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매개로 정서성이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on Play Behavior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4, 2021년, pp.73 - 91  

권기남 (오산대학교 아동보육과) ,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ity,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 in a sample of 218 4- to 5-year olds attending daycare centers. Methods: All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daycare teachers of the surveyed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49)

  1. 권연희 (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doi:10.18023/kjece.2012.32.2.002 

  2. 권희경 (2009).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91-410. 

  3. 김양은 (2014). 걸음마기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의 관계 : 어머니의 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85-102. 

  4. 도현심 (1994). Social competence of kindergartners and sixth graders: Its relationships to parental attention, parental protectiveness, the children's sex, and their birth category.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도현심 (1996).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33-45. 

  6. 서유진 (2005). 아동의 수줍음,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 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성미영 (2017).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또래놀이행동 간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적 역할: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3), 1-17. doi:10.14698/jkcce.2017.13.03.001 

  8. 성미영, 권기남 (2010). 유아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성이 내면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지능 및 개인이해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2), 39-49. 

  9. 송주연, 이선영 (2017). 또래놀이 행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역할: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507-531. doi:10.18023/kjece.2017.37.5.022 

  10. 안라리, 김희진 (2008).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6(2), 1-12. 

  11. 우수경 (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12. 이미나, 주연진, 정미라 (2016).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 621. 

  13. 이예진, 신유림 (2015). 교사-유아의 친밀감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정적 정서성의 중재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4), 405-412 

  14. 이지영, 고보선, 최진아, 성지현 (2018).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과 온정적 양육행동,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 놀이행동 간의 구조모형분석. 유아교육연구, 38(2), 501-527. doi:10.18023/kjece.2018.38.2.020 

  15. 이혜진 (2011).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조송림, 문혁준 (2013).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1(6), 125-138. 

  17. 최미숙 (2018). 유아 또래놀이행동의 발달 경향 및 인지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183-200. 

  18.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수-유아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11-329. 

  19.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놀이 행동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20. Arsenio, W. F., Cooperman, S., & Lover, A. (2000). Affective predictors of preschoolers' aggression and peer acceptanc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Developmental Psychology, 36(4), 438-448. doi:10.1037//0012-1649.36.4.438 

  2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22. Banerjee, R., & Horn, E. (2005). Use of socio-dramatic play to develop literacy skill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In E. Horn, & H. Jones (Eds.), YEC Monograph No. 7, Supporting early literacy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pp. 101-112). Dallas, TX: Sopris-West. 

  23. Bornstein, M. H., Hahn, C. S., & Haynes, O. M. (2010). Social competenc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al adjustment from early childhood through early adolescence: Developmental cascad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2(4), 717-735. doi:10.1017/S0954579410000416 

  24.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25. Campbell, S. B., Denham, S. A., Howarth, G. Z., Jones, S. M., Whittaker, J. V., & Williford, A. P. et al. (2016). Commentary on the review of measures of early childhoo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onceptualization,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5, 19-41. doi:10.1016//j.appdev.2016.01.008 

  26. Denham, S. A., Blair, K. A., DeMulder, E., Levitas, J., Sawyer, K., & Auerbach-Major, S. et al.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74(1), 238-256. doi:10.1111/1467-8624.00533 

  27. Diamond, A., Barnett, W., Thomas, J., & Munro, S. (2007). Preschool program improves cognitive control. Science, 318(5855), 1387-1388. doi:10.1126//science.1151148 

  28. Eggum-Wilkens, N. D., Fabes, R. A., Castle, S., Zhang, L., Hanish, L. D., & Martin, C. L. (2014). Playing with others: Head Start children's peer play and relations with kindergarten school competen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9(3), 345-356. doi:10.1016//j.ecresq.2014.04.008 

  29.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doi:10.1111//j.1467-8624.1993.tb02961.x 

  30.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doi:10.1016//S0885-2006(99)80048-9 

