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the Skill-Based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2, 2020년, pp.141 - 150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과학 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실천의 의미를 시험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부 주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Science-A Process Approach (SAPA)로 대표되는 기능 중심의 접근에서는 과학 탐구 기능들을 위계적으로 연계하여 제시하고, 이들은 전이성 또는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으며, 발견을 통한 과학 학습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은 기능의 사용에 이론이 적재되어 있다는 현대 과학 철학의 관점과 상충되었으며, 탐구에서 사용되는 기능들이 내용-특이적 또는 맥락-의존적이라는 사실과 추상적인 과학 이론이나 원리는 귀납적으로 발견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 왔다. 이와는 달리 과학적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입장에서는 과학적 실천을 총체적인 행위로 이해하고, 그것이 전개되는 양상은 내용이나 맥락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과학 수업에서도 학생의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고려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 탐구에 관한 일관된 관점을 정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과학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skill-based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science practices that are emphasized in recent science education reform movement. An extensiv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was carried out, and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래에 이어지는 각 장에서는 본 연구의 세부 주제에 따라 연구자가 심층적으로 고찰한 내용을 차례로 제시한다. 먼저 기능 중심 과학탐구의 초석이 되었던 SAPA를 중심으로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기능 중심 접근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비판을 기능 중심 과학 탐구의 특징들 각각에 대하여 정리하여 기능 중심 접근의 제한점을 알아본다.
  • 본 연구는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이 지니는 특징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과학적 실천을 강조하는 새로운 접근의 의미를 시험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이론 연구로서, 관련 주제에 대한문헌 자료를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과학 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접근은 과학의 내용을 그것을 생산하는 데 동원되는 기능들과 함께 가르치고자 한 것으로서, 과학자들의 탐구 활동을 학교 과학 교육에 접목하려는 초기의 시도라고 할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과학 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실천의 의미를 시험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들을 수집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세부 주제에 따라 정리하였다.
  • 하지만, 앞으로 본 논문에서 살펴보게 되는 것과 같이, 그동안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NGSS에서 제시한 실천의 의미를 철학적이고 교육학적으로 논의하는 학자들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능을 강조하여 과학의 탐구를 가르치려는 방식이 어떤 특징이 있으며, 이에 대해 어떤 비판적인 목소리가 있어 왔는지 논의하고, 최근 과학 교육 분야에 새로운 주제어로 등장한 과학적 실천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를 시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의 역사, 과학 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의 접근, 과학적 실천에 관한 문헌들을 고찰하여 그 내용을 세부 주제에 따라 정리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 아래에 제시하는 세 가지 주장은 공통적으로 과학에 대한 현대적인 철학적 입장에 토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이 과학탐구에 대한 기능 중심 접근의 제한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자들의 비판적인 견해를 앞서 제시한 SAPA의 세 가지 특징 각각에 대해 정리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탐구에 있어 과학적 실천은, 과거 SAPA와 비교해 어떤 특징을 지녔는가? 하지만 SAPA로 대표되는 기능 중심의 접근은 탐구 기능의 위계적인 관계와 전이성 또는 일반화 가능성을 주장하고 발견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과학에 대한 현대적인 철학적 관점에 비추어 비판을 받아 왔다. 이와는 달리 과학적 실천을 강조하는 최근의 입장에서는 과학적 실천을 총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실천의 전개양상이 내용이나 맥락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과학 수업에서도 학생의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고려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즉, 과학적 실천은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수 있으며, 따라서 과거 SAPA로부터 유래한 기능 중심의 접근에 대해 집중적이고 비판적으로 논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실천의 의미를 이해하고 학교 과학 교육에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APA는 무엇인가? 주지하다시피, SAPA는 스푸트니크 충격(Sputnik shock)3)에 따른 미국의 과학 및 수학 교육 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개발된 혁신적인 교육과정이다. SAPA의 개발은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Foundation, NSF)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미국과학진흥협의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의 과학교육위원회(Commission on Science Education)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NGSS에서 과학 탐구에 기존의 '기능' 이나 '과정' 대신 '실천'이란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그런데 NGSS 개발의 청사진을 제공하였던 ‘A framework for K-12science educa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에서는 이제까지 과학 교육 문헌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기능(skill)’이나 ‘과정(process)’이라는 용어 대신 ‘실천(practice)’이란 용어를 사용한 까닭에 대하여, “과학의 탐구에 임하는 데에는 그러한 실천에 특이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지식 또한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p. 30)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AAS Commission on Science Education (1961).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Science, 133, 2019-2024. 

