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놀이성에 대한 성격강점의 예측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Prediction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s on the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4, 2020년, pp.31 - 49  

탁정화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playfulness factors of young children and to predict the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of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Playfulness and character strength tests were adm...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기는 발달속도가 빠르며, 학습능력과 밀접한 성격특성이 강조되는 시기이므로(Steinberg, Vandell, & Bornstein, 2010) 유아의 긍정적 측면을 의미하는 강점, 자원, 가치가 유아의 어떠한 점을 예측하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9년 개정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의 놀이성에 주목하며,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의 조합에 의해 자연발생학적으로 형성된 군집을 확인한 뒤,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놀이성 하위요인의 특정 양상을 규명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연관성을 살피고,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두 변인간의 관련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 성격강점은 자신의 내면,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을 길러 인성교육에서 요구하는 성격강점, 긍정 정서, 사회관계, 인지적 지혜 등을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참된 삶의 모습을 강조하는 것이다(Shoshani & Slone,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관계를 살펴보며 유아 놀이성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강점의 예측요인을 이해하여 궁극적으로는 놀이성과 사회도덕적 가치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2019년 개정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의 놀이성에 주목하며,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의 조합에 의해 자연발생학적으로 형성된 군집을 확인한 뒤,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놀이성 하위요인의 특정 양상을 규명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연관성을 살피고,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두 변인간의 관련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처럼, 유아 놀이성의 유형을 구분하여 성격강점 간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유아 놀이성 발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관계를 살펴 궁극적으로 유아기 전인발달과 강점에 기반한 행복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9년 개정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의 놀이성에 주목하며, 유아의 놀이성 하위 요인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군집특성을 확인하고, 유아 놀이성 군집을 예측하는 성격강점에 대해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관계를 파악하고 유아 놀이성을 증진하기 위한 성격강점의 예측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실시하면 다음과 같다.
  • 예비조사를 통하여 연구도구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는데, 2018년 12월 15일부터 12월 25일까지 담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유아를 3명씩 관찰한 뒤, 놀이성과 성격강점 평정의 적절성, 문항의 해석가능성, 설문지응답시간 등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성격강점 평정기준에 대한 선행교육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고려하여 본조사를 실시하기 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본연구의 목적, 필요성에 대해 안내를 한 뒤, 놀이성과 성격강점 평정 기준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유아성격강점 관찰척도의 평정기준(관찰형, 단서형) 대한 교육을 30분정도 실시하였으며 관찰자 평정의 객관성유지를 위해 최소 1주일이상 유아를 심층적으로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행동을 평정하도록 하였다(평정자간 일치도 95.
  • 또한, 놀이성 하위요인의 특정 양상을 규명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연관성을 살피고, 유아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두 변인간의 관련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처럼, 유아 놀이성의 유형을 구분하여 성격강점 간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유아 놀이성 발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놀이성과 성격강점의 관계를 살펴 궁극적으로 유아기 전인발달과 강점에 기반한 행복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상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민정 (2015).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271-290. 

  2. 곽영순 (2015).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9(1), 93-111. doi:10.24231/rici.2015.19.1.93 

  3. 교육부?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서울: 교육부?보건복지부. 

  4. 권석만 (2009).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5. 권석만, 김지영, 하승수 (2012). 성격강점검사 청소년용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6. 권석만, 유성진, 임영진, 김지영 (2010). 성격강점검사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7. 김겸섭 (2008).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연구. 인문연구, 54, 147-190. 

  8. 김광수, 하요상, 김은향, 이경집, 한선녀, 양곤성(2015). 한국 아동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8(1), 1-25. 

  9. 김정운 (2006). 노는 만큼 성공한다. 서울: 21세기 북스. 

  10. 김지영 (2019). 연령대별 성격강점의 발달모형: 한국인의 연령집단에 따른 성격강점 비교 및 문화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4(3), 607-630. doi:10.17315/kjhp.2019.24.3.005 

  11. 나은숙 (2018). 유아의 자아개념 및 행복감이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3), 159-176. doi:10.22155/JFECE.25.3.159.176 

  12. 박화윤, 안라리 (2006). 만 3, 4, 5세 유아의 연령별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전략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4), 351-369. 

  13. 신현정 (2019). 강점 키우기를 통한 유아의 인성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어린이미디어 연구, 18(3), 161-186. doi:10.21183/kjcm.2019.09.18.3.161 

  14. 유영의 (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239-258. 

  15. 이경화 (201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정부 발행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담론 비판.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1-25. doi:10.30761/ecoece.2019.18.1.1 

  16. 이부미 (2001). 놀면서 자라고 살면서 배우는 아이들. 서울: 또하나의 문화. 

  17. 이승하 (2019). 유아 또래놀이에서 발견되는 사회도덕적 가치. 유아교육연구, 39(2), 437-457. doi:10.18023/kjece.2019.39.2.018 

  18. 이화도 (2016). 포스트모던 인문학적 사유와 유아교육. 서울: 창지사. 

  19. 임부연 (2015). 누리과정 미학을 만나다. 경기: 양서원. 

