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NS의 사회적자본이 건강정보 활용수준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력
Structural Influence of SNS Social Capital on SNS Health Information Utilization Level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4 no.2, 2020년, pp.1 - 14  

박재성 (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부) ,  김경나 (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fitness of the structured model of SNS activities for health information. Methods :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500 subjec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collected data. Results : The response rate was 73.9%.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NS 이용자들의 사회적자본인 참여자의 중개적 사회자본과 유대적 사회자본 즉, 약한 유대관계(weak tie)와 강한 유대관계(strong tie)가 SNS 건강정보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SNS정보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GFI(Goodness-of-Fit Index) = .
  • 이 연구는 SNS를 통한 정보의 교류가 사회적 자본을 형성한다[11][14]는 것에 기초한다. SNS에서 건강과 관련된 정보의 상호작용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NS 정보특성 중에서 공유정보의 질, 정보의 신뢰성 그리고 정보의 최신성이 SNS 건강 정보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SNS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73.
  • 이러한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면 형성된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상호작용도 증가하며 이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22]. 네트웍의 참여자의 상호작용을 중개적 사회자본(bridging social capital)과 유대적 사회자본(bonding social capital)으로 분류하고 전자를 약한 유대관계(weak tie)로 후자를 강한 유대관계(strong tie)로 정의하고[15]이 두 내생변수가 SNS 정보특성을 매개하여 최종적인 변수인 SNS 건강정보 활용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기본적으로 정보 및 경험의 상호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인간관계와 상호작용 속에서 생성되고 축적되는 정보와 경험의 과정을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개념으로 이해하고[11] 이러한 사회적 자본에서 특히 건강과 관련된 정보의 공유에 있어 그 정보의 사용수준을 결정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SNS의 보건의료적 활용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연구 목적은 SNS에서 이루어지는 건강증진관련 활동의 수준을 각 영역별로 파악하고, 이러한 영역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변이를 파악하고자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며, 두 번째 목적은 건강증진을 위한 SNS 정보 활용수준과 SNS 정보의 특성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는 의료서비스제공 주체나 공공건강증진 담당 부서에서 SNS를 활용한 정보교환 및 커뮤니티의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SNS 건강정보의 활용에 사회적 자본으로 정의된 중개적 사회자본 즉 느슨한 형태의 상호관계와 유대적 사회자본인 친밀도가 형성된 상호관계가 SNS정보의 특성을 중간 매개변수로 어떻게 구조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구조적 관계의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SNS 건강정보의 활용도에서 12개의 건강관련 분야에서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이용행태는 일반적인 정보시스템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 또한 SNS정보의 특성은 정보 제공성, 생생함, 유용성, 신뢰성 그리고 유희성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요인들이 특정 정보와 관련된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12][13].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SNS정보의 특성들이 건강과 관련된 정보의 상호교류에서 어떤 상호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정보 및 경험의 상호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인간관계와 상호작용 속에서 생성되고 축적되는 정보와 경험의 과정을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개념으로 이해하고[11] 이러한 사회적 자본에서 특히 건강과 관련된 정보의 공유에 있어 그 정보의 사용수준을 결정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SNS의 보건의료적 활용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중개적 사회자본이 SNS 건강정보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때는 영향력이 없었고 전체 모형의 적합도도 심각하게 회손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개적 사회적 자본은 유대적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여 검증하였다. 느슨한 형태의 관계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시작점이라고 할 때 중개적 관계가 유대적 관계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SNS 정보의 형태는 테스트, 사진, 동영상, 댓글 등의 형태 제공되기 때문에 제공된 정보의 질적인 측면이 강조될 수 밖에 없다[11]. 이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공유정보의 질은 네트워크를 구성한 구성원간의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상호교류의 결과물[18]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유되는 정보의 질적 수준도 높아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된 신뢰성과 구성원이 필요한 정보의 최신성을 확보한다면 SNS의 참여자들이 상호 추구하는 목표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K. Goo(2019), The Effect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SNS on SNS Fatigue and Discontinuance Intention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Vol.10(4):177-197. 

  2.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5), 2015 Internet and over usages stud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pp.62-67. 

  3. I.S. Lee, S.Y. Cho(2012),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5); 2623-2633. 

  4. H.J. Soon(2013), a Comparison study of current SNS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The HRD Review, Vol.16(6);136-151. 

  5. K. Yoon, M.J. Seo(2013), Persuasive Power of SNS Ad and Publicity and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Two :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4(5);227-240. 

  6. M.H. Lee, H.J. Kim(2011), A Study on the Medical Information Search System Using SNS for Smart-phone,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pp.438-439. 

  7. Y.J. Son, S.E. Kyeung(2012),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9(1);6-15. 

  8. M.G Lee, S.T. Ahn(2016), Intention to Use SNS Public Health Information among the Middle Aged :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108;87-122. 

  9. J. Kim, H. Hong(2015), Impacts of message framing and perceived risk of Facebook health-promoting messages on persuasion and eWOM, Journal of Public Relations, Vol.19(1);183-214. 

  10. H.J. Song(2011), A Study on SNS addiction using smart phones,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Vol.1(2);31-49. 

  11. H.J. Lee(2013),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Attributes on Interaction and e-WOM in Social Network Services, Korea Marketing Review, Vol.28(2);109-133. 

  12. C. S. Lee, H.B. Lee, S.M. Lee, J.H Kim(2013), The Effect of WOM'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WOM Adoption in the Online Shopping Context: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and Usefulness, JDMR, Vol.16(3);59-75. 

  13. M. Sagong, S.H. Jung, J.S. Park, K.W. Cho(2014), The Effects of SNS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Hospital Selection and Satisfaction Degre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1);15-25. 

  14. K.S. Jang, E.A. Kim, S.H.Oh(2011),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Hospital Organization -Focusing on Effects of Intellectu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7(1); 22-32. 

  15. J.S. Coleman(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S1);95-120. 

  16. Y.C. Lee(2007), Soci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6(4);223-241. 

  17. H.J. Lee(2013),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Attributes on Interaction and e-WOM in Social Network Services, J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Vol.28(2);109-133. 

  18. D.S. Kwak, J.H. Kwon, K.H. Yim(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Application Information Offering on Application Preference and Repurchase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frequency of util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11);113-121. 

  19. D.L. Goodhue, R.L. Thompson(1995), Task-technology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MIS Quarterly, Vol.19(2);213-236. 

  20. T. Erdem, J. Swait(2004), Brand credibility, brand consideration, and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1(1);191-198. 

  21.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2018), Health Plan 2020, Evaluative Report of the 3rd health plan, pp.50-51. 

  22. J.F. Helliwell, D.Putnam(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 of the Royal Society, Vol.359(1449);1435-1446. 

  23. S.H. Park(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piritual well-being on the sociality of youth PDF icon,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Vol.12(4);59-68. 

  24. S.J. Kim(2012),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J of the Korean biblia soci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3(4);239-260. 

  25. C.R. Pool(1997), A new digital literacy a conversation with Paul Gilster, Educational Leadership, Vol.55;6-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