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주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음주, 건강 및 식습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emperance Club Activities on Drinking, Health,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3, 2020년, pp.49 - 61  

이승림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절주동아리 활동 전·후 음주관련 요소, 건강관련 요소, 그리고 식습관을 조사하였다. 절주동아리에 참여한 9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한 번에 마시는 알코올 섭취량(p<.05)과 한 달 평균 음주지출 비용(p<.05)은 절주동아리 활동 전 절주동아리 활동 후에 유의적으로(p<.05) 낮게 나타났다. 음주 지식(p<.05), 건강관련요소 중 '건강에 대한 관심도(p<.05)'와 '건강상태(p<.05)' 그리고 '운동시간(p<.05)'는 절주동아리 활동 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에 대한 합계 점수는 (46.0 대 48.8, p<.01) 절주동아리 활동 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루에 세끼 모두 식사를 한다'(p<.01), '정크 푸드를 자주먹지 않는다', 그리고 '외식을 자주하지 않는다'(p<.05)로, 절주동아리 활동 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절주동아리 활동 후 음주, 건강, 그리고 식습관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related to drinking, health,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emperance club.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7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emperance club. Scores on 'daily amount of alcohol drinking(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W시 S대학교 절주동아리에 참여한 9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음주관련 요인, 음주 지식, 음주 문제 행동, 건강관련 요인, 그리고 식습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대상 절주동아리 활동이 음주관련요인과 건강관련요인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학생을 위한 절주관련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원 샷을 하지 않는다. 넷째, 폭탄주를 마시지 않는다. 다섯째, 음주 후 3일은 금주한다.
  • 술자리는 되도록 피한다. 둘째, 남에게 술을 강요하지 않는다. 셋째, 원 샷을 하지 않는다.
  • 둘째, 남에게 술을 강요하지 않는다. 셋째, 원 샷을 하지 않는다. 넷째, 폭탄주를 마시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주동아리는 어떤 모임인가? 대학생의 건강한 음주문화 정착 및 건전한 음주문화 조성을 위한 정부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대한보건협회에서 2005년부터 전국대학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가 절주동아리이다(The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2020). 이 동아리는 학생들이 과도한 음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통해 올바른 음주문화를 형성하고 널리 알리는 대학생들의 모임이다. 음주로 인한 대학생들의 사망 사건이 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지면서 과도한 음주를 자제하자는 주장이 대학가에서 일어나고 있다(Gyeongbuk Newspaper, 2018).
In의 연구에서 볼 때 대학생들이 음주를 하는 이유는? 각종사건, 사고를 초래하는 대학생들의 과음으로 인하여 다른 학생들이 영향을 받는 상황 또한 심각한 단계이다(Wechsler, Lee, Gledhill-Hoyt, & Nelson, 2001). 대학생들이 음주를 하는 이유는 친구들과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 In(2011)의 연구를 볼 때, 침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생들이 접하기 쉽고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잘못된 음주문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시기에 잘못 길들여진 음주습관은 성인과 노인기로 어어져 건강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Won & Lee, 2019).
대학생들의 올바른 음주문화 형성이 필요한 이유는? 이 시기에 잘못 길들여진 음주습관은 성인과 노인기로 어어져 건강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Won & Lee, 2019). 즉, 잘못된 음주습관으로 인해 많은 질병에 노출 될 가능성이 높으며 알코올 중독자나 의존자가 되어 건강하지 않은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올바른 음주문화 형성이 필요하다(Choi & Kim, 2012). 따라서 향후 대학생들의 건강한 음주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음주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 M. J., Kang, A. Y., Kim, Y. A., Kim, M. J., Kim, Y. L., Kim, H. W.,...Hwang, Y. Y. (2017). Comparison of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stress, and social support by grad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0(2), 113-123. 

  2. Bewick, B. W., Mulhern, B., Barkham, M., Trusler, K., Hilll, A, J., & Stiles W. B. (2008). Changes in undergraduate student alcohol consumption as they progress through university. BMC public Health, 8(1), 163. 

  3. Chae, B. S., & Kim, E. S. (1998). Drinking. In Naver encyclopedia.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67449&cid42413&categoryId42413 

  4. Choi, J., & Kim, S. M. (2012). A study on drinking problems and depression for drinking habits of th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3), 1138-1146. 

  5. Daegu university students frequent heavy drinking serious. (2018, November 18). Gyeongbuk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www.kbsm.net/default/index_view_page.php?idx224701&part_idx320 

  6. In, S. H. (2011). A study on the drinking behaviour and the prevention of drink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A case study of university a in Inchon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on, Korea. 

  7. Joo, J. (2009). Korean culture of heavy drinking and directions on policy related to alcoholism.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ic Welfare Administration, 19(1), 73-115. 