  2. AAAS Commission on Science Education (1971). The AAAS project: Science-A Process Approach. In E. Victor & M. S. Lerner (Ed.), Reading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2nd ed., pp. 451-462).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67). Science-A Process Approach, Part A, Description of the program. New York: Xerox. 

  4. Ault, C. R. Jr. (2015). Challenging science standards.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5. Ault, C. R. Jr., & Dodick J. (2010). Tracking the footprints puzzle: The problematic persistence of science-as-process in teaching the nature and cul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94, 1092-1122. 

  6. Ausubel, D. P. (1964/1969). Som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limitations of learning by discovery. In H. O. Andersen (Ed.), Reading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secondary school (pp. 97-113). London, UK: The Macmillan Company. 

  7. Bredderman, T. (1983). Effects of activity-based elementary science on student outcomes: A quantitative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4), 499-518. 

  8. Bybee, R. W. (2011).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in K-12 classrooms: Understanding a framework for K-12 Education. Science Teacher, 78(9), 34-40. 

  9. Chang, H. (2014). Epistemic activities and systems of practice: Unit of analysis in philosophy of science after the practice turn. In L. Soler, S. Zwart, M. Lynch, & V. Israel-Jost (Eds), Science after the practice turn in the philosophy, history,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pp. 67-79). New York, NY: Routledge. 

  10. DeBoer, G. E. (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1. Erduran, S. (2015). Introduction to the focus on scientific practices. Science Education, 99(6), 1023-1025. 

  12. Erduran, S., & Dagher, Z. R. (2014). Reconceptualizing the nature of science for science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Netherlands. 

  13. Fields, D. (1996). The impact of Gagne's theories on practices. In Proceedings of Select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esentations at the 1996 Nation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7 794) 

  14. Finley, F. N. (1983). Science proce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 47-54. 

  15. Ford, M. (2008). 'Grasp of practice' as a reasoning resource for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understanding. Science & Education, 17, 147-177. 

  16. Ford, M. (2015).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hoosing "practice" to describe science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Science Education, 99(6), 1041-1048. 

  17. Ford, M. J., & Forman, E. A. (2006). Redefining disciplinary learning in classroom context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30, 1-32. 

  18. Furtak, E. M., & Penuel, W. R. (2019). Coming to terms: Addressing the persistence of "hands-on" and other reform terminology in the era of science as practice. Science Education, 103(1), 167-186. 

  19. Gagne, R. M. (1965). Psychological issues in Science-A Process Approach. AAAS Commission on Science Education (Ed.), The psychological bases of Science-A Process Approach (pp. 1-8). Washington, D.C.: The Commission. 

  20. Gagne, R. M. (1966a). Elementary science: A new scheme of instruction. Science, 151(3706), 49-53. 

  21. Gagne, R. M. (1966b). Varieties of learning and the concept of discovery. In L. S. Shulman & E. R. Keislar (Eds.), Learning by discovery: A critical appraisal (pp. 135-150). Chicago, IL: Rand McNally. 

  22. Gagne, R. M. (1973). Learning and instructional sequence. In F. N. Kerlinger (Ed.),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pp. 3-33). Itasca, IL: Peacock. 

  23. Gray, R. (2014). The distinc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historical sciences as a framework for improving classroom inquiry. Science Education, 98(2), 327-341. 

  24. Ha, H., & Kim, H.-B. (2017). Exploring responsive teaching's effect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in small group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63-75. 

