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구 수업 설계 강좌에서 예비 중등 과학 교사의 위치짓기와 인식적 이해 탐색
Expl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ositioning and Epistemic Understanding in a Course about Designing Inquiry-Based Less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3, 2020년, pp.307 - 320  

하희수 (부산교육대학교) ,  강은희 (서울대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탐구 수업 설계 강좌에서 공동의 탐구 수업을 설계하고 시연하였음에도 탐구 수업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적 이해를 보여준 예비교사인 도형과 진우에게 주목하여, 강좌에서 그들의 위치짓기가 탐구 수업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적 이해를 구성하는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두 예비교사의 탐구 수업 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만들어진 산출물들을 수집하고 수업 시연을 녹화 및 전사하였으며, 두 예비교사와의 논의를 녹음 및 전사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도형은 강좌 전반에 걸쳐 교수자에게 평가받는 대상으로 위치한 것이 부각된 반면, 진우는 평가 대상으로 위치함과 함께 탐구 수업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하고 수업 설계에 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예비교사로 위치한 것 또한 강좌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도형과 진우의 위치짓기는 그들이 탐구 수업 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적 이해를 정교화하는 과정에 반영되었다. 탐구 수업 설계 과정에서는 도형과 진우 모두 탐구 수업을 학생이 교사의 안내 하에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는 사고와 실행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공통된 이해를 보였으나, 수업 시연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마주하면서 상이한 인식적 이해를 구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형은 자신이 계획대로 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예상하고 그에 반응하여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학생들이 실험을 진행하여 교사가 예상한 실험 결과가 나오는 수업이라는 통제된 탐구 수업을 추구하였다. 그에 반하여 진우는 학생의 선지식을 바탕으로 한 추론 과정을 중시하면서 탐구 수업을 학생들이 그들의 선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자들과 같은 추론 과정을 따라가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였다.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 예비교사의 위치짓기가 그들의 인식적 이해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탐색한 본 연구 결과는 탐구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적 이해 정교화를 지원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how the positioning of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STs) is reflected in their different epistemic understandings of inquiry-based lessons. We collected the PSTs' products during their design and enactment of an inquiry-based lesson and recorded their practices in the enact...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7)

  1. Aschbacher, P. R., Li, E., & Roth, E. J. (2010). Is science me? High school students' identities, participation and aspirations in science, engineering, and medicin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64-582. 

  2. Carlone, H. B., Johnson, A. (2007). Understanding the science experiences of successful women of color: Science identity as an analytic le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8), 1187-1218. 

  3. Chen, J. L., & Mensah, F. M. (2018). Teaching contexts that influenc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eacher and science teacher identity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9(5), 420-439. 

  4. Fazio, X., Melville, W., & Bartley, A. (2010).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practicum: A key determinant of pre-service teachers' emerging inquiry-based science practic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6), 665-681. 

  5. Haefner, L. A., & Zembal-Saul, C. (2004). Learning by doing?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developing understandings of scientific inquiry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3), 1653-1674. 

  6. Hofer, B. K. (2001). Personal epistemological research: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 353-383. 

  7. Holland, D., Lachicotte, W., Skinner, D., & Cain, C. (1998). Identity and agency in cultural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 Kang, N. -H. (2008).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 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478-498. 

  9. Kang, H., Barton, A. C., Tan, E., Simpkins, S. D., Rhee, H., & Turner, C. (2019). How do middle school girls of color develop STEM identities? Middle school girls' participation in science activities and identification with STEM careers. 103, 418-439. 

  10. Kim, Y., Shin, S., & Lee, J. -K. (2018). A narrative study on career conflict and wander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biology education major. Biology Education, 46(1), 1-15. 

  11.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3. Olitsky, S. (2006). Structure, agency,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dentities as learners.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1(4), 745-766. 

  14. Ozdem, Y., Ertepinar, H., Cakiroglu, J., & Erduran, S. (2013). The natur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rgumentation in inquiry-oriented laboratory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5), 2559-2586. 

  15. Park, E. -S. (2018).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career preparation and perceptions toward teach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2(1), 85-97. 

  16. Park, J., & Bae, S. (2012). Analyzing career paths and college life plans of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students in teacher's college examined by their roadmap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6(6), 751-758. 

  17. Rahm, J. (2008). Urban youths' hybrid positioning in science practices at the margin: A look inside a school-museum-scientist partnership project and a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3, 97-121. 

  18.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4), 634-656. 

  19. Schwarz, C. (2009). Develop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nd practices through modeling-centere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93(4), 720-744. 

  20. Skamp, K., Mueller, A. (200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nfluence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university and practicum on student teachers' images of effective primary science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3), 227-245. 

  21. Tan, E., & Barton, A. C. (2007). From peripheral to central, the story of Melanie's metamorphosis in an urba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Science Education, 92(4), 567-590. 

  22. Ucar, S. (2012). How d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scientists, and science teaching change over time in a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1, 255-266. 

  23. van de Sande, C. C., & Greeno, J. G. (2012). Achieving alignment of perspectival framings in problem-solving discours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1), 1-44. 

  24. Windschitl, M. (2004). Folk theories of "inquiry:" How preservice teachers reproduce the discourse and practices of an atheoretical scientific metho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481-512. 

  25. Windschitl, M., & Thompson, J. (2006). Transcending simple forms of school science investigation: The impact of preservice instruction on teachers' understandings of model-based inquir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3(4), 783-835. 

  26. Wong, B. (2015). Careers "from" but not "in" science: Why are aspirations to be ascientist challenging for minority ethnic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2(7), 979-1002. 

  27. Yun, H., & Kim, H. -B. (2018). Explor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epistemic goals, epistemic considerations and complexity of reasoning in open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541-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