  31. Gagnon, S. G., & Nagle, R. J. (2004).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ve play and social competence in at-risk preschool children. Psychology in the Schools, 41(2), 173-189. doi:10.1002/pits.10120 

  32. Gilman, T. L., Latsko, M., Matt, L., Flynn, J., de la Cruz Cabrera, O., & Douglas, D., et al. (2015). Variation of 5-HTTLPR and deficits in emotion regulation: A pathway to risk? Psychology and Neuroscience. 8(3), 397-413. doi:10.1037/pne0000017 

  33. Hirn, S. L., Thomas, J., & Zoelch, C. (2019) The role of empathy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A study of German school lea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24(4), 395-407. doi:10.1080/02673843.2018.1548361 

  34. Hubbard, J. A., & Coie, J. D. (1994). Emotional correlates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Merrill-Palmer Quarterly, 40(1), 1-20. 

  35. Ladd, G. W. (2005).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social competence: A century of progres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36. Lifter, K., Foster-Sanda, S., Arzaarski, C., Briesch, J., & Maclure, E. (2011). Overview of play: Its uses and importance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fants & Young Children, 24(3), 225-245. doi:10.1097/IYC.0b013e31821e995c 

  37. Matthews, S. B. (2008).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ion, sociodramatic play, and preschoolers' readiness for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eastern University, Boston, MA, USA. 

  38. Mayberry, M. L., & Espelage, D. L. (2007). Associations among empathy, social competence, & reactivity/proactive aggression subtype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36(6), 787-798. doi:10.1007/s10964-006-9113-y 

  39. Mirabile, S. P., Kirk, S., & Borns, J. (2013). Emotion regulation, social competence, and maladjustment: Emotion regulation skills and their social and behavioral correlates. Poster presented at the 2013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eattle, WA. 

  40. Porter, C. L. (2009). Predicting preschoolers' social-cognitive play behavior: Attachment, peers, temperament, and physiological regulation. Psychological Reports, 104(2), 517-528. doi:10.2466/PR0.104.2.517-528 

  41. Rentzou, K. (2014). Preschool children's social and nonsocial play behaviors: Measurement and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layfulness, behaviour problem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4(4), 633-647. doi:10.1080/03004430.2013.806496 

  42. Rothbart, M. K., Ahadi, S. A., & Hershey, K. L. (1994).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in childhood. Merrill-Palmer Quarterly, 40(1), 21-39. 

  43. Rothbart, M. K., & Posner, M. I. (2015). Temperament, atten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p. 465-501). New York: Wiley. 

  44. Santos, A. J., Vaughn, B. E., Peceguina, I., Daniel, J. R., & Shin, N. (2014). Growth of social competence during the preschool years: A 3-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85(5), 2061-2073. doi:10.1111/cdev.12246 

  45. Spinrad, T. L., Eisenberg, N., Harris, E., Hanish, L., Fabes, R. A., & Kupanoff, K. et al. (2004). The relation of children's everyday nonsocial peer play behavior to their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40(1), 67-80. doi:10.1037/0012-1649.40.1.67 

  46. Spinrad, T. L., & Stifter, C. A. (2006). Toddlers' empathy-related responding to distress: Predictions form negative emotionality and maternal behavior in infancy. Infancy, 10(2), 97-121. doi:10.1207/s15327078in1002_1 

  47. Tarasova, K. S. (2016). Development of socio-emotional competence in primary school childre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33, 128-132. doi:10.1016/j.sbspro.2016.10.166 

  48. Windasari, D., & Dimyati, D. (2020).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tolerance on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Understanding, 7(5), 259-274. doi:10.18415/ijmmu.v7i5.1502 

  49. Yogman, M., Garner, A., Hutchinson, J., Hirsh-Pasek, K., & Golinkoff, R. M. (2018). The power of play: A pediatric role in enhancing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42(3), 1-16. doi:10.1542/peds.2018-20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