  25. Heo, J., & Lee, K. (2018). A proposal of curriculum and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by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3), 260-273. 

  26. Hodson, D. (1986). Rethinking the role and status of observation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8(4), 381-396. 

  27. Hodson, D. (1996). Laboratory work as scientific method: Three decades of confusion and distor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8(2), 115-135. 

  28. Hodson, D. (1998). Science fiction: The continuing mispresentation of science in the school curriculum. Curriculum Studies, 6(2), 191-216. 

  29. Irzik, G., & Nola, R. (2011). A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20, 591-607. 

  30. Irzik, G., & Nola, R. (2014). New directions for nature of science research. In M. R. Matthews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pp. 999-1021).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31. Kim, Y.-C. (2016).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 (3rd ed.). Paju: Academy Press. 

  32. Kirschner, P. A. (1992). Epistemology, practical work and academic skills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 273-299. 

  33. Kirschner, P. A., Sweller, J., & Clark, R. E. (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75-86. 

  34. Livermore, A. H. (1966). AAAS Commission on science education: Elementary science program.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43, 270-272. 

  35. Millar, R. (1989). What is 'scientific method' and can it be taught? In J. Wellington (Ed.), Skills and processes in science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pp. 47-62). London, UK: Routledge. 

  36. Millar, R. (1991). A means to an end: The role of processes in science education. In B. E. Woolnough (Ed.), Practical science: The role and reality of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43-52). Milton Keynes, UK: Open University Press. 

  37. Millar, R. (1998). Rhetoric and reality: What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is really for.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16-31) London, UK: Routledge. 

  38. Millar, R., & Driver, R. (1987). Beyond processe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4, 33-62. 

  39.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1. Norris, S. P. (1985). The philosophical basis of observation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9), 817-833. 

  42. Oh, P. S. (2015). A theoretical review and trial application of the 'resources-based view' (RBV) as an alternative cognitive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71-984. 

  43. Oh, P. S. (2018). An exploratory study of the ‘method of multiple working hypotheses' as a method of earth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5), 501-515. 

  44. Oh, P. S. (2019). Features of modeling-based abductive reasoning as a disciplinary practice of inquiry in earth science: Cases of novice students solving a geological problem. Science & Education, 28, 731-757. 

  45. Oh, J., & Oh, P. S. (2017). An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sponsive teaching' (RT) i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3), 227-245. 

  46. Osborne, J. (1998). Science education without a laboratory?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156-175). London, UK: Routledge. 

  47. Osborne, J. (2014). Teaching scientific practices: Meeting the challenge of chang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5, 177-196. 

  48. Rouse, J. (1996). Engaging science: How to understanding its practices philosophicall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49. Sanderson, B. A., & Kratochvil, D. W. (1971). Science-A Process Approach, product development report no. 8. Washington, D.C.: Office of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64 066) 

  50. Sears, P. B., & Kessen, W. (1964). Statement of purposes and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in schoo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 3-6. 

  51. Soler, L., Zwart, S., Lynch, M., & Israel-Jost, V. (2014). Science after the practice turn in the philosophy, history,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New York, NY: Routledge. 

  52. Stroupe, D. (2015). Describing "science practice" in learning setting. Science Education, 99(6), 1033-1040. 

  53.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2). High school curriculum (I).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54.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4). Science 3-1. Seoul: Mirae-N. 

  55.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curriculum. Sejong: The Ministry of Education. 

  56.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8a). Science 3-1 teachers' guide. Seoul: Visang. 

  57.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8b). Science 3-1. Seoul: Visang. 

  58. Wellington, J. J. (1981). ‘What's supposed to happen, sir?' Some problems with discovery learning. School Science Review, 63(222), 167-173. 

  59. Wellington,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Time for a re-appraisal. In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3-15). London, UK: Routledge. 

  60. Wideen, M. F. (1975). Comparison of student outcomes for Science-A Process approach and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for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classes: A product evalu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2(1), 31-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