 것은 자연적인 방식으로 자연재해를 막는 효과적인 방법이고, 이를 통해 탄성 계획 방재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방재경관계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앞서 기술했듯이 도시의 수변완충지역 경관의 방재경관계획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범평원 도시의 수변완충지역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수변완충지역의 경관 기능분석 및 탄성 방재요소를 평가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홍수라는 자연재난이 발생 한 이후 피해지역을 재건하기 위해 제안된 도시의 수변계획보고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 아울러 한국국토연구원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은 도시의 방재와 도시의 재생부분에도 탄성 5R 요소를 한국도시의 방재능력 지표로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된 5R 탄성 요소를 도시수변개발의 핵심요소로 정하고, 도시의 수변방재계획에서 물리성과 사회성과 관련되는 계획지표와 탄성 5R 방재 핵심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검증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 이에 정부 정책이나 도시 계획 측면에서 재난성 홍수에 대응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사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창의적인 방법으로 홍수에 대응하는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앞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살펴본 결과 수변공간완충지역이 생태계와 공간적인 측면에서 강물 범람을 완화 및 저지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수변 경관의 계획조성 사례를 통해 도시에 탄성 계획 방재이론을 활용하는 것은 자연적인 방식으로 자연재해를 막는 효과적인 방법이고, 이를 통해 탄성 계획 방재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방재경관계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탄성 이란 '물리적·사회적 도시요소가 적응과 회복을 통해 재해를 억제하고 그 경험 등이 축척되어 더욱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는 과정 또는 능력'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의 홍수 피해를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는 대책마련에 관한제언을 하는 것이다. 즉, 재난 발생 기간과 재난 후 복구기간의 수변(공간) 도시 기능을 유지하고 수변(공간)의 토지개발과 방재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변완충지역(홍수재해 취약 지역)의 기능에 따라 전반적인 탄성방재계획의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를 연구하고, 각 지역 사례에서의 수변방재계획과 재난위험에 대처하는 수변방재계획의 상세한 실시 내용을 결합하여 도시 수변(공간)완충지역의 탄성 계획전략의 수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정된 사례 보고서에 나타나는 수변경관 방재계획의 실전 지표에 대한 정리와 앞서 제기한 다섯 가지의 핵심 탄성 방재요소에 대한 검증과 비교를 통해 수변(공간)완충지역의 탄성 방재 경관계획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 이 프로그램은 미국 최초로 정책·입법의 형식으로 만들어졌는데, 범람하기 쉬운 평원의 하류지역 수변 토지를 이용하도록 규정한 계획이다.
  • 첫째, 수변의 공간기능 구성요소라는 연구 시각에서 도시 개발계획의 물리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요소를 통해 수변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고, 둘째, 탄성 방재이론의 연구 관점에서 도시방재의 물리성과 사회성 두 가지 측면에서의 탄성 방재의 계획 지표이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도시 수변의 예방, 정비 및 복구의 방재계획 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도시의 수변개발계획을 관찰하여 도시의 수변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 두 가지의 계획모델을 분석기준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 도시의 수변개발은 늘 하천의 자연 형태와 정도에 맞고 홍수의 재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기 마련이다. 이런 점에서 각 도시는 재난 수준과 방재경험에 따라 각각의 도시의 물에 관한 관리 계획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여러 도시의 수변개발계획의 특정 방법을 요약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도시의 수변개발계획을 분석하는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진행한 두 가지 측면을 도시의 수변개발계획의 분석기준으로 하고자 한다. 첫째, 수변의 공간기능 구성요소라는 연구 시각에서 도시 개발계획의 물리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요소를 통해 수변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고, 둘째, 탄성 방재이론의 연구 관점에서 도시방재의 물리성과 사회성 두 가지 측면에서의 탄성 방재의 계획 지표이다.
  • 본 연구가 탄성 방재능력의 관련 이론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탄성 방재 능력에 관한 5R 개념을 기반으로 도시방재는 물리적 요인 뿐만 아니라 도시의 사회적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탄성의 개념이 처음의 상태를 복원되는 것을 의미하고 방재능력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재정의 하고자 한다.
  • 신속성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긴급 피난통로와 재해가 야기하는 손해의 정도를 예측하여 관련 정보의 전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즉, 도시의 방재 측면에서 신속하게 재해의 관련정보를 확보하고 예방과 재해의 대응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방재 및 환경 관련 재난 최소화, 기후변화와 재난의 환경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간의 취약성을 파악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의 홍수 피해를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는 대책마련에 관한제언을 하는 것이다. 즉, 재난 발생 기간과 재난 후 복구기간의 수변(공간) 도시 기능을 유지하고 수변(공간)의 토지개발과 방재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변완충지역(홍수재해 취약 지역)의 기능에 따라 전반적인 탄성방재계획의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를 연구하고, 각 지역 사례에서의 수변방재계획과 재난위험에 대처하는 수변방재계획의 상세한 실시 내용을 결합하여 도시 수변(공간)완충지역의 탄성 계획전략의 수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경관과 도시계획을 위해 더욱 뛰어난 탄성을 지닌 계획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제안한다.
  • 지금까지 살펴본 도시 계획의 기본적 계획, 관리 계획, 시행 계획 등을 종합하여 탄성방재(防災)의 5R(내구성, 대체성, 신속성, 자원동원력과 지역경쟁력)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는 사람, 물건, 서비스 등 물리적 현황과 연계된 도시와 지역 간 모든 시스템에 확장된다. 탄성은 도시에 자연재해가 발생한 후 이를 복구하고 안정시키는 조치를 취하여 복구 기간 동안 도시의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탄성 계획의 방재 방식은 수변 공간의 효능과 수변완충지역의 방재 및 생태계 보호 간의 갈등을 조절하고 균형화 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셋째, 수변 공간은 기능적으로 공간의 연결성을 강조 한다. 특히 도시의 육로와 수로 사이의 복잡함을 수변 공간이라는 제3의 공간을 통해 공간의 연결성과 원활성을 효과적으로 조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경제, 사회와 문화적 측면에서도 도시 하류 간의 교류 를 연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변 공간은 무엇인가? 수변 공간은 생태계 보전과 경관을 통해 시민들에게 심리적, 정서적 만족을 제공해 주며, 사람과 문화가 교류하는 친수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즉, 친수 공간의 영향이 미치는 물리적 도시공간을 포함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서울시는 기본 경관계획에서 한강변 경관관리를 위한 공간의 범위를 간선도로를 기준으로 하천구역 경계에서 내륙으로 500m 내외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수변의 경관관리 차원에서 기준제시이다.
수변 공간의 장점과 역할은 무엇인가? 즉, 경제·사회·문화 등의 측면에서 수변 공간의 구체적인 기능 속성을 분석했을 때, 수변 공간은 자연 하류의 생태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는 주민들의 다양한 오락, 휴식, 교류, 조망 등 개방적인 물리적 속성 을 만족하고, 나아가 랜드마크성과 장소성, 기억성 등이 가능하도록 상징적인 심리 기능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 밖에도 수변공간은 특수적 지리적인 위치로 인해 도시의 제3공간으로서 수로와 육로를 조율하는 연결점이 될 수 있다. 이는 도시 공간의 연결성과 통행성이라는 중요한 가능으로 도시의 공간기획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표 1]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속성을 요약한 내용이다.
홍수 재해의 영향은 무엇인가? 홍수는 도시가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이다. 홍수 재해는 도시의 경제와 안전, 그리고 지속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수변 공간에 대한 개발과 건설 과정에서 기본적인 방재시설의 건축을 통해 홍수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자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더라도 이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으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전문위원회, "Global Warming of $1.5^{\circ}C$ ," http://www.ipcc.ch/report/sr15/, 2019. 