  20. 임부연 (2017).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혁신 연구, 27(4), 59-78. doi:10.21024/pnuedi.27.4.201712.59 

  21. 임부연, 손연주 (2019).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9(3), 265-287. doi:10.22251/jlcci.2019.19.3.265 

  22. 임부연, 유혜령, 류미향 (2012). 교사의 미적 안목 지원을 위한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Maxine Greene의 미학교육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55-76. doi:10.24211/tjkte.2012.29.1.55 

  23.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 (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44(2), 5-32. doi:10.22804/jke.2017.44.2.001 

  24. 정선아, 김희연 (2011).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의 개정방향-유치원의 고유성과 초등학교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유아교육연구, 31(1), 289-307. doi:10.18023/kjece.2011.31.1.014 

  25. 지성애, 김승희 (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111-127. 

  26. 최명선, 김지혜 (2006).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성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4), 103-116. 

  27. 최일선, 권정윤, 임수진 (201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내용 진술방식 분석: 사회관계영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9(4), 241-258. doi:10.18023/kjece.2019.39.4.010 

  28. 최지영, 박유영 (2012). 유아의 놀이특성과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6(3), 229-244. 

  29. 탁정화 (2017). 유아강점 군집에 따른 행복의 차이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309-331. doi:10.21183/kjcm.2017.09.16.3.309 

  30. 탁정화 (2019). 몰입이론에서 본 유아놀이-배움에 대한 소고. 유아교육연구, 39(2), 509-536. doi:10.18023/kjece.2019.39.2.021 

  31. 탁정화, 황해익 (2019). 유아강점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125-153. doi:10.30761/ecoece.2019.18.1.125 

  32. 허혜경 (2013).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효과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83-102. 

  33. 황해익, 제희선, 채혜경 (2019). 유아의 강점에 대한 의미탐색: 유아와 교사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867-890. 

  34. 황해익, 탁정화 (2016). IPA 기법을 통한 영유아 성격강점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연구. 유아교육연구, 36(6), 395-421. doi:10.18023/kjece.2016.36.6.017 

  35.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4), 319-336. 

  36. Ben-Shahar, T. (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McGraw-Hill Companies. 

  37. Biswas-Diener, R. (2010). Practicing positive psychology coaching: Assessment,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success. New York: Mulpure Publising. 

  38. Blikstein, P. (2013). Digital fabrication and 'making' in educa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In J. Walter-Herrmann & C. Buching (Eds.), FabLabs: Of machines, makers and inventors (pp. 173-180). Bielefeld, Germany: Transcript Publishers. 

  39. Boyer, W. A. R. (1997). Playfulness enhancement through classroom intervention for the 21st century. Childhood Education, 74(2), 90-96. doi:10.1080/00094056.1998.10521925 

  40. Brdar, I., & Kashdan, T. B. (2010).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in Croati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tructure and correlat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4(1), 151-154. doi:10.1016/j.jrp.2009.12.001 

  41. Bronfenbrenner, U. (1992).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인간발달 생태학(이영 옮김). 서울: 교육과학사(원판1979). 

  42.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 and 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4, 218-226. doi:10.1037/0003-066X.56.3.218 

  43. Gillham, J., Adams-Deutsch, Z., Werner, J., Reivich, K., Coulter-Heindl, V., Linkins, M., et al. (2011). Character strengths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during adolescenc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6(1), 31-44. doi:10.1080/17439760.2010.536773 

  44.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m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5. Halverson, E. R., & Sheridan, K.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495-504. doi:10.17763/haer.84.4.34j1g68140382063 

  46. Hooper, J. (2012). What children need to be happy, confident and successful: Step by step positive psychology to help children flourish.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47.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doi:10.1080/00221325.1965.10533661 

  48. Littman-Ovadia, H., & Lavy, S. (2012). Character strengths in Israel: hebrew adaptation of the VIA inventory of strength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8(1), 41-50. doi:10.1027/1015-5759/a000089 

  49. Lopez, S. J., & Snyder, C. R. (2003).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Washington, DC: APA. 

  50. Magyar-Moe, J. L. (2009). Therapist's guide to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mbridge, Massachusetts: Academic press. 

  51. Martinez-Marti, M. L., & Ruch, W. (2014).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across the life span: Data from a representative sample of German-speaking adults living in Switzerland. Frontiers in Psychology, 5, 1-10. doi:10.3389/fpsyg.2014.01253 

  52. McGrath, R. E. (2014). Character strengths in 75 nations: An update.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0(1), 41-52. doi:10.1080/17439760.2014.888580 

  53. Park, N., &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3), 323-341. 

  54.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03-619. doi:10.1521/jscp.23.5.603.50748 

  55.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6). Character strengths in fifity-four nation and fifty US states.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3), 118-129. doi:10.1080/17439760600619567 

  56.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7. Resnick, M. (2018). Lifelong kindergarten: Cultivating creativity through projects, passion, peers, and play. Boston, MA: The MIT Press. 

  58. Shoshani, A., & Slone, M. (2013). Middle school transition from the strengths perspective: Young adolescents' character strength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4(4), 1163-1181. doi:10.1007/s10902-012-9374-y 

  59. Singer, E. (2013). Play and playfulness, basic featur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1(2), 172-184. doi:10.1080/1350293x.2013.789198 

  60. Steinberg, L., Vandell, D. L., & Bornstein, M. H. (2010). Development: Infancy through adolescence. Toronto: Nelson Education. 

  6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Promoting mental health: 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62. Zhang, Y., & Chen, M. (2018). Character strengths, strengths use, future self-continu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rontiers in Psychology, 9, 1-14. doi:10.3389/fpsyg.2018.010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