  8. Jung, M. H., Jeon, H, J., Kim, M, H., Kim, Y, M., & Lee, K, S. (2006). Web-based alcohol preventiv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of School Health, 19(2), 117-125. 

  9. Kang, J. E., Choi, J. H., Yeo, S. H., Jung, S. T., & Kim, M. H.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f drinking attitudes and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i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5(1), 19-27. 

  10. Kim, B. J., Kim, B. S., & Hang, J. H. (2012). Alcohol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man: A 3-year follow-up study. Circulation Journal, 76(10), 2363-2367. 

  11. Kim, H. K., Kim, J. H., & Jung, H. K. (2012).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5(4), 336-346. 

  12. Kim, H. Y., Kim, M., Lee, E. H., Kwon, E. J., & Cho, H. I. (2011). Intervention of "Drink Smarts" alcoho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5), 145-160. 

  13. Kim, J. I. (2018). Comparison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state of drink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8), 183-192. 

  14. Kim, K. 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2), 181-191. 

  15. Kim, K. K., Jung, J., Park, M. S., & Lee, J. G. (2011). Development and efficacy evaluation of web-based prevention program of alcohol-related problem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5), 131-143. 

  16. Kim, M. H., Jeong, E. S., Kim, E. J., Cho, H. K., Bae, Y. J., & Choi, M. K. (2011). Night eating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partial area of Chung Nam.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1(4), 563-576. 

  17. Kim, S. D. (2010). A Survey on the drinking culture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yeongbuk probinc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6(1), 17-30. 

  18. Kim, S. D., & Jeong, M. A. (2012). The effect on the knowledge, perception of drinking cultures, drinking problem of university students by cut down drinking circle activit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9), 4090-4097. 

  19.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8 (KNHANES VII-3). Retrieved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4.do 

  20.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Octobr 31). Practice temperance in your life like this is how you do it. Retrieved from https://www.khealth.or.kr/board/view?pageNum1&rowCnt8&no11&linkId24405&menuIdMENU00645&schType1&schText절주&boardStyleGallery&categoryId&continent&country&contents1 

  21.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0, March 27). Useful temperance glossary if you know it. Retrieved from ps://www.khealth.or.kr/board/view?pageNum1&rowCnt10&no1146&linkId1000584&menuIdMENU01181&schType0&schText&boardStyle&categoryId&continent&country&contents1 

  22. Kwak, H. K., Lee, M. K., & Kim, M. J. (2011). Comparisons of body image percepti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6), 672-682. 

  23. Lee, L. S., & Lee, S. H. (2015). Survey on health-related factor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2), 96-108. 

  24. Lee, S. H., & Lee, S. L. (2017). Survey on Drinking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Wonju A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6(5), 459-470. 

  25. Lee, Y. M., Cho, W. K., & Oh, Y. J. (2012). Comparison of Eating Behavior between Commensality and Solo-eating of University Students by BMI.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3), 280-289. 

  26. National Institute the Korean Language. (2020, August 20). Moderation in drink.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A0%88%EC%A3%BC 

  27. Oh, H. S. (2012). Alcohol consumption rates and the perception of drinking cluture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Wonju area. Journal of the Koran Society of Food Culture, 26(2), 101-112. 

  28. Park, H. O., Hyun, H. J., & Song, K. H. (2009). Th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physical education majors and non-majors of 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4), 363-373. 

  29. Shin, K. O., Choi, K. S., Han, K. S., & Choi, M. S. (2012).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food habits of 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drinking.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8(1), 73-83. 

  30. Son, E. R., & Ko, S, D. (2011). Drinking behavior and factors that affect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female high-school students. Alcohol and Health Behavior Research, 12(2), 155-162. 

  31. Song, J. Y. (2008). Preception of pattern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s on health-related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Korea. 

  32. The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n.d.). Temperance club. Retrieved from http://www.kpha.or.kr/club/sub/direction.php?p_mbs02-01-01. 

  33. Wechsler, H., Lee, J. E., Gledhill-Hoyt, J., & Nelson, T. F. (2001). Alcohol use and problems at college banning alcohol: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J of Studies on Alcohol, 62(2), 133-141. 

  34. Won, S. I., & Lee, S. L. (2019). Survey on the Lifestyle Factors, Food Habits and Dietary Nutrient Intake of College Students-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an Society of Food Culture, 34(1), 44-52. 

  35. Yeon, J. Y., Hong, S. H., & Bae, Y. J. (2012).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Body Imag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5), 543-554. 

  36. Yoon, M. S., Cho, H. J., & Choi, S. Y. (2009). Effects of intention for moderate drinking and drinking environment on problem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0(2), 35-5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