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20 no.1, 2020년, pp.25 - 32
임동선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신은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장항배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In the midst of the rising need for Industrial Security expert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ith regards to industrial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The NCS standardizes university-level academic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systems and connects them with 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직무란 무엇인가? | 직무는 “직책이나 직업상에서 책임을 지고 담당하여 맡은 사무”(표준국어대사전)로 “과업(tasks) 및 작업의 종류와 수준이 비슷한 업무들의 집합으로 특히 직책이나 직업상 책임을 갖고 담당하여 맡은 일”(HRD용어사전)로 정의된다. | |
NCS체계에서 직무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NCS체계에서 직무는 세분류로 편성되고, 직무 상위수준에서는 한국고용직업분류, 한국직업분류, 한국 표준산업분류를 기준하여 편성된 대-중-소분류, 직무 하위수준에서는 능력단위(과업, 모듈)-능력단위요소수행준거 및 관련 지식·기술·태도로 구성된다[3][8]. | |
NCS개발 결과가 해당 산업현장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 개발기관 선정 기준 및 개발기관의 개발단계 모두 정해진 지침을 준수하여야 하고, 전문가의 직무개발 후에도 산업체나 심 의회 등 여러 단계의 검증단계를 거치긴 하지만, 적정한 개발기관 선정의 문제, 적절한 12인의 구성 및 합의수준 등의 문제로 NCS개발 결과가 해당 산업현장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위험성도 존재한다[9]. 이러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관부처, 학계, 산업 계 등의 관련된 조사 및 연구가 충분히 선행되고 합의되는 과정들이 있어야 하며, 여기에는 관련 분야의 직 무분석, 직업분류나 산업영역의 정의 및 분류, 커리큘럼, 자격제도 등의 연구가 포함되어야 한다. |
김상호, 박종성, 김상진, '자격의 경제적 효과(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장봉기, 양해술,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눈문지, 제12권, 제12호, pp. 5420-5429, 2011.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개발 매뉴얼', 2019.
서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내용에 관한 타당성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0호, pp. 313-326, 2015.
김건휘, 하헌후, 우이식, "숙박서비스분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적용 소개", 관광연구, 제30권, 제3호, pp. 1-20, 2015.
김진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기준 운영실태 분석 및 연계방안 연구, 직업과 자격 연구, 제8권, 제2호, pp. 1-19, 2019.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 2019.10 검색.
이기영,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현황의 분석과 논의",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7권, pp. 135-168, 2014.
서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7호, pp. 203-216, 2014.
이창무, "산업보안 개념의 비판적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50호, pp. 285-303, 2017.
박상호,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업보안 전문인력 요구직무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나원철, 이효직, 성소영, 장항배, "미래 융합보안 인력양성을 위한 보안교육과정 분류체계설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47-59, 2015.
김자원, 전민서, 박상호, "산업보안 현장 전문인력을 고려한 요구역량 분석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지, 제6권, 제2호, pp. 7-27, 2016.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보안관리사 및 산업보안우수기관 인증제도 연구', 2019.
박준석, "산업보안 분야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제9권, 제1호, pp. 141-163, 2019.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학', 박영사, 2019.
켄트주립대 산업보안학과 홈페이지, , 2019.9검색.
아우스부르크 응용과학대학 산업보안 석사과정 홈페이지, , 2019.9검색.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홈페이지, , 2019.9검색
산업보안실무위원회, 'ISE 국가공인 산업보안관리사', 케듀아이, 2019.
최선태, "산업보안 전문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4호, pp. 221-255, 2010.
정진영, 박지영, "산업보안 교육기관 구축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과정 개발", 한국산업보안연구, 제6권, 제2호, pp. 81-109, 2016.
ASIS, 'Borad Certification Handbook', 2019.
NCMS ISP Committee, 'Industrial Security Professional Certification Program Manual: ISP-2004', ver2.7, 2019.
주일엽, "경호경비 관련인력 수급실태 분석 : 고용노동부의 직업분류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 45, pp. 191-220, 201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