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도시지역 주민의 음주행태와 절주동기, 문제음주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Drinking Behaviors, Sober Motivation, and Drinking Problems of Citizens living in an Urban Area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4 no.2, 2020년, pp.79 - 91  

이효영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임혁 (동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혜숙 (대구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 ,  김민정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gional difference among drinking behaviors, sober motivation, and drinking problem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600 citizens living in two regions, Busan.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o confir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에서 개인의 음주행태와 절주동기가 문제음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지역사회 내 문제음주를 감소시키고 공중보건의 관점에서 절주를 통한 건강증진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문제음주의 주요 유발요인이라 할 수 있는 음주행태, 절주동기, 문제음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가 음주와 관련한 음주행태, 절주동기에 따라 어떤 지역적 차이를 보이는지를 고찰하여 보았다. 이는 향후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실증자료로서 중요한 의의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부 도시지역 주민들 간의 음주행태와 절주동기 그리고 문제음주 등 3가지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은 중재지역인 D구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사례와 대조지역인 N구 지역주민의 사례를 비교하기 위하여 설정한 경로모형이다.
  • 다음은 음주태도(drinking attitude)에 관한 측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도시지역 주민들이 음주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물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문문항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척도의 구성은 총 7문항으로서, 5점 리커트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하였다.
  •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평가하고 있으며, 먼저, 음주방식(drinking method)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도시지역 주민들이 주로 어떻게 술을 마시고 음주방식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한 척도의 구성은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의 평정은 3점 리커트 척도(전혀 없다=1 ~ 가끔 있다=2 ~ 자주 있다=3점)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들 간에 어떤 관계성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보았다. 그 결과, 문제음주와 상관관계 계수가 가장 높은 변수는 음주방식 변수(r=.
  • 마지막으로,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ing)에 관한 측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들이 얼마나 많은 지역의 모임에 소속되고 있거나 활동하고 있는지에 따라 음주행태가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그에 관한 내용을 조사에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관련한 설문문항은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S. Kim(2012), Management of Drinking Patients in Primary Care, Korean J Fam Pract, Vol.2(4);280-288. 

  2. J.I. Kim(2018), Comparison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St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8);183-192. 

  3.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2015). Available at http://www.karf.or.kr/information [accessed on 03 December 2015]. 

  4. H.G. Kim(2007), A Study on Motivation for Alcohol Use and Drinking Behavior of Employees by Social Pressur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16(2);197-204. 

  5. W.J. Chung, H.J. Chun, S.M. Lee(2006), Socioecnomic Cost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Vol.39(10);21-29. 

  6. S.J. Ko, Y.H. Jung(2018), Risk Analysis of Alcohol-attributable Illnesses due to High-Risk and Dangerous Drinking, Alcohol Health Behav Res, Vol.19(1);43-52. 

  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5th Year. from http://www.cdc.go.kr/ 

  8. Y.M. Ha, M.R. Jung(2015),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Korean Male Employees for Drinking Motivation, Job Stres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4(1);48-56. 

  9. H.D. Holder(1998), Alcohol and the Community: A System Approach to Preven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T. Barrientos-Gutierrez, D. Gimeno, T.W. Mangione, R.B. Harrist, B.C. Amick(2007), Drinking social norms and drinking behaviours: a multilevel analysis of 137 workgroups in 16 work sit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64(9);602-608. 

  11. K.H. Kang, K.S. Kim, S.I. Kim. K.H. Meng, H.S. Hong, C.H. Jeong(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job stress among firemen,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13(4);401-412. 

  12.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re(2018),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Guide:Prevention of alcohol abu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76. 

  13. H.Y. Lee, H. Im, H.S. Kim, M.J. Kim, J.S. Yoon(2020), Study of the Drinking Environment, Drinking Culture and Behavior for the Development of an Alcohol Intervention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4(1);177-194. 

  14. P.J. Gruenewald(2011), Regulating availability: How access to alcohol affects drinking and problems in youth and adults, Alcohol Research & Health, Vol.34(2);248-256. 

  15. R.A. Scribner, D.P. MacKinnon, J.H. Dwyer(1994), Alcohol outlet density and motor vehicle crashes in Los Angeles County citi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55(4);447-453. 

  16. J.K. Ma, M.S. Yoo(2017), Affecting Factors on Problematic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J Health Info Stat, Vol.42(1);77-88. 

  17. H. Aas, K.I. Klepp, J.C. Laberg, L.E. Aaro(1995), Predicting adolescents's intentions to drink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and self-efficacy, J Stud Alcohol Drugs, Vol.56(3);293-299. 

  18. H.I. Lee, C.N. Son(2009), The effects of motivational program on alcohol expectancy, abstinence self-efficacy, and problematic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Str Res, Vol.17(3);237-245. 

  19. I.S. Kim, M.H. Hyeon, J.M. Yoo(2001), Risk/vulnerability factors of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data mining answer tree and neural connection, Korea J Psychol, Vol.6(2);75-95. 

  20. K.H. Kang(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ailored motivational enhancement program for problem drink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1-100. 

  21. B.H. Cho, A.R. Son, M.H. Kim(2018), The Guideline for improving a drinking behavior related personal facto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Busan Metropolitan City(2016), Busan Metropolitan City Community Health Statistics, pp.15-30. 

  23. B.U. Lee, C.H. Lee, P.G. Lee, M.J. Nam(2000),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Korea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Vol.4(2);83-92. 

  24. J.S. Kim, M.K. Oh, B.K. Park, M.K. Lee, G.J. Kim(1999),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 in Korea, Korean J Fam Med, Vol.20(9);1152-1159. 

  25. J.P. Woo(2014),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rae, pp.442-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