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진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Career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1, 2020년, pp.96 - 106  

이아라 (건양대학교병원 건강검진센터) ,  이혜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career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7 Korean students studying in undergraduate, graduate,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내 유학중인 한국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진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유학생의 우울예방 및 관리를 포함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성인기 유학생의 어려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초기 성인기의 주된 발달과업은 직업선택 및 취득, 가정 및가족 만들기, 대인관계의 확장 및 성숙 등이다[1]. 이러한 초기성인기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유학생은 학업을 목적으로 자신의 나라를 떠나 외국에 나가 공부하는 학생으로 낯선 환경에 적응하면서 대인관계의 어려움,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 학업 및 진로문제 등으로 인해 국내학생 보다 다양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2-4], 특히 유학생이 겪을 수 있는 여러 건강문제 중 하나가 우울이다[3,5].
유학생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학생의 우울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문화적응 스트레스는[3], 새로운 문화 환경으로 이동할 때,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를 의미하며[9], 유학생은 문화적 충격, 언어문제, 향수병, 차별감 인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식할 때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더욱 겪게 되며[3,10], 낮은 수준의 정신건강 상태, 높은 신체화, 소외감, 정체성 혼란 등 일련의 스트레스 행동들을 동반한다[8]. 특히 유학생은 본국을 떠나 이질적인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익숙한 환경을 떠나는 상실의 경험을 하며, 갑작스럽고 과다한 변화와 자신의 지지체계를 잃은 상실감이 개인의 적응 능력에 과중한 부담을 주어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이처럼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면서 나타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신체적·심리적 불편감, 학업 및 일상생활과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우울을 야기하는 것으로[5,9,11,12]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파악하는 것은 우울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다.
초기 성인기의 주된 발달과업은 초기 성인기의 주된 발달과업은 직업선택 및 취득, 가정 및가족 만들기, 대인관계의 확장 및 성숙 등이다[1]. 이러한 초기성인기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유학생은 학업을 목적으로 자신의 나라를 떠나 외국에 나가 공부하는 학생으로 낯선 환경에 적응하면서 대인관계의 어려움, 대학생활 적응의 어려움, 학업 및 진로문제 등으로 인해 국내학생 보다 다양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2-4], 특히 유학생이 겪을 수 있는 여러 건강문제 중 하나가 우울이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ourney across the life span-Human development and health promotion Polan 431 2014 4 

  2.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ents Forbes-Mewett 6 3 661 2016 10.32674/jis.v6i3.348 

  3.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Lee 23 4 366 2012 10.12799/jkachn.2012.23.4.366 

  4.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Kyung 34 399 2010 

  5.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Zhao 19 3 141 2018 10.15703/kjc.19.3.201806.141 

  6. Medical Care Eisenberg 45 7 594 2007 10.1097/MLR.0b013e31803bb4c1 

  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Park 23 1 111 2017 10.4094/chnr.2017.23.1.111 

  8. The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Berry 21 3 491 1987 10.1177/019791838702100303 

  9. Ma SU. A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early international Korean students in Chin [master's thesis]. Seoul:Myongji University; 2009. 

  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Lee 7 3 129 2012 10.21097/ksw.2022.8.17.3.129 

  11.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Yoo 19 3 320 2013 10.5977/jkasne.2013.19.3.320 

  12.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Lee 12 1 1 2019 10.14328/MES.2019.3.31.1 

  13.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Jeong 16 7 63 2016 10.5392/JKCA.2016.16.07.063 

  14.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Kim 19 11 69 2012 10.1353/jks.2012.0011 

  15. Park HR. Predi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via career stress and use of coping strategies [master's thesis]. Seoul:Korea University; 2009. 

  16.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East Asian Studies Sogang University Kim 38 1 41 2019 

  17.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Park 10 1 417 2009 10.15703/kjc.10.1.200903.417 

  18. Institute for Educational Research Yonsei University Lee 9 157 1996 

  19.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ersity; 1985. 

  20.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Park 18 6 209 2017 

  21.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Ra 23 2 285 2017 10.24159/joec.2017.23.2.285 

  22.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Lee 21 3 511 2015 10.20406/kjcs.2015.08.21.3.511 

  23.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im 20 2 67 2014 

  24. Ministry of Education. 2017's Overseas higher education Korean students of circumstance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7. cited 2018 November 5. Available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50&boardSeq=75728&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9&opType=N 

  25. Psychological Reports Sandhu 75 1 Pt 2 435 1994 10.2466/pr0.1994.75.1.435 

  26.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Radloff 1 3 385 1977 10.1177/014662167700100306 

  27.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Chon 6 1 59 2001 

  28.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Yoo 40 4 259 2012 

  29.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Firuza 8 4 517 2018 

  30.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Park 25 5 549 2013 10.7475/kjan.2013.25.5.5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