  2. Orb Media, "Under water, How rising waters cost us all," https://orbmedia.org, 2019. 

  3. 이광국, "부산시 수변공간 재생 디자인 수법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제32집, pp.177-191, 2012. 

  4. 정상준, 안홍규, 우효섭, 오종민, "국내 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 대한토목학회, pp.3147-3150, 2007. 

  5. C. S. Holling,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 cal System,"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Vol.4, pp.1-23, 1973. 

  6. 정주철, "도시방재에 있어서의 리질리언스 개념 정립," 건축, 제62권, 제2호, pp.37-40, 2018. 

  7. M. Bruneau, S. Chang, R. Eguchi, G. Lee, T. O' Rourke, A. Reinhorn, M. Shinozuka, K. Tierney, W. Wallace, and D. Winterfeldt, "A Frame 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Vol.19, No.4, pp.733-752, 2003. 

  8. T. D. O' Rourke,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 dencies, and resilient,"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pp.22-29, 2007. 

  9. 김태현, 김현주, 이계준, "재난관리를 위한 도시 방재력(Urban Resilience) 개념 및 기능적 목표 설정," 한국안전학회지, 제26권, 제1호, pp.65-70, 2011. 

  10. 김미선, 신진동, 심숙연, 김현주, "방재력을 고려한 도시의 풍수해 안전기준 개발방향 설정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27-136, 2015. 

  11. Our Toronto Waterfront, https://www.toronto.ca/wp-content/uploads/2017/11/92f4-Our-Toronto-Waterfront-staffreport.pdf, 2019. 

  12. Greater New Orleans Urban Water Plan, https://livingwithwater.com/blog/urban_water_plan/reports/, 2019. 

  13. Active, Beautiful, Clean Waters Design Guide lines, https://www.pub.gov.sg/abcwaters/designguidelines, 2019. 

  14. Flood Hazard Mitigation Plan, http://hermes.cde.state.co.us/drupal/islandora/object/co%3A20199, 2019. 

  15. Antwerp waterfront, http://www.proap.pt/project/antwerp-quays-waterfront-1/, 2019. 

  16.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Hoboken, http://ww w.rebuildbydesign.org/our-work/all-proposals/resist-delay-store-discharge-a-comprehensive-strategy-for-hoboken, 2019. 

  17. Jinhua City Sponge City Special Plan, http://www.jhjsj.gov.cn/01/ghzj/201709/t20170930_1493148_2.html, 2019. 

  18. 이금진, 최진희, "기술.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워터프론트 도시의 리질리언트 공간계획," 한국재난정보학회, 제14권, 제3호, pp.352-359,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