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 적용 전 시행된 연부조직가동술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가동범위, 근 조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The Immediate Effect of Soft Tissue Mobilization Before Mobilization with Movement on the Ankle Range of Motion, Muscle Tissue, Balanc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6 no.1, 2020년, pp.37 - 46  

장우석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서울시회) ,  최순호 (서울 석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oft Tissue Mobilization (STM) before Mobilization with Movement (MWM) on ankle ROM, pennation angle, bal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2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 experimen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WM 적용 전 시행된 IASTM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가동범위, 근조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확인하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2명을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 가동술 적용 전 도구를 이용한 IASTM이 적용된 실험군 11명과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만 중재된 대조군 11명으로 실시되었으며,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 적용 전 시행된 IASTM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가동범위, 근 조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고 중재 적용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 적용 전 시행된 IASTM이 뇌졸중 환자의 족관절 가동범위, 근조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확인하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만 적용된 대조군에서는 중재 전과 후에서 족관절 배측 굴곡 가동범위, 비복근의 우상각, 균형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족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든 대상자에게 수동적 족관절 배측굴곡 가동범위를 각도 측정기(Goniometer, Sammons Preston, USA)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측정은 대상자가 매트에 누운 자세에서 관절각도계의 고정팔은 경골에 평행을 이루고, 운동 팔은 발뒤꿈치 외측과 5번째 중족골두(metatarsal head)와 연결된 선에 평행을 이루게 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경색 또는 뇌출혈로 인한 뇌 기능이 손상되면서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 사망 원인이며(Mishra와 Khadilkar, 2010), 우리 나라에서도 사망률이 인구 10만명 당 44.7명으로 악성 신생물, 심장질환 그리고 폐렴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는 질환이다(Statistics Korea, 2018).
연부 조직가동술로 인한 효과는 무엇인가? 도구를 이용하는 IASTM은 피부를 긁어서 치료하는 중재법으로 중국의 괄사요법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Braun 등, 2011). 관절가동위의 제한된 부위에 적용하면 근 긴장도를 감소시킴으로 관절가동범 위를 증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Vardiman 등, 2015). 또한,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도구를 이용한 IASTM의 중재 방법이 자가근막이완술 보다 더 효과적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하였다(Kim 등, 2014).
뇌졸중 후 발현되는 족관절 기능 저하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은 무엇인가? 뇌졸중 후 발현되는 족관절 기능 저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능적 전기 자극 훈련(Hwang 등, 2015), 고유 수용성 조절 훈련(Park 등, 2013), 족관절 근력 훈련(Kim 등, 2013), 관절가동술(Kluding과 Santos, 2008), 체중부하를 동반한 관절가동술(Kim과 Lee, 2016) 등이 물리치료사에 의해 중재방법의 하나로 선택되어 왔다. 많은 중재방법 중에서 관절가동술은 제한된 관절움직임을 회복시키고자 선택된 중재 방법으로써 관절의 가동범위를 증진 시키는 것으로 대부분 근골격계 문제를 가진 환자들에게 적용되어 왔다(Green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 CM. Effects of Ankle Joint Mobilization with Movement and Weight-Bearing Exercise on Lower Extremities Muscle Strength, Range of Motion, Postural Control, and Gait in Stroke Patients. Jeonju University. Master Thesis. 2013. 

  2. An CM, Jo SO. Effects of talocrural mobilization with movement on ankle strength, mobility, and weight-bear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Stroke Cerebrovasc Dis, 2017;26(1):169-176.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6.09.005. 

  3. Bayliss AJ, Klene FJ, Gundeck EL, et 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post-natal chronic calf pain utilizing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A case study. J Man Mani Ther. 2011;19(3):127-134. https://doi.org/10.1179/2042618611Y.0000000006. 

  4. Braun M, Schwickert M, Nielsen A, et al.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chinese "gua sha"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ain Med. 2011;12(3):362-369. https://doi.org/10.1111/j.1526-4637.2011.01053.x. 

  5. Burke J, Buchberger DJ, Carey-Loghmani Mt, et al. A pilot study comparing two manu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7;30(1):50-61. 

  6. Burridge JH, Taylor PN, Hagan SA, et al. The effects of common peroneal stimulation on the effort and speed of walk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chronic hemiplegic patients. Clin Rehabil. 1997;11(3):201-210. https://doi.org/10.1177/026921559701100303. 

  7. Cho KH, Lee HJ, Lee WH. Reliability of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for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in post stroke patients. Clin Physiol Funct Imaging. 2014;34(1):26-31. https://doi.org/10.1111/cpf.12060. 

  8. Choi YJ, Sim HP, Lee JY. The pilot study on the immediate effects of graston technique for lower extremity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walking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Korean J Orthop Manu Ther. 2019;25(1):21-27. 

  9. Christopoulos D, Nicolaides A, Cook A, et al. Pathogenesis of venous ulceration in relation to the calf muscle pup function. Surgery. 1989;106(5):829-835. https://doi.org/10.5555/uri:pii:0039606089901517. 

  10. Donald A, Neumann, D.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s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Mosby. 2002. 

  11. Fowler S, Wilson JK, Sevier TL. Innovative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Work. 2000;15(1):9-14. 

  12. Fukunaga T, Kawakami Y, Kuno S, et al. Muscle architecture and function in humans. J. Biomech. 1997;30(5):457-463. https://doi.org/10.1016/S0021-9290(96)00171-6. 

  13.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2001;81(4):995-1005. https://doi.org/10.1093/ptj/81.4.995. 

  14. Green, T, Refshauge, K, Crosbie, J,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passive accessory joint mobilization on acute ankle inversion sprains. Phys Ther. 2001;81(4): 984-994. https://doi.org/10.1093/ptj/81.4.984. 

  15. Hoppenfeld S. Physical Examination Of The Spine And Extremity. Yeongmunsa. Seoul. 2009;91-125. 

  16. Hwang DY, Lee HJ, Lee GC,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tilt sens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improving balance, gait, and muscle architecture of tibialis anterior of survivor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echnol Health Care. 2015;23(4):443-452. https://10.3233/THC-150903. 

  17. Jang MH,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on Ankle joint ROM, Plantar Pressure and Balance in Elderly Diabetic. Sahmyook University. Master Thesis. 2016. 

  18. Jang WS. Effects of Weight-Bearing Mobilization with Movement, with Task-Oriented Training on Range of Motion, Muscle Structure, Balance and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Sahmyook University. Master Thesis. 2019. 

  19. Kim DH, Kim TH, Jung DY, et al. Effects of the graston technique and self-myofascial release on the range of motion of a knee joint. J Korean Soc Phys Med. 2014;9(4)455-463. https://doi.org/10.13066/kspm.2014.9.4.455. 

  20. Kim TH, Yoon JS, Lee JH. The effect of ankle joint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and static muscle stretching training on stroke patients' COP sway amplitude. J Phys Ther Sci. 2013;2(12),1613-1616. https://10.1589/jpts.25.1613. 

  21. Kim SL, Lee BH. Effect of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technique on gai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016;28(8):2326-2329. https://doi.org/10.1589/jpts.28.2326. 

  22. Kluding, PM, Santos, M. Effects of ankle joint mobilization in adults poststroke: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8;89(3):449-456. https://doi.org/10.1016/j.apmr.2007.12.005. 

  23. Lee HJ, Kim MK, Ha HG, et al. Comparison of muscle architecture of lower extremity using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in young adults: A comparative study of muscle cross-sectional area of lower extremity of seoul and hanoi in vietnam.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5):324-330. 

  24. Lee JJ, Lee JJ, Kim DH, et al. Inhibitory effects of instrument-assisted neuromobilization on hyperactive gastrocnemius in a hemiparetic stroke patient. Biomed Mater Eng. 2014;24(6):2389-2394. http://dx.doi.10.3233/BME-141052 

  25. Lee JH, Lee JH, Min DK, et al. Effect of the instrument 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and static stretching on the range of motion and plantar foot pressure of an ankle joint. Korean J Orthop Manu Ther. 2017;23(2):27-32. 

  26. Lee WH, Cho KH, Lee KS, et al. Medial Gastrocnemius Ultrasound Imaging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ver time. JKAIS. 2012;13(6):2632-2640. http://dx.doi.org/10.5762/KAIS.2012.13.6.2632. 

  27. Mercier C, Bourbonnais D. Relative shoulder flexor and Hand grip strength is related to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4;18(2):215-221.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24oa. 

  28. Mishra NK, Khadilkar SV. Stroke Programme of India. Ann Indian Acad Neurol 2010;13:28-32. 

  29. Mulligan, B. Mobilisation with movement (MWM's). JMMT. 1993;1(4):154-156. https://doi.org/10.1179/jmt.1993.1.4.154. 

  30.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Fifth Edition. 2006. 

  31. Park YH, Kim YM, Lee BH. An ankle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improves balance,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013;25(10):1321-1324. https://doi.org/10.1589/jpts.25.1321. 

  32. Podsiadlo D, Richardson A.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1.tb01616.x. 

  33.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1236. https://doi.org/10.1016/S0003-9993(97)90337-3. 

  34. Srivastava A, Taly AB, Gupta A, et al.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009;287(1-2):89-93. https://doi.org/10.1016/j.jns.2009.08.051. 

  35.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8.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7606. 

  36. Vardiman J, Siedlik J, Herda T, et al.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Effects on the properties of human plantar flexors. Int J Sports Med. 2015;36(03):197-203. https://10.1055/s-0034-1384543. 

  37. Vicenzino B, Branjerdporn M, Teys P, et al. Initial changes in posterior talar glide and dorsiflexion of the ankle after mobilization with movement in individuals with recurrent ankle spr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7):464-471. https://10.2519/jospt.2006.226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